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동산... 양도세 내 보면 정부가 부동산을 떠받치는 이유가 있음.

무지덥다 조회수 : 1,758
작성일 : 2024-08-02 11:24:16

부동산에 대해 양도세를 내 보고 나면,

대한민국이 부동산을 포기 못하는 이유를 알게 됩니다.

 

대부분 oecd국가들은 주식이든,부동산이든 자본이득에 대한 세금은 소득세 보다 현저히 낫습니다.

소득세가 세고, 그 소득세 내고 남은 돈으로 다시 투자를 해서 번 돈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하네요.

그러니 부동산 양도소득세도 많아봤자  높아도 20~30% 이 정도로 압니다. 재산세는 높아도요.

 

그런데, 대한민국은 주식에 대한 세금은 별로 없지만,

소득세와 양도소득세가 연동이기 때문에

(부동산양도)소득세 이런 명칭이라 소득 8,000만원 구간부터는 37%(37.+3.7%=40.7% 이건 정확치 않습니다) ~ 최고 세율45%(45+4.5=49.5%) 이렇습니다.

Oecd국가는 대부분 부가세도 높고, 소득세 최저세율도 높고 소득이 있는 국민 전체가 꽤 내지만,

한국은 최저가 6.6%이기 때문에 결국은 고소득자+양도소득세가 거의 1순위 재원이죠.

더군다나 종부세와 (양도)소득세가 국세이기 때문에 

정부는 절대 포기가 안 됩니다.

악명높은 미국재산세는 결국 카운티 단위로(생각보다 좁습니다) 소진을 하기 때문에, 재산세를 많이 내면, 그 지역의 인프라, 학교 등에 대한 지원이 돌아가고 그건 또 집값을 높게 유지시켜 주는 요인이라 억울하지만 인정하는 분위기죠.

la는  리모델링만 해도 교육세 낸다고 하죠~

결국 대한민국의 전체세금이 달려있는 게 부동산+ 고소득(대략 8천이상)+법인세가 거의 담세를 담당하고 있고 

그 결과로 포기가 힘들다고 생각해요.

세금을 생각해보면 자연스런 구조가 이해가 됩니다.

 

미국이 상업용 부동산 등 칼같이 구조조정을 할 수 있는 것도 부동산 양도세?(명칭은 정확히는 모름)에 대한 부담 등 특정 부분(부동산 등)에 대해 그 다지 양도소득세세금을 많이 걷지 않으니(대한민국 세금비율에 비해서요)자유롭고요,

재산세 또한 결국 해당 지역 인프라나 교육시설에 대한 투자로 거의 쓰이고,  그것말고도 세금나오는 곳이 대한민국처럼 편중되어 있질 않아

부동산에 대해 훨씬 자유롭지 않을까요?

 

이 얘기는 부가세, 소득세를 전체가 생각보다 많이 부담한다는 얘기이죠.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마라~했듯이

세금도 재원이 가능한 넓고 얕은 게

 조세법칙이라고 하지만,

대한민국은 너무 단기간에 자본주의가 커지고,

민주주의도 그에 따라 커져,

세원을 넓힐 정치인이 거의 없어요.(국민들이  표를 안줌)

우리나라같은 부가세 10%인 나라는 oecd에 없는 걸로 압니다.

 세금다운 세금을(최소 20~25%?)경험해 보지 않은 국민들이 대부분이죠.

 

결국 세상일은  보이지 않는 것 같지만 연결되어 있다~이런 말을 하고 싶네요.

 

예를 들면 아직도 우리나라 연금상품중  무배당이 99%인 것은 세무/고위직 공무원(특히 금감원)들이 은퇴후 전관예우로 금융회사 이사 등으로 가기 때문에 그렇다고도 하죠.

판새만 욕을 바가지로 먹지만, 보이지 않는 꿀들을 정부는 많이 가지고 있어요.

 

 

IP : 218.50.xxx.198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8.2 11:29 AM (118.235.xxx.101)

    부동산이 살때 취득세, 가지고 있을때 보유세, 팔때 양도세
    거기다 임대업에 대한 여러 악재들. 전세사기등등
    그래서 다주택자들이 부동산을 정리하고 있다네요.
    임대사업자들은 반납하고 있고.
    전세공급이 줄어드니 전세가는 계속 오르고 있고....

    세수부족인 상황에서 어떻게든 쥐어짜내려고 하겠죠

  • 2. 딴얘긴데
    '24.8.2 11:30 AM (219.249.xxx.181)

    세금 부동산 등 경제쪽으로 해박하신 분들 부러워요

  • 3. 최준영
    '24.8.2 11:34 AM (59.7.xxx.113) - 삭제된댓글

    지구본 연구소에 따르면 세수 중에서 소득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급등하고 있대요. 연봉 8천이상 소득자의 소득세 비중이 굉장히 높고요.

