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부 발표 믿고 응급실 지원 나선 개원의들...‘헛걸음’ 된 이유 [의대 증원 갈등] 심평원·보건소 “규정상 안돼”

병 신들이 조회수 : 1,709
작성일 : 2024-04-04 12:12:15
정부 발표 믿고 응급실 지원 나선 개원의들...‘헛걸음’ 된 이유

[의대 증원 갈등] 심평원·보건소 “규정상 안돼”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5일 “(전공의들이 복귀할 때까지) 개원의도 중환자가 몰리는 대형 병원 등에서 진료를 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지난 2월 20일 집단 이탈한 전공의들의 빈자리를 메우기 위한 차원이었다.

영남 지방의 응급의학과 전문의 A씨는 이 발표를 보고 본인이 운영하는 의원의 진료를 마치면 밤에 인근 대형 병원 응급실로 가서 진료를 도와야겠다고 생각했다. 의사가 부족한 응급실에서 중환자를 진료하겠다는 선의로 이렇게 했다. A씨는 곧바로 병원이 청구한 진료비를 심사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에 전화를 걸었다. 본인이 의원을 개설한 상황에서 병원 응급실에서 진료를 해도 진료·처치별 수가(건보공단이 병원에 주는 돈)를 받을 수 있는지 등을 문의하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심평원은 “의료법에 따라 한 의사가 둘 이상 의료 기관에서 동시에 진료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정부가 해도 된다고 발표한 ‘낮 의원, 밤 응급실’ 근무에 대해 또 다른 정부 기관인 심평원이 ‘불법’이라고 못 박은 것이다. 당황한 A씨는 관할 구청에도 문의했지만 “(전공의 이탈 사태는) 재난 위기 심각 단계가 아니라서 근무할 수 없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의사 한 명이 두 곳 이상 의료 기관에서 동시에 진료하면 원칙적으론 불법이다. 그러나 공익상 필요할 경우 관할 지자체장의 승인하에 동시 진료가 가능하다는 예외 조항이 있다. 심평원이 이 예외 조항을 제대로 검토하지 않고 일반적인 얘기만 한 셈이다. 여기에 관할 구청은 이번 전공의 이탈 사태가 ‘심각 위기 단계’로 격상된 것도 모르고 ‘안 된다’고 한 것이다. 이런 사례가 A씨 외에도 더 있다고 한다.

이에 대한응급의학의사회 관계자는 “지독한 행정 편의와 무관심에서 비롯된 황당한 사건”이라며 “정부의 한시적 ‘동시 진료 허용’도 보여주기식 대책이 아닌지 의문스럽다”고 했다. 대한의사협회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일부 응급의학과 전문의 선생님이 사정이 어려운 응급의료센터를 돕기 위해 자원했는데, 현지 보건소는 아직 심각 단계가 아니라 근무할 수 없다는 답변을 했다고 한다”며 “정부가 현장 점검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IP : 121.130.xxx.84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정도면
    '24.4.4 12:17 PM (211.218.xxx.194)

    개인의원하는거 허가취소시키고, 공공재라고 부르면서 강제취직시킬려고 할지도 모르겠네요.

  • 2. 눈치들도
    '24.4.4 12:20 PM (121.162.xxx.234)

    없으시지
    지금 공백 메워주면 날이 갈수록 반대 늘어날텐데 된다 하겄슈?

    사직도 안된다 메워주는 것도 안된다
    목숨 갖고 저러냐 소릴 누구에게 해야 하는 걸까

  • 3. 하는 짓마다
    '24.4.4 12:20 PM (59.6.xxx.211)

    눈속임 .
    한심

  • 4. 에혀
    '24.4.4 12:23 PM (112.149.xxx.140)

    개혁할 의지가 1도 없었다는
    반증
    어떻게 미리 어떻게 대처하겠다
    병원에 보내주지도 않고
    의사가 협조하겠다 하는데
    안된다????
    미친정부

  • 5. 진짜로
    '24.4.4 12:33 PM (218.234.xxx.95)

    아무 대책도
    아무 로드맵도
    진짜 걍 내질렀네
    저거 저 물건 ~통치가능하냐??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74295 한티역 맛집, 술집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7 맛집 2024/04/14 910
1574294 장자연과 이미숙 관련이 뭔가요? 7 뭔가 2024/04/14 5,303
1574293 놀이터에 애들이 한가득이에요 6 ㅡㅡ 2024/04/14 2,846
1574292 넷플릭스 지난 드라마 추천 부탁드려요 25 추천부탁요 2024/04/14 5,296
1574291 약속의 개념이 저랑 다른 지인.. 32 ... 2024/04/14 6,546
1574290 20평대 아파트 관리비가 얼마정도 나올까요 8 sunny 2024/04/14 2,170
1574289 돌발성 난청 치료후 부종과 체중이 급작스럽게 늘었어요 3 플리즈~~~.. 2024/04/14 1,602
1574288 면접자리에서 대놓고 6 .. 2024/04/14 2,812
1574287 어머니의 변화가 슬프네요 ㅠ 9 슬픈일 2024/04/14 6,963
1574286 이준석 보면 28 sdg 2024/04/14 5,106
1574285 바로 여름인가봐요 5 그냥이 2024/04/14 2,386
1574284 콩나물밥... 8 2024/04/14 2,377
1574283 제주도 은갈치,오메기떡 택배로 주문해보신분 계신가요? 3 ... 2024/04/14 1,481
1574282 어릴적 엄마아빠 건강했던 시절이 꿈같네요 9 .. 2024/04/14 3,932
1574281 여권 핵심관계자 "윤대통령, 새 비서실장에 원희룡 낙점.. 15 답없다 2024/04/14 4,067
1574280 이 나라에 김건희를 이길 사람은 없답니다 17 2024/04/14 6,436
1574279 르세라핌 코첼라 라이브 보세요 3 2024/04/14 2,920
1574278 15년전 ebs프로그램 찾아주세요. 7 뮤뮤 2024/04/14 1,576
1574277 뮤지컬 공연 가실거면 10 2024/04/14 2,782
1574276 마늘1큰술은 몇개정도 될까요? 4 요리초보 2024/04/14 2,295
1574275 뉴욕잘아시는 분이요!! 12 Dj 2024/04/14 2,436
1574274 이란이 왜 갑자기 이스라엘 공격인가요? 36 팔레스타인 2024/04/14 16,732
1574273 공동상속받는 상가에서 버티는 경우. 8 00 2024/04/14 2,622
1574272 정말 자식 다 키워놓으면 편한가요? 20 123 2024/04/14 6,540
1574271 요즘 키플링 다시 유행 10 ... 2024/04/14 6,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