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심란하네요. ㅠ

시민 조회수 : 3,035
작성일 : 2024-04-16 10:34:15

[심층] 어느 의대 교수의 헛웃음 "정부가 의대 교수 늘린다고요?···그냥 웃지요" (daum.net)

 

심화하는 전공의·전문의 기피 현상
지금까지는 의사들 대부분은 아, 이거 (전공의 과정을) 해야 한다고 했고 당연히 그랬는데 그걸 마치고 나와서 다시 전문의를 땄는데 소위 말하는 필수 과목을 내가 전공을 했는데 개업을 할 방법이 없는 거죠.

(개업 해도) 수지가 안 맞으니까 다시 피부 미용이나 비만, 이런 걸 배우는 거죠.

그렇게 개업하는 사람이 필수 의료 전문의 딴 사람 중에 80~90%가 돼요.

일부는 자기 분야를 개업했지만 결국 돈이 안 되고 그러니까 전문의를 따고 나서 다시 그걸(피부미용, 비만 등) 하니까 젊은 애들이 생각해 보니까 왜 전문의를 하지? 바보 같이? 이렇게 되는 거죠.

정부는 우리나라 의료가 지금까지 값싸게 버텨온 이유 중의 하나가 인턴 레지던트라는 그 과정이 있어서 가능했는데···

옛날에 의사 수가 적을 때는 전문의 과정을 마쳐서 개업을 하면 무슨 과목이든지 돈이 됐어요.

우리나라 의료원은 95%가 자기가 돈을 투자해 의료기관을 만들어야 합니다.

영국이나 독일이나 프랑스는 사회주의 국가니까 대부분 의료기관을 정부에서 만들어주는 거죠.

의사들은 월급 의사로 취직을 하는 거고.

우리나라는 의사가 경영해야 하니까 옛날에는 전문의 자격증을 따고 필수 의료를 전공하고 나면 병원에 취직하더라도 급여가 높다, 개업을 해도 돈이 된다 그러니까 누구나 전문의를 따야 한다고 생각을 하겠죠.

그런데 지금 필수 의료 쪽을 하는 사람들은 개업을 하기가 어려워지는 상황이죠.

수지가 안 맞으니까.

소아산부인과는 환자가 줄어서 그런 문제가 있고 수가도 높지 않고 수지가 안 맞는 거죠.

병원을 개설을 해서 예를 들면 (수십억 원 들여) 신경외과 흉부외과 수술할 정도의 세팅을 해놓으면 수술할 수도 없고 (의사) 여러 명이 하려 하면 투자도 돈도 많이 들고 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어려운 거죠.

 

 

의대 교수 자체가 지금 안 그래도 부족하고 수급 자체가 안 되는데, 교수를 하나 만들려고 하면 전문의 과정 마치고 나면 전임의라고 펠로 과정을 보통 2년 이상 합니다.

(의대 예과 2년, 본과 4년, 인턴 1년, 레지던트 3~4년, 전임의 1~2년, 임상교수 1~2년. 남자는 군복무 하면 3년 추가. 보통 전임의 때 석사 과정을 하고 임상 교수 때 박사 학위를 하는 사례가 늘고 있음)

그러고 나서 교수 임용을 하는데 교수 임용되기 위해서는 자기가 논문을 미리 준비해야 해요.

교수 임용될 때 논문 점수가 있는데 그게 쉽지가 않아요.

국제 저명 학술지에 논문이 실려야 하고 뭐 이런 게 있는데 그걸 준비하려고 하면 교수 되기 위해서 노력을 많이 해야 하거든요?

그다음에 교수 되고 나면 어떠냐는 거죠.

왜 젊은 사람들이 요즘 교수를 안 하려고 하느냐, 첫째는 교수 하고 나니까 급여가 높지가 않죠.

의대 교수는 진료 수당이 조금 붙는데 교수 월급이 인상이 안 됐거든? 등록금이 안 올라가고 등록금 동결 뭐 이렇게 계속되니까 대학들이 교수 월급을 못 올려주는 거죠.

진료 수당으로 올릴 수 있는 건 한계가 있잖아요.

