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옛날엔 여름에 냉장고없이 어케 살았을까요?

조상 조회수 : 1,648
작성일 : 2024-01-28 14:06:40

조상들의 지혜가 궁금하네요

IP : 49.173.xxx.113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러게요
    '24.1.28 2:07 PM (175.120.xxx.173) - 삭제된댓글

    어제 안그래도
    겨울에 건조기없이 어찌 살았지? 생각했네요.
    이제 겨우 3년차가 ㅎㅎ 우습죠.

  • 2. 그러게요
    '24.1.28 2:09 PM (175.208.xxx.164)

    여름에 하루만에 음식 다 상했을텐데 고기, 생선 이런거 어떻게 보관했는지..

  • 3. ..
    '24.1.28 2:13 PM (223.38.xxx.175)

    옛날 음식이 많이 짜잖아요
    여름에는
    고기국을 매일 매일 오래 오래 팔팔 끓이고

  • 4. **
    '24.1.28 2:16 PM (182.228.xxx.147)

    그래서 염장하고 말리고 해서 보관했지요.
    지금처럼 쟁여놓고 먹지도 않았고 그때그때 제철 음식재료 사서 생활했구요.
    김치는 여름에 시원한 그늘 시원한 물에 단지채 담궈놓고 보관했구요.
    그래도 여름엔 김치가 금방 시어버렸던 기억이 나네요.
    살짝 쉬어버린 밥은 물에 씻어서 먹기도 했어요.
    어릴적 생전처음 냉장고가 집에 들어오던 때의 설레임과 신기했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네요.

  • 5. 옛날엔
    '24.1.28 2:19 PM (121.165.xxx.112)

    바닷가가 아니면 생선 먹기 힘들었고
    내륙에선 간고등어나 건조 생선 먹었죠.
    고기는 잔칫날 소한마리 잡아서 여럿이 나눠먹고..

  • 6. 이만큼
    '24.1.28 2:20 PM (223.62.xxx.35)

    이만큼 덥지 않았고
    나무도 풀도 더 많았고
    왕궁에서는 냉장고 사용했지요.

  • 7. 일단
    '24.1.28 2:28 PM (118.235.xxx.163) - 삭제된댓글

    시골태생 제가 경험한거로는요.
    요즘처럼 식생활이 다양하고 풍부하지 않았구요.
    문만 열면 텃밭에 대파 오이 고추 부추 상추 같은 채소 그때그때 따다가 먹으니 보관필요없었지요.
    고기. 생선은 특별한 날에 많은 식구가 먹어버리니 보관은 언감생심

  • 8. …….
    '24.1.28 2:42 PM (114.207.xxx.19) - 삭제된댓글

    고기는 명절에나… 오늘 먹고싶다고 사다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님.
    동네 부잣집 잔치, 제사라도 있거나 해서 백정이 소돼지 잡는 날 예약판매, 그 중 남은 짜투리 돈 있고 운 좋으면 구입햐서 당일 조리.
    꿩 닭은 그나마 크기가 작으니 부자면 좀 먹었겠네요. 달걀도 귀하던 시절. 내륙에서는 바다생선은 귀했죠. 조기, 굴비같이 짜게 간한 꾸덕한 생선이나 말린 어포 제사상에 올렸고, 가끔 붕어 잉어 가물치나 미꾸라지 먹는 정도였겠죠. 고기는 커녕, 먹을 수 없는 풀떼기도 벗겨내고 찌고 말리고 온갖 수고를 다 해서 어떻게든 먹었던 게 우리 조상들인데요.
    집안일 하던 여자들은 얼마나 하루가 길었을까요? 삼시세끼 밥짓고 빨래하고 옷도 다 손바느질로 지어입고 기워입고 하려면..

