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인덕션, 가스레인지 어떤게 좋을까요?

추천 조회수 : 2,749
작성일 : 2024-01-28 14:11:25

 이사 가는집 가스레인지 교체를 해야하는데요

 인덕션은 한번도 사용을  안해봐서

 가스레인지랑 비교해서 어떤가 싶어서 여쭤봐요~

 

 남편은 인덕션은 별로라고 사람들이 그런다고 하고

 저는 인덕션은 청소 관리가 편할꺼 같아서 

 인덕션을 하고 싶긴해요

 

 둘다 사용해보신분 어떤게 더 괜찮으셨나요?

 3인 가족이고 제가 요리를 엄청 많이 하는 스타일은 아니예요

 

IP : 211.243.xxx.148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1.28 2:12 PM (211.212.xxx.71) - 삭제된댓글

    전 욕실, 주방은 무조건 깔끔해야한다 생각하는 사람이라 다시는 가스레인지로 안돌아갈 겁니다ㅎㅎ 인덕션 청소 너무 쉬워용.

  • 2. mnm
    '24.1.28 2:13 PM (49.166.xxx.213) - 삭제된댓글

    일장일단이 있는데 저는 다시 하면 깔끔한 인덕션 할래요

  • 3. 눈의여왕
    '24.1.28 2:15 PM (39.117.xxx.39)

    집에 인덕션. 보조주방에 가스있어요
    근데 인덕션이 훨씬 편해요

  • 4. ㅇㅇ
    '24.1.28 2:16 PM (118.235.xxx.31)

    요리 많이 안하시고 가스레인지의 쎈화력이 필요한 음식을 많이 안한다면 인덕션

    쎈화력이 팔요한 요리를 좋아해서 가아끔이라도 해먹는다면 가스레인지

    요샌 요리 많이 안하고 깔끔 청소편리로
    인덕션 사용하면서 휴대용렌지를 구비하기도 합니당

  • 5. ..
    '24.1.28 2:18 PM (112.151.xxx.59) - 삭제된댓글

    저는 2구씩 가스 인덕션 반반했어요
    쓰임이 각각 필요해서 그냥 만족하고 써요
    싱크대 상판 타공할때 미리 주문해서사이즈 알려주고 뚫었어요

  • 6. 추천
    '24.1.28 2:21 PM (211.243.xxx.148)

    답변들 감사합니다

    죄송하지만 인덕션 어떤게 괜찮을지 추천 좀 부탁드려요~

  • 7. 당연히
    '24.1.28 2:22 PM (112.214.xxx.197) - 삭제된댓글

    인덕션이 좋고
    가스는 무거워서 바닥에 가라앉기때문에 환기한다며 창문을 열어도 잘 빠져나가지 않는다네요
    바닥 청소하면서 휘휘 쓸면서 밖으로 내보내거나 선풍기를 바닥쪽으로 틀어서 가스내보내며 환기를 해 한다고요
    그래서 바닥생활 하는 사람들이 고스란히 들이마시기가 쉽다고요

    물론 요리하면서 나오는 분진이나 오염 등도 문제지만
    주부들이나 급식노동자 아줌마분들 담배도 안피는데 폐암발병률 높은게 가스 영항 무시못하죠

  • 8. 당연히
    '24.1.28 2:22 PM (112.214.xxx.197)

    인덕션이 좋고
    가스는 무거워서 바닥에 가라앉기때문에 환기한다며 창문을 열어도 잘 빠져나가지 않는다네요
    바닥 청소하면서 휘휘 쓸면서 밖으로 내보내거나 선풍기를 바닥쪽으로 틀어서 가스내보내며 환기를 해줘야 한다고요
    그래서 바닥생활 하는 사람들이 고스란히 들이마시기가 쉽다고요

    물론 요리하면서 나오는 분진이나 오염 등도 문제지만
    주부들이나 급식노동자 아줌마분들 담배도 안피는데 폐암발병률 높은게 가스 영항 무시못하죠

  • 9. ..
    '24.1.28 2:24 PM (58.231.xxx.145)

    국산으로
    끓어넘침 방지기능 있는것으로 추천해요.
    정작 구매때는 이걸 놓쳐서 허구헌날 순식간에끓어넘쳐서 불꺼지네요. 왕짜증남.
    타이머기능도 편하고요
    제조생산지 꼭 확인해보시고요

  • 10. 인덕션은
    '24.1.28 2:25 PM (112.214.xxx.197) - 삭제된댓글

    독일제?ㅇ 클라이너 상판이 돌판으로 된거 쓰는데요 좀 비싸요
    아무래도 플라스틱보단 돌판이 낫지싶어 샀는데
    이거 깨질위험도 있다하니 조심해서 쓰는데 뭐 만족해요