진료 수입이 엄청 늘어나야지 그게 되지만은 그렇지 않거든요?

거기다가 선택 진료비 특진비가 없어져서 의대 교수들 수당도 떨어진 대학이 많죠.

그렇게 되면서 의대 교수들이 밖에서 취직하든지 개업한 의사들보다는 수입이 많이 떨어지죠.

그런데 요구 조건은 까다롭잖아요.

힘들죠.

교수 돼서 승진하려고 하면 또 논문 점수가 있어야 해요.

그 논문을 준비하기가 쉽지가 않거든요? 공부를 열심히 해요, 그 교수들이 새벽부터 같이 나오고 밤늦게까지 연구실에 있고 막 이렇게 젊은 교수들이 노력해요.

그런데 수입이 많지 않으니까 집에서는 얼마나 컴플레인 하겠어요, 워라벨도 나쁘고? 그러다 보니까 젊은 교수들이 논문이나 이런 게 힘들어지면 일부러 임용 탈락도 해버려요.

중간에 나가겠다는 거죠.

그렇게 의대 교수 되기가 어렵고 유지하기 어려운데 정부에서 천 명을 늘린다 하니까 웃는 거죠.

지금 말이 안 되는 소리가 서로 모순되는 게 많잖아요.

가장 큰 모순이 뭐냐 하면 앞으로 대학병원들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가겠다 그랬잖아요?

그럼 전공의는 어디서 교육하고요?

정부 말대로 하면 전공의는 한 해 5천 명을 배출시키는데 그 교육은 어디가 시킵니까?

대학병원에서 인턴 레지던트를 뽑으면 그거는 나라에서 돈을 대주는 게 아니잖아요.

그럼 의료기관들은 무슨 돈을 벌어서 인건비를 그만큼 감당할 수 있냐 이거죠.

전문의를 그만큼 뽑고 전문의 중심 병원을 가고 인턴 레지던트도 더 많이 뽑아야 하고 그러면 그 많은 인건비가···

지금 전공의만 빠져나가도 대학병원들이 전부 도산한다고 난리인데 지금···

 

=====================================

 

누가 개혁하든 어려운게 의료개혁인데 제대로 된 연구 없이 그냥 질러서 더 엉망으로 만들었네요.  

 

요지는.   예전엔 필수과 해도 어려움 없이 먹고 살았는데

지금은 어려우니 안하려한다.  

그런데 지금 윤정부 의료개혁은 필수과를 더 어렵게 해서 필수과 전공의들이 더 들고 일어난거다.  

제가 이해하는거는 이정도입니다.

IP : 121.166.xxx.1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탄핵!!
    '24.4.16 10:39 AM (211.221.xxx.43)

    무식한 게 대통령돼서 요상한 미신에 기대 대한민국을 망조에 들게 했어요. 탄핵의 날이 속히 오기를 바랍니다

  • 2. ...
    '24.4.16 10:40 AM (223.38.xxx.168)

    예전엔 필수과 해도 어려움 없이 먹고 살았는데
    지금은 어려우니 안하려한다.
    그런데 지금 윤정부 의료개혁은 필수과를 더 어렵게 해서 필수과 전공의들이 더 들고 일어난거다. 2222222

  • 3. ...
    '24.4.16 10:50 AM (118.235.xxx.12)

    지금까지 필수과는 사명감과 소신있는 의사들이 지원해서 다른과 의사들도 존중해 주는 분위기였는데
    윤석렬이 낙수과 모자른 사람들이 가는 과로 전락시켜버렸어요. 그나마 있던 산소호흡기를 떼버린거죠.

  • 4. ..
    '24.4.16 11:09 AM (118.235.xxx.184) - 삭제된댓글

    예전엔 필수과 해도 어려움 없이 먹고 살았는데
    지금은 어려우니 안하려한다.
    그런데 지금 윤정부 의료개혁은 필수과를 더 어렵게 해서 필수과 전공의들이 더 들고 일어난거다
    33

    필수과를 왜 합니까?
    한의사 치과의사 간호사도 다들 미용하겠다는데
    필수과하면 바보 아닙니까?

