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동산 상승 전략과 군주론

지나다 조회수 : 781
작성일 : 2024-06-30 13:57:09

며칠전 우연히 군주론을 다시 읽게 되었다 감탄하고 지나가는 글을 읽고 적어봅니다.

 

" 부모 죽는 것은 잊어도 세금 많이 내는 것은 못잊는다."

 

사람 심리가 그래요. 자기가 원래 직접적으로 보이는 세금에 대해서는 그만큼 반발 심리가 커요.

 

문재인 정부 폐배요인은 재산세  많이 올렸다고 언론에서 부추긴 것과 같아요. 

 

강남에 집 있으면서 죽는 소리 하다가 재산세 덜 냈다고 좋아하시는 분들 최소 5년 후에는 님들

 

자손들은 어떨지 생각 좀 하셨으면 해요. 

 

그리고 지금 윤석열 정부가 하고 있는 부자 감세하고도 일맥 상통하고요.

 

죽어나는 것은 서민이죠. 솔직히 소득세 올려도 크게 체감 못하고 물가가 아무리 올라도 기본적으로

 

먹고 살아야 하기때문에 간접세는 체감하지 못해요.

 

나라가 부강해야 잘 사는데 세금 줄이고 나니 경제가 엉망일거 같으니 그걸 덮고 싶으니

 

부동산 상승만 띄우고 있어요.

 

원래 나라가 잘 되고 유동성 확장이 되면 어쩔 수 없는 물가상승으로 현물 자산이 올라요.

 

주식이 먼저 오르고 그 다음 부동산인데 우리나라 주식 지금 곤두박질 치고 있는데 부동산만

 

온갖 대출 완화와 언론에서 띄우고 있네요.

 

대출 아무리 완화해도 금리가 높으니 못들어가니 이젠 금리까지 낮추고 있어요.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이 난리 쳐서 잠시 상승 시켜 놓는데 잘 생각하고 들어가세요.

 

지금 정부는 옛날 국짐당하고 달라요.

 

옛날 국짐당은 그래도 이정도로 앞으 안보고 맘대로 하지는 않았는데 지금 윤석열 정부는 

 

지금 당장 내 수중에 모든 돈을 끌어모으고 내 다음 임기 대통령은 죽으라는 식으로 국정운영

 

해놓고 있네요.

 

다음 대통령은 정말 누가 될지 모르지만 고생만 하고 욕만 먹다가 임기 끝날듯해요.

 

전국이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일을 저질러 놓는 대통령은 대한민국 건국이례 최초 일듯 한데

 

부동산 지금 잠시 상승했다고 생각하시는 분 정말 잘 고려하고 들어가세요.

 

IP : 220.83.xxx.58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7.1 9:11 PM (58.143.xxx.2)

    그래서 저도 인플레 방어차 집살까 하다가 주춤하네요.
    다음 대통령은 엉망인 나라 끌어안고 고생만 하다 끝날것 같다에 한표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26913 현대백화점 한도 얼마나 받을수있어요? 6 joosh 2024/10/08 1,424
1626912 친정엄마 건조기 몇 킬로짜리 사드릴까요. 9 .. 2024/10/08 1,372
1626911 약사가 알려주는 약국 연고(나름 정리) 33 오늘 2024/10/08 7,698
1626910 밥먹고 움직이기 싫어요 2 ㅇㅇ 2024/10/08 1,088
1626909 본인의 수익률 공개한 여인의 최후! 7 2024/10/08 3,265
1626908 매일 청소기를 돌리는데 7 ... 2024/10/08 2,859
1626907 소형탈수기 너무 좋네요 10 ㅇㅇ 2024/10/08 3,213
1626906 경구 피임약 복용중 생리 1 ㄱㄴ 2024/10/08 1,109
1626905 고등학생 경량 패딩 색깔 문의합니다. 7 2024/10/08 1,196
1626904 키에는 우성 열성이 없어요. 5 아까 2024/10/08 3,577
1626903 전세의 최초 시작이 11 ㅇㅇ 2024/10/08 3,035
1626902 키위 보관 2 ... 2024/10/08 839
1626901 박완서 작가 자제들 다 서울대인거 보면 24 ㅇㅇ 2024/10/08 13,629
1626900 특이점이 온 K-POP 이라고 1 ..... 2024/10/08 2,315
1626899 방탄, 위버스 앱-큐알코드 입력 아시는분? 5 위버스 2024/10/08 733
1626898 감자 물에 담가놔도 될까요? 4 딜리쉬 2024/10/08 1,546
1626897 상대에 대해 너무 넘겨짚지 말 것 12 ㅁㅁㅇㄹ 2024/10/08 3,141
1626896 고등학생자녀, 공부하는 것도 가르쳐줘야 되나요?? 13 공부 2024/10/08 2,388
1626895 남편이 후드를 안틀어요ㅜ 13 2024/10/08 3,704
1626894 결혼식 축의금 8 미소 2024/10/08 2,303
1626893 알타리 솎은거 뭐 해먹나요? 4 텃밭 2024/10/08 1,138
1626892 아들이 무신사 옷을 잘 입고 다니는데요 20 ㅇㅇ 2024/10/08 7,245
1626891 통깨 볶은 건 어디에 쓸까요? 14 국산 2024/10/08 1,120
1626890 경성크리처 7 재미지다 2024/10/08 1,730
1626889 새콤달콤한 음식이 먹고 싶어요 15 2024/10/08 2,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