  • 11. 인덕션은
    '24.1.28 2:27 PM (112.214.xxx.197)

    독일제?이태리제? Kleine 상판이 돌판으로 된거 쓰는데요 좀 비싸요
    아무래도 플라스틱보단 돌판이 낫지싶어 샀는데
    이거 깨질위험도 있다하니 조심해서 쓰는데 뭐 만족해요
    인덕션 만족하고 나니 냄비 후라이팬도 다 바꿔야해서 다 따지면 한 삼사백 쓴듯한데 뭐 평생 쓰면 되니깐요

  • 12. ..
    '24.1.28 2:30 PM (112.152.xxx.33)

    인덕션하세요
    낯설어 가스렌지 선택한후 청소할때마다 후회합니다

  • 13. 추천
    '24.1.28 2:33 PM (211.243.xxx.148)

    답변 감사합니다^^

    인덕션 검색해봐야겠어요ㅎ

  • 14. 참고로
    '24.1.28 2:39 PM (112.214.xxx.197)

    전 인덕션을 남들 가스사용하고 인덕셴 잘안쓸때 2010년도에 독일제 4구짜리 비싸다며 덜덜떨면서 구입했는데 아직도 잘쓰고 앞으로도 잘쓸거같아요
    넘 괜찮아서 국산 인덕션 1구짜리도 방에앉아 샤브샤브 라면 끓여먹으려고 6만원정도주고 사서 한 9년 사용하고 어젠 완전 고장나서 버렸어요 뭐 그 정도 사용했으면 만족이죠

  • 15. 제라늄
    '24.1.28 2:50 PM (106.101.xxx.76)

    많이 고민하고 인덕션했는데 넘 좋아요.
    청소하기 편하고 가스특유의 냄새도 안나고
    가능한 좋은거 구입하세요.
    엘지꺼 백만원대 구입했는데
    가끔씩 화력이 왔다갔다해요

  • 16. 지나다가
    '24.1.28 3:00 PM (67.170.xxx.153)

    저도 인덕션 관리면에서 너무 편해서 추천하긴합니다만 가스가 좋긴해요. 아직 가스가 비용도 덜들지 않나요?

    인덕션 포터블 소음 덜나는 모델은 뭐가 있을까요?
    묻어가며 질문해봅니다.

  • 17. ...
    '24.1.28 3:01 PM (180.70.xxx.60) - 삭제된댓글

    전 sk매직 60만원대? 제품 6~7년 쓰는데요
    상판 쇼트글라스 이구요
    전업이라 집에서 밥 다 해먹구요
    갈비탕, 사골 끓이기가 취미입니다 ㅎㅎ
    벽에 코드 그냥 꼽는데도 화력 좋구요
    두꺼비집? 내려간적 없구요
    너무 좋은점은
    전기요금이 별로 안나와요
    인덕션 써도 전기요금이 안썼을때랑 비슷해요
    가전은 보통 집에 있을껀 다 있거든요
    그래서 첨에 쓸때는 누진 각오했는데
    한달 300kw 안씁니다
    저도 가스렌지 자리에 놓아서 프리스탠딩 제품으로 샀어요

  • 18. ...
    '24.1.28 3:08 PM (180.70.xxx.60)

    전 쿠첸 60만원대? 제품 6~7년 쓰는데요
    상판 쇼트글라스 이구요
    전업이라 집에서 밥 다 해먹구요
    갈비탕, 사골 끓이기가 취미입니다 ㅎㅎ
    벽에 코드 그냥 꼽는데도 화력 좋구요
    두꺼비집? 내려간적 없구요
    너무 좋은점은
    전기요금이 별로 안나와요
    인덕션 써도 전기요금이 안썼을때랑 비슷해요
    가전은 보통 집에 있을껀 다 있거든요
    그래서 첨에 쓸때는 누진 각오했는데
    한달 300kw 안씁니다
    저도 가스렌지 자리에 놓아서 프리스탠딩 제품으로 샀어요

  • 19. 추천
    '24.1.28 3:27 PM (211.243.xxx.148)

    쿠첸 참고할게요

    유트브 검색해보니 가성비로 sk 올파워 ihr-bf 300 이거 추천하네요
    개별 화구 출력도 똑같고
    플렉스 존 있고
    이번에 이사가면서 가전이랑 가구 전부 바꿔야해서 머리아프네요

  • 20. 윗님.
    '24.1.28 3:41 PM (121.177.xxx.131)

    쿠첸 강추해요.
    3년정도 되었는데 ,주방 인테리어 한샘으로 할때 그 담당자분이 쿠첸이 좋다고 추천하셨죠.
    고양이도 키워서 차일드 락되는걸로 샀어요.
    조리도중 잠깐 스톱도 되고,터보 가열하면 열 빨리 오르고,청소가 너무 쉬워서 인덕션 사고
    청소 스트레쓰가 없어요.
    그리고 인덕션 구매하시면 매트도 사서 사용하시는거 추천해요.
    기스안나고 조리도구 미끄럼 방지도 되고 좋아요.
    검색하면 검정색 2장에 4만원대 가운데 원구멍있는것 추천해요.

