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정리를 해야하는데..

미니멀 조회수 : 4,102
작성일 : 2024-08-05 08:47:27

보이는 곳만 깨끗하고 세식구 집에 장농만 20자는 있는데 맨날 입을꺼 없는 옷장도 터져 나가요.

50평인데 방하나는 창고네요.

3년 이상 안입고 안쓴 물건 버리라고 정신 좀 차리라고 해주세요.

IP : 211.250.xxx.38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바람소리2
    '24.8.5 8:48 AM (114.204.xxx.203)

    계속 버려요 터져나가는 옷장부터요
    안입는데 뭐하러 갖고 있냐 싶어 계속 버립니다
    그래야 새 옷도 사죠

  • 2.
    '24.8.5 8:48 AM (121.185.xxx.105)

    노동요 틀어놓고 슬슬 시작해 보세요.

  • 3.
    '24.8.5 8:49 AM (125.128.xxx.181) - 삭제된댓글

    충격적이네요
    2인 가정 22평 아파트도 널널한 집 있어요

  • 4.
    '24.8.5 8:51 AM (123.212.xxx.149)

    그럼에도 보이는 곳은 깨끗하다니 짝짝짝!!
    그것도 대단한겁니다.
    오늘부터 한군데씩 구역 정해서 싹 꺼내놓고 버릴거 버리고 정리하세요
    너무너머 뿌듯하실거에요.
    옷장이 터져나가신다니 우선 옷장부터 하시면 될 것 같아요.
    정리법 책같은거 하나 보시는것도 괜찮구요.

  • 5. ….
    '24.8.5 8:51 AM (219.255.xxx.160)

    하루에 한곳만 정해서 하세요. 매일 조금씩 버리다 보면 어느새 비워지고 습관이 되어 물건을 안사는 효과까지 ㅎㅎ

  • 6. 미니멀
    '24.8.5 8:53 AM (211.250.xxx.38)

    노동요 틀고 한구역씩.. 응원에 의지가 생기네요.
    27년 직장을 다녔더니 옷이 꽤 있고 버리려면 왜 그리
    아까운지.. 누구 주지말고 다 버려야 정리가 빠를꺼 같아요

  • 7. ..
    '24.8.5 8:54 AM (147.6.xxx.21)

    당근에 매일 옷을 올리시는 분이 있더라고요. 판매가 아니라 순수히 본인 옷장 정리..

  • 8. 거기에
    '24.8.5 9:00 AM (118.235.xxx.78) - 삭제된댓글

    노동주도 추가하면 더 과감하게 버릴수 있지요

  • 9. ...
    '24.8.5 9:02 AM (112.216.xxx.18)

    그래서 옷을 사서 입을 때 추억을 많이 쌓지 않아요 ㅎ 버리려던옷을 들고 아 이옷입고 어디가서 누구랑 뭐 했을 때 참 좋았는데 이러기 시작하면 도로 옷장 꽉 ㅋ

  • 10. 못버려서
    '24.8.5 9:02 AM (1.235.xxx.154)

    그래요
    저도 사기만하고...버려야깨끗한데

  • 11. 82
    '24.8.5 9:02 AM (121.167.xxx.250)

    3년 이상 안입고 안쓴 물건 버리라고 정신 좀 차리라

  • 12. 일이년
    '24.8.5 9:12 AM (70.106.xxx.95)

    일이년 이상 안입은 옷은 앞으로도 입을일이 없대요

  • 13. 안 사기
    '24.8.5 9:21 AM (106.102.xxx.88)

    당장 버리지는 마시고요
    안 사는게 답 입니다
    안 사다 보면 있는거 계속 쓰게 되어 있거든요
    그러다 보면 낡은거 하나씩 하나씩 버리게 되요
    어느샌가 집이 좀 휑해져 있어요
    경험담 입니다

  • 14. 아으
    '24.8.5 9:26 AM (118.235.xxx.189)

    홈쇼핑에서 5개 얼마 3개얼마 해서 산 티셔츠들 바지들..버릴수도 없고 입는빈도는 낮고..홈쇼핑을 끊어야..