    앞으로 필수과는
    보건소에서 국가공무원이 해야되겠죠

  • 5. 지금 k의료
    '24.4.16 11:20 AM (211.218.xxx.194)

    알고보면, 경증도 엄청 많이 진료받으면서, 나름 되게 싸게 국가 의료비 지출하고있는건데
    딱 개인병원 의사들 잘버는거만 보고...손대기 시작하니
    이해도 못하던, 그 밑바닥이 흔들려버림.

    나라 의료비 조절하면서 의사 수 늘리려면

    영국,독일 처럼...
    내버려둬도 안죽는 감기는 병원 문턱도 못밟게 하고, 폐렴으로 가면 들어오게.
    치료비 엄청드는 암이나 필수과, 응급의학은 헬기로 나르더라도 제대로 치료받게 해주고,
    살아날 희망없는 목숨은 나라에서 결정딱 내려줘버리고(그게 아기든, 노인이든)
    애는 낳고나면 바로 강보에 싸서 퇴원.
    이런 식이어야 하겠죠.

  • 6. 영독불사회주의
    '24.4.16 3:38 PM (211.36.xxx.81)

    사회적 자본주의 체제 맞아요. 근데 우리는 조금 만 뭘 바꾸려해도 "그럼 사회주의 하자는 거냐?"고 무식한 말을 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요. 사실 이미 우리도 같은 체제를 운영하면서도 그런 선동적인 말로 다른 나라들은 다 하는 제도를 거부하는 기득권자들과 부화뇌동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74741 보수당이 정치를 19 우울 2024/04/16 1,316
1574740 이세이미야케 짭 구분가세요? 15 .. 2024/04/16 3,859
1574739 세월호 10주기 65 ... 2024/04/16 5,009
1574738 냉동실고기해동. 색이검은데 괜찮은가요? 2 꼬기 2024/04/16 845
1574737 숭실대근처 산 가까운 살기좋은 아파트 있을까요 6 상도동 사.. 2024/04/16 2,186
1574736 아빠가 재혼했는지 알 방법 있을까요? 9 ..... 2024/04/16 6,056
1574735 금연껌이 2 .. 2024/04/16 550
1574734 황혼 이혼 5 2024/04/16 3,479
1574733 영어방 폭파되어 재개설하려고요 4 82스프링 .. 2024/04/16 1,638
1574732 연보라색 린넨 쟈켓 하나쯤있다면 5 고민중요 2024/04/16 1,740
1574731 ‘눈물의 여왕’ 서울 법대 나와 재벌 비자금 찾아주는 사냥개라니.. 8 zzz 2024/04/16 3,917
1574730 대전역 근처 맛집 추천부탁드립니다 5 비전맘 2024/04/16 1,446
1574729 거제도 숙소 추천해주세요. .. 2024/04/16 424
1574728 어르신 모시고 파묘 봐도 돼죠? 4 ... 2024/04/16 879
1574727 요양병원에서 욕창 12 nanyou.. 2024/04/16 2,796
1574726 Mbti- t 배우자 바람확률 낮다 네요. 30 Aaa 2024/04/16 5,412
1574725 내면 힘 키우는 노하우 좀 알려주세요. 10 ㅇㅇㅇㅇㅇ 2024/04/16 2,056
1574724 대문에 세신도 글 읽고 네일샵에도 그래요 6 .. 2024/04/16 2,454
1574723 위메프 맥반석계란 대박싸네요 9 ㅇㅇ 2024/04/16 1,629
1574722 명언 1 *** 2024/04/16 834
1574721 핸드크림을 바디크림으로 써도 될까요? (어떤 차이있나요..?) 3 저요저요 2024/04/16 3,502
1574720 노량진수산시장에 붕장어회 잘하는곳이요 2 급해용 2024/04/16 582
1574719 빅사이즈브라 추천부탁드려요 18 축소 2024/04/16 1,274
1574718 남편이 바람피움 그사실을 온 친척이 친구들 다 알고 있었다면 어.. 11 2024/04/16 6,901
1574717 4/16 (화) 오늘의 종목 확인! 나미옹 2024/04/16 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