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동산.. 복비는 왜 퍼센테이지로 하나요..

-- 조회수 : 2,906
작성일 : 2024-09-27 12:47:32

건당 얼마 이런식이 아니고 매매값의 몇프로.. 일까요.

가끔 궁금해요. 

 

IP : 122.44.xxx.13
3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관례가
    '24.9.27 12:49 PM (121.162.xxx.227)

    법이 된 케이스같은데
    건당 얼마로 법을 바꾸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 2. 그게
    '24.9.27 12:50 PM (1.240.xxx.21) - 삭제된댓글

    가장 합리적이라서 아닐까요?
    오랜 세월을 걸쳐 결정된?

  • 3. ㅁㅁ
    '24.9.27 12:50 PM (1.240.xxx.21)

    가장 합리적이라서 아닐까요?
    외국에서도 그렇게 하는 거 보면요.
    오랜 세월을 걸쳐 결정된?

  • 4. 웃기는 이야기
    '24.9.27 12:53 PM (59.10.xxx.174)

    부동산업자들의 조직과 카르텔이 워낙 커져서 정부에서도 눈치를 심하게 봐요
    10억 이상은 0.7%인가하던데
    20억 부동산에 1400만원이 복비래요 ㅋㅋㅋㅋ
    대신 서민들은 싸게 내려주고 돈 있는 사람들에게 더 받아먹어라?
    그래도 협의사항이니 미리 0.5정도로 합의 하면 됩니다

  • 5. ...
    '24.9.27 12:53 PM (58.234.xxx.222)

    그게 뭐가 합리적인가요??
    싼집이나 비싼집이나 부동산에서 하는건 똑같고, 책임지는 것도 없고.
    그야말로 비합리적인 관례죠.

  • 6. ㅡㅡ
    '24.9.27 12:57 PM (58.120.xxx.112)

    웬 합리?
    제일 부당한 거래 같은데
    집 한 번 보여주고
    전화 몇 번 돌리고
    몇 백, 천 단위가 합당해요?

  • 7. .......
    '24.9.27 12:57 PM (211.248.xxx.146) - 삭제된댓글

    그나마 정부에서 요율 정해준것도
    최대를 정해준건데
    그게 마치 기본요율인것처럼 받아먹죠.
    진짜 없어져야 되는 직업 1순위 같아요
    책임지는건 없으면서 양쪽에서 수수료 과다하게 챙겨먹고.
    그래서 요즘 젊은 사람들은 직거래 한다잖아요
    아마 점점 사양산업 될 거예요

  • 8.
    '24.9.27 12:57 PM (125.181.xxx.35)

    20억짜리 집 없는 지역에서 부동산하고 있는데
    15년전 쯤 15만원 수수료 받고 1800만원 물어줬어요

    국회의원.도의원들이 뭘 몰라서 비싸게 매겼겟나요?
    다 이유가 있겟죠

  • 9. ...
    '24.9.27 12:58 PM (223.38.xxx.79)

    비율대로 하니 중개업자들이 자꾸 전화해 전세가 올립니다. 비싸져야 수수료가 더 높아지니까요. 재계약하면 수수료 못받으니 다른 세입자 들여준다고요.

    학군지인 우리 동네 이런 중개업자에 놀아나서 단지내 한 집 결국 이사나가고 4집이 다른 동으로 돌려막기로 이사한적 있어요.

  • 10. ..........
    '24.9.27 12:58 PM (211.248.xxx.146)

    그나마 정부에서 요율 정해준것도
    최대를 정해준건데
    그게 마치 기본요율인것처럼 받아먹죠.
    진짜 없어져야 되는 직업 1순위 같아요
    책임지는건 없으면서 양쪽에서 수수료 과다하게 챙겨먹고.
    그래서 요즘 젊은 사람들은 직거래 한다잖아요
    아마 점점 사양산업 될 거예요

    그리고 그게 무슨 합리예요
    % 수수료는 거래규모,거래액에 따른 리스크도 우상향일때 정당한거지
    1역짜리 매물이나
    100억짜리 매물이나
    부동산 중개인들이 뭐 책임지는거 하나 있어요?
    똑같은데 왜 수수료만 %로 받나요.

  • 11. 이거 진심
    '24.9.27 1:00 PM (125.128.xxx.139)

    바뀌어야 하는데

  • 12. ...
    '24.9.27 1:01 PM (1.237.xxx.240)

    전세 복비도 웃겨요
    6억이하는 0.3프로 6억이상은 0.4프로가 복비에요
    하는건 똑같고 책임도 안지면서 복비 요율만 올라감
    어차피 요율 똑같이 해도 가격 비싸면 더 많이 받을텐데...
    이러니 공인중개사들이 집값 올린다는 소문이 돌지요

  • 13. ㅇㅇ
    '24.9.27 1:04 PM (223.38.xxx.88)

