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코스트코 도토리묵 가루로 묵 쑤기 실패

조회수 : 2,130
작성일 : 2024-07-20 18:45:04

설명서 대로 했는데 완전 흐물흐물 실패했어요.

하나도 쫀득 탱글하지 않고...

물과 묵가루를 6:1 비율로 하고

중불에서 저어주며 끓이다

굳기 시작하면 3-5분 더 저어주고 식힌다...

근데 인터넷 찾아보니까 40분은 저어줘야 잘 된다네요.

원래 묵이 이렇게 쑤기 어려운 건가요?

관건은 40분 정도 저어주기였나요?

IP : 175.208.xxx.164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다시 끓여요
    '24.7.20 6:47 PM (125.182.xxx.24) - 삭제된댓글

    굳은 묵 냄비에 넣고 약불에 다시 끓이세요.
    수분날리며 타지않게 잘 저어 준 후
    굳히면 탱글탱글 해집니다.

  • 2. 다시 끓여요
    '24.7.20 6:48 PM (125.182.xxx.24)

    실패한 묵 믹서에 갈거나 부셔서
    냄비에 넣고 약불에 다시 끓이세요.
    수분날리며 타지않게 잘 저어 준 후
    굳히면 탱글탱글 해집니다.

  • 3. 다시
    '24.7.20 6:49 PM (210.123.xxx.144)

    40분은 너무 했고 20분정도는 저어주고 되직하게 떨어질때 굳히면 되던데요.
    다시 잘 살려보세요.

  • 4.
    '24.7.20 6:55 PM (116.125.xxx.12) - 삭제된댓글

    40분정도 저어줘야 해요

  • 5. 뭐지
    '24.7.20 6:56 PM (112.167.xxx.92)

    6:1로 몇번했는데 잘 되던데요 걍 물 넣고 저으면서 한번 끓으면 바로 불 끄고 네모그릇에 넣고 식히면 묵이 잘됨

  • 6.
    '24.7.20 6:56 PM (116.125.xxx.12) - 삭제된댓글

    40분정 저어줘야 하니
    다시 냄비에 붓고 약불에서 주걱으로 쭉 그었을때
    냄비 바닥이 일자로 보이면 된거에요

  • 7. ...
    '24.7.20 7:02 PM (14.51.xxx.235)

    저도 실패했어요 또 실패할까봐 못하고 있어요

  • 8.
    '24.7.20 7:15 PM (116.37.xxx.236)

    도토리는 신기한게 10분정도 저어가며 끓이면 굳은 느낌이 들어요 그때 멈추면 망해요. 무시하고 계속 저으면 다시 풀어지거든요. 그걸 계속 저으며 끓이다보면 다시 단단해져요. 그럼 불 끄고 뜸 들이세요.

  • 9. 오래전에 농협
    '24.7.20 8:06 PM (123.214.xxx.146)

    에서 가루 사서 해보고 실패한 후
    다시는 안사요.

    가루는 죄없고
    내 손이 문제라고 생각해서요. ㅜㅡ

  • 10.
    '24.7.20 8:24 PM (121.167.xxx.120)

    다 된거 같으면 약불에서 15분 정도 저으세요
    쫀득하게 맛있게 돼요

  • 11. ..
    '24.7.20 8:33 PM (61.43.xxx.131)

    주걱으로 계속 저어주다가 떠서 흐르게하면 막이 생기면서 떨어져요
    그때 불끄고 굳히면 탕글탱글하게 잘돼요

  • 12. 미적미적
    '24.7.20 11:19 PM (211.173.xxx.12)

    오래 저어줘야 탱글거리나봐요 저도 휘리릭 끓고 걸쭉해지길래 금방 멈췄더니 주르륵...맛도 없고 진죽같이 되버렸어요

  • 13. ㅇㅇ
    '24.7.21 1:42 AM (172.226.xxx.9)

    40분은 너무 했고 뽀글뽀글 올라오고부터 15분 정도 더
    저어주면 되는데 흐물거리면 5:1로 재도전 해보세요. 날씨 영향도 받아요.

