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결혼 후 아이낳고 엄마가 되면

여자들이 조회수 : 1,650
작성일 : 2024-11-12 10:31:10

자신보다 자식을 우선으로 생각하는게 본능이고

기본적인 모성애인가요?

 

IP : 223.33.xxx.10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11.12 10:39 AM (211.234.xxx.23)

    그런 사람도 있겠지요만...

    제 철없던 엄마였던 경험으로는..
    애 낳고 애가 3시간마다 먹여주고 재워주고 해야되는데
    그걸 제 때 시간 맞춰 안 해주면
    애가 몇 시간이고 울고불고 난리가 나서
    내가 2시간 쪽잠이라도 자려면
    애를 무조건 열심히 시간맞춰 먹이고 재워야한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애한테 맞춰줘야 내가 쉴 수 있다. 밥 한 술이라도 서서 뜰 수 있다. 한 시간 쪽잠이라도 잔다..
    즉 애한테 전적으로 맞춰야만 내가 산다...
    이렇게 됩니다.

    그런데 개고생 와중에 아기가 슬쩍 미소 한 자락 보여주면 되게 귀엽고..

    애가 커도 마찬가지입니다.
    3~4살 무렵..
    내가 원하는 걸 하러 갈 순 없어요.
    내가 원하는 걸 하러 가면 (애는 당연 데려가야되고)
    애가 나한테 심심하다고 징징거리거나, 배고프다고 울거나, 급히 볼 일 봐야해서 화장실로 애 안고 뛰거나..
    결론은..
    그냥 애가 좋아하는 데를 가면, (예를 들어 키즈까페)
    애가 신나서 노는 30분, 한 시간 동안이라도 내가 쉴 수 있다, 밥 한 술이라도 뜰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내가 하고 싶은 걸 잠깐이라도 할 틈이 난다..
    가 됩니다.

    그래서 자의반 타의반으로
    애가 좋아하는 것만 검색하거 실행하게 됩니다...

    그런데 그 와중에 또 애가 귀여운 짓 한다...
    귀여워서 미칩니다..

    이런 과정의 반복이랄까..

  • 2. ㅇㅇ
    '24.11.12 10:45 AM (24.12.xxx.205) - 삭제된댓글

    내가 편하게 먹고자고 쉬려고 한눈을 잠시 팔면
    목숨까지도 위험할 수 있는
    나한테 생명을 전적으로 맡기고 있는 작은 생명이에요.
    어떻게 내가 자고싶은대로 자고
    먹고싶은대로 먹겠어요.
    작은 생명이 눈도 제대로 못 뜨고 나만 하늘처럼 믿고있는데...
    갓태어난 강아지가 손바닥 위에서 새근새근 잔다고 생각해보세요.
    그 생명의 아름다움을...
    하물며 나를 닮은 내가 낳은 내 아기인데요.

  • 3. ㅇㅇ
    '24.11.12 10:47 AM (24.12.xxx.205) - 삭제된댓글

    내가 편하게 먹고자고 쉬려고 한눈을 잠시 팔면
    목숨까지도 위험할 수 있는
    나한테 자신의 모든 것을 전적으로 맡기고 있는 작은 생명이에요.
    어떻게 내가 자고싶은대로 자고
    먹고싶은대로 먹겠어요.
    작은 생명이 눈도 제대로 못 뜨고 나만 하늘처럼 믿고있는데...
    갓태어난 강아지가 손바닥 위에서 새근새근 잔다고 생각해보세요.
    그 생명의 아름다움을...
    하물며 나를 닮은 내가 낳은 내 아기인데요.

  • 4. 동감
    '24.11.12 10:56 AM (70.106.xxx.95)

    윗님에 동감인데
    저는 그와중에도 애가 귀여워죽겠다거나 이뻐죽겠단 생각도 없이
    그냥 기계적으로 살았어요
    사람이 너무 힘들면 아무 감흥이 없어요

  • 5. ...
    '24.11.12 11:00 AM (211.218.xxx.194)

    사람은 이기적.

    옛날에도 아픈 애를 낳으면 고아원앞에 갖다버린 부모도 있다고 하니까.
    보편적인 이야기는 아닐듯.

  • 6. ㄷㄷ
    '24.11.12 11:01 AM (59.17.xxx.152)

    기본적으로 양육에 대한 책임감과 아이에 대한 애정은 있겠지만 자기보다 자식이 먼저다, 이건 아닌 것 같아요.
    자기 자신이 가장 중요한 거 아닐까요?
    그래서 애도 잘 안 낳는 것 같고요.