    그나마 정부에서 요율 정해준것도
    최대를 정해준건데
    그게 마치 기본요율인것처럼 받아먹죠.
    진짜 없어져야 되는 직업 1순위 같아요
    책임지는건 없으면서 양쪽에서 수수료 과다하게 챙겨먹고.
    그래서 요즘 젊은 사람들은 직거래 한다잖아요
    아마 점점 사양산업 될 거예요

    그리고 그게 무슨 합리예요
    % 수수료는 거래규모,거래액에 따른 리스크도 우상향일때 정당한거지
    1역짜리 매물이나
    100억짜리 매물이나
    부동산 중개인들이 뭐 책임지는거 하나 있어요?
    똑같은데 왜 수수료만 %로 받나요.
    222222222222222

  • 14. ㅡㅡ
    '24.9.27 1:05 PM (106.102.xxx.224)

    집값비싸다고 일을 더하는것도 아닌데 .

  • 15. 맞아요!
    '24.9.27 1:07 PM (58.224.xxx.94)

    불합리합니다

  • 16. --
    '24.9.27 1:11 PM (122.44.xxx.13)

    세금도 아니고 너무 비합리적인거같은데요 ㅠㅠㅠㅠ

  • 17. ㅇㅂㅇ
    '24.9.27 1:11 PM (182.215.xxx.32)

    퍼센티지로 하는거까진 이해한다쳐도
    고가부동산의 수수료 퍼센티지는 왜 더 높죠?

  • 18. ㅜㅜ
    '24.9.27 1:11 PM (211.58.xxx.161)

    20억부동산 사고팔면 총2800이 수수료란거에요?????

  • 19. ㅜㅜ
    '24.9.27 1:13 PM (211.58.xxx.161)

    사고나면 책임져주는게 년 1억한도잖아요
    그것도 이미 4천다른데서 썻다면 6천밖에 보상못받음요
    20억짜리아파트라도

  • 20. 윈도우
    '24.9.27 1:44 PM (122.42.xxx.82) - 삭제된댓글

    외제차 판매 온도 수수료가 얼마죠?
    궁금하네요 클리어하지 않는 모든 수수료들이
    관공서 납품과는 왜 정가일까요

  • 21. 사와와
    '24.9.27 1:46 PM (122.42.xxx.82)

    20억짜리 양타 치는 애들이 얼마나 있다고
    난 이글이 왜 이렇게 웃긴지

  • 22. ㅜㅜ
    '24.9.27 1:48 PM (211.58.xxx.161)

    요즘 서울 왠만한 국평 20억이에요
    저도 이번에 18억짜리팔고 23억짜리로 갈아타기하려고하는데
    진짜 부동산수료 넘해요

  • 23. ...
    '24.9.27 2:07 PM (223.39.xxx.120)

    수수료가 비싼만큼 서비스와 책임을 져야하는데
    정말 집 보여주는것 외에 책임지는게 너무 없어요.

  • 24. ..
    '24.9.27 2:11 PM (223.39.xxx.120)

    저만큼 법정수수료 기준 정하는데도 부동산업계 반대가 엄청났었어요. 그땐 집값이 이렇게 폭등한게 아니였어서
    과거엔 진짜 미리 딜하지않으면 빨리 팔아줬으니 더내라 싸우고 ㅡㅡ

  • 25. ....
    '24.9.27 2:15 PM (110.13.xxx.200) - 삭제된댓글

    우리나라는 진짜 너무 하는거 없이 많이 받아요.
    책임지는 것도 없고 그 수많은 사기도 이렇게 무책임하니까 벌어질 수 있는 것.
    중개하는 놈이 되려 사기를 치니...
    받아먹는게 많으면 책임을 지게 하던가...
    책임지는거 없이 하는거 없으면 수수료를 낮게 받던가..
    부동산가격 이렇게 천정부지로 올랐으면 수수료율도 낮춰야 하는거 아닌가요?
    너무 불합리한 가격이죠.

  • 26. ......
    '24.9.27 2:17 PM (110.13.xxx.200)

    우리나라는 진짜 너무 하는거 없이 많이 받아요.
    책임지는 것도 없고 그 수많은 사기도 이렇게 무책임하니까 벌어질 수 있는 것.
    중개하는 놈이 되려 사기를 치니...
    받아먹는게 많으면 책임을 지게 하던가...
    책임지는거 없이 하는거 없으면 수수료를 낮게 받던가..
    부동산가격 이렇게 천정부지로 올랐으면 수수료율도 낮춰야 하는거 아닌가요? 너무 불합리한 가격이죠.
    거기에 돈미새들은 어찌나 많은지....