  • 21. 윗님
    '24.1.28 6:19 PM (211.243.xxx.178)

    답변 감사합니다
    쿠첸 검색해볼게요^^

  • 22. LG
    '24.1.28 9:09 PM (211.107.xxx.74)

    전 lg인덕션 설치했는데 대만족이예요.

  • 23. 인덕션
    '24.1.28 10:39 PM (117.111.xxx.248) - 삭제된댓글

    보단 전기레인지가 용기 제한이 없어서 좋아요

  • 24. 근데
    '24.1.28 10:58 PM (211.250.xxx.102)

    가스가 아쉬울때 많아요.
    냄비나 후라이팬이 제한적이기도 하고요.
    곰국같은거 좀 끓일래도
    전에 쓰던 커다란 곰솥이 스텐인줄알았는데
    스텐이 아니더라구요.

  • 25. 보담
    '24.1.29 4:41 PM (223.62.xxx.21)

    인덕션은 정가운데가 화력이 너무쎄요. 거기만 화력이 쎄서 식재료위치를 후라이팬에서 자주 바꿔줘야하는게 불편해요.
    냄비받닥 전체에 화력이 골고루 균일했음 좋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49198 4월까지 다닌 회사 연말정산 여쭤보아요 6 ... 2024/01/28 991
1549197 말린 오징어채로 무국 끓여보신 분? 18 그레이바나나.. 2024/01/28 2,753
1549196 요양보호사 국가지원 외에 추가 시간 하실 경우... 3 dd 2024/01/28 1,583
1549195 넷플 polite society 재미있네요 2 Dd 2024/01/28 2,591
1549194 김건희 명품백, 일본·스페인어권에도 소개...“윤 대통령 벌써 .. 10 국격ㅠ 2024/01/28 2,180
1549193 남자 불면증은 어떻게 하나요(59년생) 9 아빠 2024/01/28 1,929
1549192 복면가왕 이젠 그만 14 나무 2024/01/28 6,737
1549191 목동 영어 과외나 학원 1 ㅇㅇ 2024/01/28 1,241
1549190 이선균이 보고싶네요 13 슬픔 2024/01/28 4,720
1549189 실연당하고 한 짓이 2 ㅇㅇ 2024/01/28 2,273
1549188 지금 한경 아르테 tv 요요마 바흐 프로젝트 1 cello 2024/01/28 685
1549187 나이들어서 교정하신분 계신가요?(앞니 벌어짐) 3 .. 2024/01/28 2,029
1549186 생크림 거품낼때 2 .... 2024/01/28 673
1549185 서울상품권이란 온누리 중 2 상품권 2024/01/28 1,180
1549184 대통이 오뎅오뎅 거리네. 역시 친일 20 ... 2024/01/28 2,925
1549183 시어머니 과일 들어오면 가져오라고 했대요 24 ㅇㅇ 2024/01/28 7,981
1549182 백화점 지하에서 1인샤브 먹는데 9 왜그럴까 2024/01/28 6,056
1549181 10살 스페인 패키지 여행 어떨까요? 16 ..... 2024/01/28 3,322
1549180 요즘 혼수나 집준비는 보통 어떻게하나요? 15 궁금 2024/01/28 3,631
1549179 가스렌지.가스 언제 떨어질지 알수없죠? 11 허상바라봄 2024/01/28 1,635
1549178 금욜날 세금 내고 욕하며 왔어요 어떤 연 좋은일 시키는구나 10 에구 2024/01/28 3,332
1549177 실손보험 이해하기 좀 어려운데 아시는 분 계세요? 28 ㅡㅡ 2024/01/28 3,280
1549176 2020년에 자궁적출했는데 10 ㅠㅠㅠ 2024/01/28 4,464
1549175 마음맞는 가족,친구가 없어서... 24 ㅣㅣ 2024/01/28 6,770
1549174 맞춤법 좀 틀리면 안 되나요? 27 하하하 2024/01/28 3,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