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급) 오이지 국물은 버리나요?

*** 조회수 : 1,407
작성일 : 2024-06-20 11:27:04

오이지 보관하려해요.

국물 4일 간격  2회 끓여서 식혀 부었고요.  2회.

보관을 어찌해야 하나요?

전통 방법으로 담갔어요.

 

오이만 건져 보관하나요?  실온?  냉장고?

국물째 실온에 보관하면 상하나요?

김치냉장고는 없어요.

IP : 122.34.xxx.48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
    '24.6.20 11:31 AM (112.214.xxx.126)

    전통방식은 국물채 보관하든데요.
    물없이 담근건 건져내고 물엿붓는다구 들었구요.

  • 2. ...
    '24.6.20 11:34 AM (183.102.xxx.152)

    소금물에 절인 전통 오이지는 물에 꼭 담가서 보관해야 돼요.
    오이지가 국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돌이나 그릇으로 눌러놓아야 합니다.
    조금이라도 물밖으로 나오면 물러져요.

  • 3. 원글
    '24.6.20 11:38 AM (122.34.xxx.48)

    ㄴ 윗님들, 실온에 보관해도 되나요?

  • 4. 아뇨
    '24.6.20 11:39 AM (121.166.xxx.230)

    김냉에 넣어두었어요.
    물없는 오이지도 그냥 물안버렸는데??? 버려야 하나요???

  • 5. 원글
    '24.6.20 11:41 AM (122.34.xxx.48)

    전통오이지 .
    국물 잠기게 눌러서 냉장 보관하면 될까요?
    김냉 없어요. ;;

  • 6. ㅇㅇ
    '24.6.20 11:50 AM (106.101.xxx.55) - 삭제된댓글

    네 그냥 냉장고에 보관해도
    됩니다
    오이지 안 뜨게가
    관건이여요

  • 7.
    '24.6.20 12:34 PM (106.102.xxx.1) - 삭제된댓글

    작년에 짭짤하게 담근 전통오이지.
    국물에 잠기게해서 냉장고 보관했다가
    김장철에 베란다로 쫓겨났어요.
    겨우내 봄내 베란다에 있었는데 아직도
    아작아작 맛있어서 요새 꺼내 무쳐 먹어요.
    4월쯤에 다시 냉장고로 들어갔어요.ㅋㅋ
    올해 한 20일전에 또 담갔는데 아직 실온에 있어요

  • 8. ...
    '24.6.20 12:34 PM (1.177.xxx.111)

    전통 방식으로 담은 것도 물 다 버리고 오이만 보관해도 됩니다.
    저도 항상 물하고 같이 보관했었는데 누가 물 버리고 보관해도 된다고 해서 그렇게 해보니 더 낫더군요.
    물에 뜰까봐 신경 안써도 되고.
    여기는 그렇게 하시는분들이 안계시나...?
    오이 통에 차곡차곡 쌓아 올려서 비닐로 꼭꼭 덮으세요.
    전 김치 냉장고에 보관했는데 냉장고에 두셔도 괜찮을거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97842 어제 시청 사건 언제 아셨어요 12 2024/07/02 6,073
1597841 여행자보험 들었는데 여행이 취소되면 1 보험 2024/07/02 1,596
1597840 2024 아시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순위' 6위 부산, 5.. 4 2024/07/02 3,170
1597839 청소년이 학교 밖에서 상담 받으려면 어디로 가면 좋을까요? 6 .. 2024/07/02 801
1597838 오늘 청소할려고 오전 휴가냈는데 휴우.. 9 .. 2024/07/02 3,092
1597837 시청앞 사고 중경상 4명중 2명은 운전자, 동승자 13 .. 2024/07/02 6,112
1597836 발음 안좋은것 듣기 괴롭네요 ㅠ 12 발음 2024/07/02 4,902
1597835 오토아닌 스틱 7 .. 2024/07/02 1,995
1597834 사고운전자 처벌수위(시청역) 2 ll 2024/07/02 2,923
1597833 작년 설운도 부인도 급발진 주장 사고 6 2024/07/02 3,292
1597832 허리 통증 병원 추천부탁드립니다 1 .. 2024/07/02 800
1597831 수자원공사 월급 많나요? 9 ㅇㅇ 2024/07/02 3,102
1597830 안아픈 혈당 측정기 추천부탁드려요 5 ㅇㅇ 2024/07/02 1,741
1597829 동생에게 5000 준 증여세건... 10 세무 2024/07/02 5,694
1597828 세탁기고장 경험 있으신분들 6 ove 2024/07/02 1,211
1597827 길거리 전단지과외 하시나요? 3 궁금이 2024/07/02 1,101
1597826 난데없는 도심교통사고 희생자들 명복을 빕니다 8 황망 2024/07/02 2,037
1597825 딸아이 대학 제품들 제가 쓴다? 안쓴다? 말해주세요 51 2024/07/02 7,063
1597824 북서향 방이 2개인데 어떨까요..? 10 .. 2024/07/02 1,749
1597823 처방약중에서 어떤약이 불면을 야기할까요? 5 약 좀 봐주.. 2024/07/02 797
1597822 세상 경험이 많을수록 좋은건 뭔가요? 23 ㅇㄱ 2024/07/02 3,834
1597821 시청앞 교통사고 출발점이 조선호텔? 11 이해불가 2024/07/02 17,434
1597820 친정아빠 운전면허 적성검사 받는데.. 3 .. 2024/07/02 3,155
1597819 인천공항 제1,제2 여객터미널 ???알려주세요 5 2024/07/02 1,902
1597818 성격이 예민하고 까칠한 사람 20 2024/07/02 5,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