  • 14. 맛있는데요..
    '24.7.21 10:14 AM (121.167.xxx.207)

    5대1. 비율 아닌가요?
    센불에서 하다가 끓기시작함 중약불에 참기름넣고 ~
    유리통에 넣고 하룻밤 냉장고에 두었더니
    완~~~~~전 맛있게 되던데요?
    15분도 안걸린듯 하고 처음 해봤어요.
    참고로 요리똥손..(옛날 생각나서 사봤는데 맛있어서 쟁일까생각중입니다)

  • 15. 맛있는데요..
    '24.7.21 10:18 AM (121.167.xxx.207)

    실리콘주걱으로 한방향으로 계속 저어주세요.
    색깔이 진해지면 다 된것 같아요.
    저는 까먹고 5스푼 물25스푼 넣었는데
    원래는 6대1일수도 있어요~^^

  • 16. 담람쥐
    '24.7.21 1:53 PM (61.247.xxx.149) - 삭제된댓글

    가 별명일정도로 도토리묵을 자주 먹는 사람입니다. 몇년째 거의 밥대신 먹어요.

    이 더운 날에도 주 3회이상 만들어 먹어요.

    제 방법

    도토리 한컵에 물 4컵을 넣어 대충 저어놓습니다. 30분쯤 그대로두면 도토리가루가 물에 다 가라앉아 있는데 주걱으로 가라앉을 것들을 저은다음 불에 올려 저어줍니다. 방향 상관없어요. 편한대로 저어주세요. 그렇게 저어주다가 도토리 물이 죽처럼 엉기면서 색이 진해지기 시작하는데 베이지색 도토리물이 전부 진한갈색으로 변한 시점에서 불을 줄이고 주걱으로 냄비를 빙둘러 크게 400 바퀴 저어 주세요. 팔 아프면 300번만 저어도 먹을만은 합니다.

    . 짧게 젓는건 빼고 냄비를 빙둘러 크게 도는 것만 한바퀴로 세세요.
    . 탱탱한 묵은 물 4컵
    . 약간 탱탱한 묵은 물 4컵반이면 충분합니다.
    . 다 쑨 묵은 냉장고에 장시간 넣지 마세요. 식감도 안좋고 맛없어 못 먹습니다. 부득이하게 냉장보관한경우 뜨거문 물에 데쳐서 드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3634 3개월만 계약직으로 월급 200 ㅇㅇ 2024/07/21 3,698
1603633 한국엔 모기물린곳 휴대용치료기 없나요 43 모기 2024/07/21 4,067
1603632 빠리 올림픽 나라별 단복 40 재미로 2024/07/21 6,247
1603631 자녀 결혼시 얼마나 보태주시나요? 23 ^^ 2024/07/21 7,178
1603630 유럽의 모습 5 popooo.. 2024/07/21 3,750
1603629 친정 엄마랑 호주여행 조언부탁드려요. 5 호주 여행 2024/07/21 2,418
1603628 카톡목록에서 사라지면 1 카톡차단 2024/07/21 2,580
1603627 어제 저녁으로 먹은게 자꾸 생각나요 2 왜죠 2024/07/21 3,257
1603626 mz는 몇살부터 몇살까지예요? 15 .. 2024/07/21 4,679
1603625 축농증 원인은 뭔가요? 2 코. 2024/07/21 1,679
1603624 회사에서 문을 열다가 사람이 넘어졌어요 합의금을 요구하시는데 어.. 43 루민 2024/07/21 18,874
1603623 건조기 엘지VS삼성 18 홀릭 2024/07/21 2,765
1603622 여자신발사이즈 us7.5는 몇사이즈인가요? 23 ………… 2024/07/21 2,611
1603621 전지적 참견시점 최다니엘 보는 분 계세요? 1 ... 2024/07/20 4,007
1603620 102세 할머니 삼시세끼 돼지고기에 커피믹스 10잔 40 @@ 2024/07/20 20,731
1603619 밀양사건 다룬 그알 보는데 혈압이 솟구쳐요! 6 쌍욕나온다 2024/07/20 3,871
1603618 오만했던 저를 반성합니다 12 루비 2024/07/20 6,872
1603617 밀양 2차 가해 .. 6 2024/07/20 3,142
1603616 학습지 선생님 휴가.. 11 .... 2024/07/20 3,774
1603615 사돈댁 조의금 11 ㅇㅇ 2024/07/20 4,748
1603614 박남정 어찌 저래요??? 49 ........ 2024/07/20 30,414
1603613 삼복더위 때의 마술은 너무나 고역이네요. 16 힘들 2024/07/20 4,340
1603612 집 대출이 무섭네요 5 2024/07/20 6,859
1603611 중국이모들이 푸바오 생일축하버스도 준비했어요 3 ㅁㅁ 2024/07/20 1,368
1603610 노인 의료비가 엄청나긴 하네요 ㅠ 4 병원 2024/07/20 4,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