  • 7. ...
    '24.11.12 11:16 AM (121.137.xxx.107)

    무조건 그렇다는 법칙은 없고, 사람마다 차이는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모성애라는 것도 자식의 연령에 따라 다른 것 같아요.
    자식이 작고 어릴땐 엄마의 보호본능이 아주 강한 것 같은데, 자식이 어느정도 성장하면 서서히 정이 줄어드는 것 같습니다. 자식도 독립을 해야하니, 너무 강하게 정서적으로 엮이면 곤란하지요. 저같은 경우는 어린아이 기르고 있는데, 정말 예뻐 죽겠고 제 목숨보다도 더 소중하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 8. ...
    '24.11.12 11:45 AM (202.20.xxx.210)

    애 키우고 있는 당사자인 제가 얘기 합니다. 모성애는 타고 나는 게 아니라 배움의 영역이고요. 전 모성애 부족자라 애가 우선이 아닙니다 그래서 시터 내내 쓰고 저 하고 싶은 거 하기도 하고요. 애 때문에 뭘 못하게 되면 애한테 짜증이 납니다. 그래서 최대한 시터 쓰고 하고 싶은 거 하고 나머지 시간이 나면 아이에게 정을 줍니다. 따라서. 모든 엄마가 모성애가 있는 건 아니고요. 아이보다는 제가 중요합니다. -_-

  • 9. ..
    '24.11.12 12:27 PM (115.140.xxx.42) - 삭제된댓글

    아이 안좋아하던 제가 출산후 아이 돌보며
    이세상에서 제가 제일 행복한 사람으로 느꼈어요
    아이가 아야하면 마음이 아파 어디가 아파하며 쓰담해주고
    아..지금은 초딩이라 아야하면 뛰지마 소리치지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47625 보험 짱짱하게 들어놓고 돈 빌리는 사람.. 6 Qwer 2024/11/24 1,748
1647624 수의사이신분 계신가요 2 ㅇㅇ 2024/11/24 1,152
1647623 제가 담주부터 월욜출근 안하는데 아들이 ㅋㅋㅋ 7 999 2024/11/24 3,959
1647622 겨울에 걷기운동할때 바지 뭐 입어야 돼요? 12 davff 2024/11/24 3,411
1647621 외국도 노인들 당연하게 인공관절수술 많이 하나요 5 걱정된다 2024/11/24 2,392
1647620 강약약강 2 회사원 2024/11/24 801
1647619 이거 스님목도리 같을까요? 14 패딩목도리 2024/11/24 2,858
1647618 뷔페가서 누구 식사대접하고 돌아왔는데 1 .... 2024/11/24 2,996
1647617 맞벌이 워킹맘 비추합니다 74 OK 2024/11/24 20,930
1647616 초기 갑상선암 수술 후에도 요양병원에 한달이상 있을수있나요.. 3 나무 2024/11/24 2,192
1647615 어른들도 굴김치 잘 못먹죠? 13 ㅇㅇ 2024/11/24 2,072
1647614 백내장수술후 얼마만에 세수 하셨나요? 3 모모 2024/11/24 1,046
1647613 독일비타민 포장지 그대로 카피한거죠? 2 비타민ㅁㅇ 2024/11/24 1,606
1647612 안세영선수 승리 22 운동 2024/11/24 4,091
1647611 안세영 감독없으니 엄청난 경기력으로 우승하네요. 3 ... 2024/11/24 3,360
1647610 지금 이디야인데.... 11 ........ 2024/11/24 4,671
1647609 떡볶이 냉동 시켜도되나요. 4 저녁 2024/11/24 1,098
1647608 쿠팡 색상별 사서 반품하는거요 16 쿠팡 2024/11/24 3,780
1647607 요양병원 다인실 간병인 팁 18 요양병원 2024/11/24 6,085
1647606 염색 한 후에 사우나해도 괜찮나요? 2 염색한 머리.. 2024/11/24 1,553
1647605 전업주부님들~~남편밥 차리면 11 은행나무 2024/11/24 4,827
1647604 하프클럽 사이트 이용하는데 불편 1 lllll 2024/11/24 1,713
1647603 가스라이팅 당한 사람 불쌍하세요? 2 .. 2024/11/24 1,274
1647602 오세훈 지인 "명태균 여론조사 비용 줬지만 캠프 무관&.. 5 ........ 2024/11/24 1,940
1647601 김장하고 김냉에 언제 넣을까요? 7 김치 2024/11/24 1,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