  • 4. 조금
    '24.8.2 11:38 AM (218.50.xxx.198)

    극단적으로 얘기하면
    대한민국은 정치 등의 이유로 특정부분(특히 부동산)에 대한 세금이 높고,
    거기서 막강한 권력(건설 허가권 등요)도 누리고,
    정부로선 정말 꿀이죠.
    세금을 거기서 걷어야 하니 포기가 안되고 떠받치고, 떠받치니 돈을 벌고,세금도 왕창내고(투자자 측면에선 억울하기도 함 다른 나라처럼 주식 등이 제대로 된 시장도 없고, 부동산이란 판에서는 정부가 거의 민주주가가 무색한 제왕인데, 돈을 안 벌 수도 없고요)

  • 5. Oecd처럼
    '24.8.2 11:46 AM (218.50.xxx.198)

    세금을 전부다 더 내던가,
    아님 배가 아프더라도 세금많은 부동산을 눈감아 줄건가~
    선택의 문제인데, 너무 분노를 하는 것 같아서 올려봤어요.

  • 6. 맞아요
    '24.8.2 11:51 AM (119.196.xxx.115)

    그래서 조금 떨어졌다싶으면 규제완화하고 별 난리를....
    종국엔 오를수밖에 없는상황을 만들죠...
    당연한거 아니겠어요??

  • 7. ㅁㅁ
    '24.8.2 11:51 AM (211.60.xxx.146)

    중국은 부동산 구조가 우리나라를 따라해서인지 pf대출로 아파트 짓다만거 까지 5억채가 비어있고 이제는 부동산 포기선언했는데 우리는 무슨 생각인지 아직도 이러고 있나 정부의 뇌구조가 궁금합니다.
    중국보다 못한 한국...
    이러다 점점 갈라파고스될거 같아서 진심 걱정...

  • 8. 저기요
    '24.8.2 12:14 PM (117.111.xxx.110) - 삭제된댓글

    중국은 공산주의고 땅은 나라거예요. 구조 자체가 다른데 걱정하는 척하지 말아요. 부양하는 이유 원글에 있잖아요. 양도세 한 번만 내보세요. 문정부때 세수가 넘쳐난 이유가 있어요.

  • 9. ㅇㅇ
    '24.8.2 12:21 PM (223.38.xxx.208) - 삭제된댓글

    집값을 의도적으로 떠받친다=집값은 안떨어지고 우상향한다=집이 없으면 저절로 자산은 쪼그라들고 거지된다

  • 10.
    '24.8.2 2:01 PM (223.38.xxx.75)

    집값을 의도적으로 떠받친다=집값은 안떨어지고 우상향한다=집이 없으면 저절로 자산은 쪼그라들고 거지된다


    글쎄요. 경기 무시하고 언제까지 집값을 떠받칠수 있을까요. 서서히 약빨이 떨어질때는 확 빠질것 같은데요.
    지방은 약빨이 안 들어 하락중이에요.
    약빨 끝물에 서서히 빠지는 중인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11783 '前 피프티 피프티' 새나·시오·아란, 아이오케이 전속계약…걸그.. 7 ㅇㅇㅇ 2024/08/12 2,940
1611782 고등아이가 울어요 10 고민 2024/08/12 6,552
1611781 마흔넘어 공주도 있더라고요 31 .... 2024/08/12 7,318
1611780 베트남 삼박 여행 캐리어 20인치 사야되나요? 15 .. 2024/08/12 1,624
1611779 침대 프레임은 어디서 사셨나요? 4 -- 2024/08/12 1,469
1611778 이번 코로나가 거의 역대급인 것 같아요. 조심하세요. 10 3번째 2024/08/12 5,188
1611777 푸바오가 다른 판다에 비해 특별한가요? 15 ... 2024/08/12 2,538
1611776 천공“BTS 군입대 대통령 음해공작…하늘 노할 것” 22 23. 07.. 2024/08/12 4,016
1611775 독립기념관, 광복절 경축식 취소...개관 37년만에 처음 8 2024/08/12 1,245
1611774 등록휴학 2024/08/12 599
1611773 이재명 조국 김경수로 민주당 갈라치려는 국짐 23 아이고 2024/08/12 969
1611772 이사가는데 에어컨 얼마에 넘길까요 27 ㅇㅇㅇ 2024/08/12 3,893
1611771 관리비안내면서 해외여행 7 ???? 2024/08/12 2,064
1611770 트래블카드 충전 2 트래블 2024/08/12 1,134
1611769 백수2달차 근황 ㅎㅎ 5 백수 2024/08/12 3,155
1611768 지금 페막식 마이웨이 노래부르는 가수는 삿갓을 쓴건가요? 5 둥이맘 2024/08/12 2,569
1611767 유럽여행 후 머리카락이 완전 엉망이 되었어요ㅠ 17 망고 2024/08/12 5,565
1611766 2028 LA 올림픽 개폐막식 너무 기대되요 6 2024/08/12 1,943
1611765 결혼은 인생에서 중요합니다. 다만~ 9 2024/08/12 3,969
1611764 올해 너무너무 덥고 힘드네요 21 하이 2024/08/12 5,016
1611763 불교>큰 절의 신도회장은 어떤 역할인가요? 5 2024/08/12 963
1611762 부산에 팔꿈치 잘 보는 정형외과 1 부산 2024/08/12 640
1611761 CC 압력 밥솥이 기가 막혀 18 ... 2024/08/12 5,277
1611760 휘슬러 솔라임 모델은 백화점에서만 파나요? 3 일시리 2024/08/12 1,101
1611759 인테리어요. 1 ... 2024/08/12 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