  • 9. ……
    '24.1.28 2:47 PM (114.207.xxx.19)

    고기는 명절에나… 오늘 먹고싶다고 사다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님.
    동네 부잣집 잔치, 제사라도 있거나, 장날에 맞춰 백정이 소돼지 잡는 날 판매.. 서늘하기라도 하면 하루정도는 두었겠지만 여름엔 방법도 없었겠죠. 상한음식으오 배탈도 많이 낫을듯.
    시골에서는 진짜 사냥꾼이 잡은 노루 꿩 토끼도 간간히 사먹었대요. 닭은 그나마 크기가 작으니 부자면 좀 먹었겠네요. 달걀도 귀하던 시절.
    내륙에서는 바다생선은 구경하기도 힘들었대요. 조기, 굴비같이 짜게 염장한 꾸덕한 생선이나 말린 어포 제사상에 올렸고, 붕어 잉어 가물치나 미꾸라지 등 민물고기를 더 먹었을듯.
    고기는 커녕, 먹을 수 없는 풀떼기도 벗겨내고 찌고 말리고 온갖 수고를 다 해서 어떻게든 먹었던 게 우리 조상들인데요.
    집안일 하던 여자들은 얼마나 하루가 길었을까요? 삼시세끼 밥짓고 빨래하고 옷도 다 손바느질로 지어입고 기워입고 하려면..

  • 10. ....
    '24.1.28 3:56 PM (116.41.xxx.107)

    옛날 시골 할머니네 기억으로는
    야채는 매일 텃밭에서 따왔고
    반찬은 김치 장아찌가 많았고
    수박 같은 건 우물에 담궈 놨어요.
    소고기는 별로 안 먹었고
    닭은 마당에서 그날 잡아서 먹고

  • 11.
    '24.1.28 8:46 PM (59.8.xxx.68) - 삭제된댓글

    그래서 젓갈종류. 장아치가 많지요
    그리고 보관할거나 많나요
    오늘벌어서 오늘머기도 바빴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51527 오전에 있었던 사주도둑글 찾아요 4 궁금 2024/02/05 2,815
1551526 만약 사랑니 빼고 피 안멈추면 14 궁금이 2024/02/05 1,828
1551525 축구팀 주장은 나이순? 잘하는순? 7 cn 2024/02/05 1,404
1551524 문과 집중해야 할 과목 5 .. 2024/02/05 1,149
1551523 무한리필집 못가겠어요 10 ㅡㅡ 2024/02/05 5,932
1551522 음흉한 화법 7 이기는법 2024/02/05 3,024
1551521 전문대 문의드려요 10 전문대 2024/02/05 1,691
1551520 평화의 댐 건설 성금 모금 6 대한뉴스 2024/02/05 1,460
1551519 기초체력 테스트 10 ㄱㄴ 2024/02/05 1,472
1551518 브랜드 Nautica 2 .... 2024/02/05 1,218
1551517 "일본산 수산물 학교급식 사용 안 돼" 세종시.. 9 이현정세종시.. 2024/02/05 1,946
1551516 연말정산 의료비 공제 연말정산 의.. 2024/02/05 1,005
1551515 요즘 딸기 어때요 10 됐다야 2024/02/05 2,218
1551514 내신 4등급 지방고 이제 고2 올라가는데요. 9 내신 2024/02/05 2,255
1551513 민간자격증따면 활용방법이 있나요? 4 각종 지도사.. 2024/02/05 1,126
1551512 식세기 돌릴때마다 1Kw씩 써요 25 부담부담 2024/02/05 4,946
1551511 독서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요 20 마니아 2024/02/05 3,233
1551510 혹시 추락의 해부 보신 분? 3 궁금 2024/02/05 1,630
1551509 엄마가 해준게 뭐가있냐는 사춘기아들이요 40 펀치 2024/02/05 7,339
1551508 저 드디어 식세기 샀어요! 세제 추천해주세요 25 ㅋㅋㅋ 2024/02/05 2,649
1551507 원룸 이사시 가스는 미리 명의변경 해야 하나요? 5 원룸이사는 .. 2024/02/05 1,434
1551506 지난주말에 고기굽다 자르려고 가위를 들으니 8 456 2024/02/05 3,876
1551505 장애인친구들과 통합에 대하여 56 통합 2024/02/05 3,105
1551504 이영애 토크쇼한다는데 말을 잘하나요? 32 00 2024/02/05 4,232
1551503 김미숙씨 최근 사진 있기에..같은 나잇대의 한살 어린 이미숙사진.. 13 이사진속의 2024/02/05 5,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