  • 15. 버릴걸
    '24.8.5 9:31 AM (220.78.xxx.213)

    추리지 말고 남길걸 추려보세요
    저도 이번에 10년 살던 집에서 이사나오면서
    방 하나에 온 식구 옷들 다 바닥에 모아두고
    입는 옷들만 옷걸이에 걸면서 추리니
    1/3로 줄더라구요
    나머진 두번도 안 돌아보고 박스에 처담아
    헌옷수거하는곳에 보냈어요
    무게로 달아 입금도 시켜주대요

  • 16. ..
    '24.8.5 9:33 AM (59.14.xxx.232)

    저도 처음에 계속 버렸다가
    지금은 안버리고 있는걸로 해결해요.
    소비를 안해야 해요.

  • 17. 옷도 물건도
    '24.8.5 10:11 AM (211.224.xxx.160)

    영구적으로 쓸 수 있는 게 아니에요
    아끼다가 똥된다는 말 맞구요
    지금 열심히 입고 들고 쓰고
    대신 소비는 줄여서 저축하고
    꼭 필요할 때 할부로 사지 말고 일시불로
    저축을 열심히 하면
    집과 냉장고에 물건이 넘쳐나지 않죠

  • 18. 시작
    '24.8.5 10:34 AM (210.223.xxx.132)

    화장대 서랍 하나부터 하세요.
    하루에 서랍하나요.

  • 19. 점점
    '24.8.5 11:36 AM (175.121.xxx.114)

    하나씩만 버리세요 매일.. 루틴처럼 됩니다ㅣ

  • 20. 그냥
    '24.8.5 12:22 PM (219.255.xxx.39) - 삭제된댓글

    그냥 버리고 더 좋은거 필요할때 사세요.

  • 21. ..
    '24.8.5 1:29 PM (112.152.xxx.33)

    당근에 올리시거나 힘들면 헌옷 사는 사람 부르세요 (일정양이 되야 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12768 밖에 나와 보세요!너무 시원해요~^^ 59 시원타!ㅎ 2024/08/15 14,002
1612767 오늘 뭐하실 계획이세요? 3 ㅇㅇㅇ 2024/08/15 1,370
1612766 대기전력 때문에 코드를 빼놓는 게 맞나요? 4 ㅇㅇ 2024/08/15 1,485
1612765 태극기 다셨나요? 저는 달았습니다 20 광복절 2024/08/15 889
1612764 태극기 답시다~(^^)/ 5 광복절 2024/08/15 387
1612763 팔토시 가져올걸 그랬나봐요 ㅠ 5 이런 2024/08/15 2,211
1612762 검찰 '김여사 제출 명품가방, 영상 속 제품과 동일' 잠정 결론.. 24 검찰의해방녀.. 2024/08/15 3,080
1612761 아침 뭐 만드셨어요? 17 식사 2024/08/15 3,036
1612760 대한 독립 만세 6 맥도날드 2024/08/15 497
1612759 고기집에서 왜 저를 차별했을까요? 153 고기좋아 2024/08/15 27,250
1612758 대장내시경 전날 꼭 미음 먹어야하나요? 5 ㅇㅇ 2024/08/15 1,645
1612757 잠꾸러기인데 배변활동때문에 일어난다면 믿어지시나요? 2 아침 2024/08/15 1,032
1612756 부모님 살 집에 자식이 돈을 조금 보태드리면.. 18 2024/08/15 4,752
1612755 구미 맛집 추천해주세요~ 4 ... 2024/08/15 569
1612754 오늘 성모승천대축일 이예요~ 19 성당 2024/08/15 2,815
1612753 엉덩이 뼈? 관절이 너무 아파요 5 엉덩이 뼈 2024/08/15 1,444
1612752 히스토리 채널에서 일본만행 방송하네요 ... 2024/08/15 545
1612751 늦어도 10년쯤후부터는 집값꺽여 오랫동안 못 오를것 같아요 51 50대초반 2024/08/15 6,765
1612750 요즘 버거킹 어때요? 7 배고파 2024/08/15 2,544
1612749 1945년 광복정 당일날 사진 7 리메이크 2024/08/15 1,573
1612748 815맞이 러닝하고 왔어요 4 .. 2024/08/15 960
1612747 신라호텔 이그제큐티브 라운지 애프터눈티 이용해보신 분 4 ... 2024/08/15 2,213
1612746 노인들은 나라를 일본에 줘도 16 ㄱㄴ 2024/08/15 2,664
1612745 내시경 자주 받으면 안좋은게 맞나요? 8 근데 2024/08/15 2,326
1612744 고령사회 다가오는 게 두려워요. 20 고령사회 2024/08/15 5,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