  • 27. ...
    '24.9.27 2:18 PM (210.178.xxx.91)

    수수료 너무 비싸요. 이거 정말 개선돼야해요

  • 28. ㅇㅇ
    '24.9.27 2:21 PM (1.225.xxx.227)

    맞아요 너무 비쌈

    다른 나라는 수수료가 어느 정도인가요?
    유난히 우리나라만 높은것 같은데..
    그리고 언젠가 티비에 다른나라 중개인들 업무 보니깐
    별거 별거 다 하던데..
    우리는 집 보여주고 설명하고 땡인데..
    직접 거래만이 답인것 같기도 합니다

  • 29. 직거래가
    '24.9.27 2:48 PM (106.102.xxx.231)

    활성화 되면 좋겠어요

  • 30. 외국
    '24.9.27 3:25 PM (67.160.xxx.104)

    미국은 일반적으로 6%정도 되고 독일은 3-7% 정도가 집 사고 팔때 부동산 수수료에요. 한국보다 많이 비싸죠. 미국은 보통은 파는 사람이 6%의 수수료를 내면 사는 사람 부동산과 파는 사람 부동산이 반씩 나눠갖는 구조였는데 올해부터 바뀌어서 파는 사람 사는 사람 양쪽에서 다 부동산 수수료를 받을 수 있게 됐다고 하는 얘기를 들었는데 그렇게 된다면 파는 사람은 수수료를 덜 부담해도 되고 사는 사람은 파는 사람이 대신 내주던 수수료를 내야되는게 되겠죠. 그런데 미국도 인터넷 부동산 에이전트들은 수수료를 1-2% 포인트 덜ㅊ받기도 해요.

  • 31. 근데
    '24.9.27 3:35 PM (118.235.xxx.107)

    건당으로 해서 단일요금하면 1억짜리 집이나 100억짜리 집이나 같은 책임인건데

  • 32. ...
    '24.9.27 3:39 PM (211.176.xxx.192)

    그러니 아파트 상가에 부동산이 4개나 주루륵 있어도

    안 망하고 있겠죠?

    복비 아까워 이사다니기도 무서워요.

  • 33. 미국
    '24.9.27 3:56 PM (118.235.xxx.229)

    중개업자는 우리처럼 거저먹지 않아요 .

  • 34. 흠흠
    '24.9.27 4:12 PM (122.44.xxx.13)

    책임책임하는데 무슨 책임을 지고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지금은 저렴한 중개비 받으면 책임이 없다는 것인지...당연히 얼마를 받든 같은 책임으로 일해야되는거 아닌가요.
    근래에도 거래를 했지만 잘못된 정보를 알려준것도 많고
    그래도 거래되고 나면 책임하나 없던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29718 음주운전은 딱 한번만 하는경우는 없다는데.. 28 ㅇㅇ 2024/10/06 2,146
1629717 맨발걷기란 사기 아닌가요? 28 맨발걷기 2024/10/06 5,473
1629716 분당 용인쪽 돼지갈비집 추천부탁드려요 11 ... 2024/10/06 1,402
1629715 프랑스여행가서 향수사면 면세점보다 저렴할까요? 5 향수 2024/10/06 1,481
1629714 그래도 가을은 오네요 6 ㅇㅇ 2024/10/06 1,555
1629713 흑백요리사 심했던 부분 9 ㅇㅇ 2024/10/06 3,611
1629712 이화영녹취록에서 이재명 변호사비대납, 법원로비까지 다 실토한.. 35 ... 2024/10/06 2,118
1629711 카페인의 위력 7 Sy 2024/10/06 3,580
1629710 스웨덴은 스웨덴 토박이들이 떠나는 곳이 되었군요 25 ,,,,, 2024/10/06 5,944
1629709 경제적 독립 9 의미가 2024/10/06 2,094
1629708 돈 있으면 무이자할부 안하죠? 21 카드 2024/10/06 4,313
1629707 주식)현대차 팔까요? 말까요? 5 30만원은 .. 2024/10/06 2,419
1629706 무이자 5개월에서 3개월로 줄었는데 신용에 문제 생긴건가요? 3 joosh 2024/10/06 1,519
1629705 정근식 이 멍게소리예요? 16 ㅇㅇ 2024/10/06 2,912
1629704 해남절임배추VS괴산즬임배추? 7 2024/10/06 1,861
1629703 남편분 회사와 집안에서 성격이 다른가요? 12 0011 2024/10/06 1,814
1629702 공복혈당 101 괜찮은거죠? 8 ... 2024/10/06 3,119
1629701 우리나라에 외국 느낌 나는 곳 있을까요? 28 2024/10/06 3,956
1629700 “‘철통방공망’뚫렸다”…이란 미사일 30여 대 이스라엘 軍기지 .. 3 ... 2024/10/06 1,761
1629699 우울증 극복법 알려주세요 14 외톨이 2024/10/06 3,646
1629698 서로가 상향혼이면 좋죠. 13 지나다 2024/10/06 2,742
1629697 풍년 압력솥에서 삐~하는 소리가 나는데 어디가 고장일까요 4 사이렌 2024/10/06 1,450
1629696 오늘 외식 한다면 뭘 드실래요? 19 나가자 2024/10/06 3,516
1629695 한강이 된 양배추 물김치 3 6월 2024/10/06 1,281
1629694 집이 잘사는 편인데 생활력있게 자라신 분들 27 생활력 2024/10/06 5,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