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옛날엔 여름에 냉장고없이 어케 살았을까요?

조상 조회수 : 1,715
작성일 : 2024-01-28 14:06:40

조상들의 지혜가 궁금하네요

IP : 49.173.xxx.113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러게요
    '24.1.28 2:07 PM (175.120.xxx.173) - 삭제된댓글

    어제 안그래도
    겨울에 건조기없이 어찌 살았지? 생각했네요.
    이제 겨우 3년차가 ㅎㅎ 우습죠.

  • 2. 그러게요
    '24.1.28 2:09 PM (175.208.xxx.164)

    여름에 하루만에 음식 다 상했을텐데 고기, 생선 이런거 어떻게 보관했는지..

  • 3. ..
    '24.1.28 2:13 PM (223.38.xxx.175)

    옛날 음식이 많이 짜잖아요
    여름에는
    고기국을 매일 매일 오래 오래 팔팔 끓이고

  • 4. **
    '24.1.28 2:16 PM (182.228.xxx.147)

    그래서 염장하고 말리고 해서 보관했지요.
    지금처럼 쟁여놓고 먹지도 않았고 그때그때 제철 음식재료 사서 생활했구요.
    김치는 여름에 시원한 그늘 시원한 물에 단지채 담궈놓고 보관했구요.
    그래도 여름엔 김치가 금방 시어버렸던 기억이 나네요.
    살짝 쉬어버린 밥은 물에 씻어서 먹기도 했어요.
    어릴적 생전처음 냉장고가 집에 들어오던 때의 설레임과 신기했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네요.

  • 5. 옛날엔
    '24.1.28 2:19 PM (121.165.xxx.112)

    바닷가가 아니면 생선 먹기 힘들었고
    내륙에선 간고등어나 건조 생선 먹었죠.
    고기는 잔칫날 소한마리 잡아서 여럿이 나눠먹고..

  • 6. 이만큼
    '24.1.28 2:20 PM (223.62.xxx.35)

    이만큼 덥지 않았고
    나무도 풀도 더 많았고
    왕궁에서는 냉장고 사용했지요.

  • 7. 일단
    '24.1.28 2:28 PM (118.235.xxx.163) - 삭제된댓글

    시골태생 제가 경험한거로는요.
    요즘처럼 식생활이 다양하고 풍부하지 않았구요.
    문만 열면 텃밭에 대파 오이 고추 부추 상추 같은 채소 그때그때 따다가 먹으니 보관필요없었지요.
    고기. 생선은 특별한 날에 많은 식구가 먹어버리니 보관은 언감생심

  • 8. …….
    '24.1.28 2:42 PM (114.207.xxx.19) - 삭제된댓글

    고기는 명절에나… 오늘 먹고싶다고 사다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님.
    동네 부잣집 잔치, 제사라도 있거나 해서 백정이 소돼지 잡는 날 예약판매, 그 중 남은 짜투리 돈 있고 운 좋으면 구입햐서 당일 조리.
    꿩 닭은 그나마 크기가 작으니 부자면 좀 먹었겠네요. 달걀도 귀하던 시절. 내륙에서는 바다생선은 귀했죠. 조기, 굴비같이 짜게 간한 꾸덕한 생선이나 말린 어포 제사상에 올렸고, 가끔 붕어 잉어 가물치나 미꾸라지 먹는 정도였겠죠. 고기는 커녕, 먹을 수 없는 풀떼기도 벗겨내고 찌고 말리고 온갖 수고를 다 해서 어떻게든 먹었던 게 우리 조상들인데요.
    집안일 하던 여자들은 얼마나 하루가 길었을까요? 삼시세끼 밥짓고 빨래하고 옷도 다 손바느질로 지어입고 기워입고 하려면..

  • 9. ……
    '24.1.28 2:47 PM (114.207.xxx.19)

    고기는 명절에나… 오늘 먹고싶다고 사다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님.
    동네 부잣집 잔치, 제사라도 있거나, 장날에 맞춰 백정이 소돼지 잡는 날 판매.. 서늘하기라도 하면 하루정도는 두었겠지만 여름엔 방법도 없었겠죠. 상한음식으오 배탈도 많이 낫을듯.
    시골에서는 진짜 사냥꾼이 잡은 노루 꿩 토끼도 간간히 사먹었대요. 닭은 그나마 크기가 작으니 부자면 좀 먹었겠네요. 달걀도 귀하던 시절.
    내륙에서는 바다생선은 구경하기도 힘들었대요. 조기, 굴비같이 짜게 염장한 꾸덕한 생선이나 말린 어포 제사상에 올렸고, 붕어 잉어 가물치나 미꾸라지 등 민물고기를 더 먹었을듯.
    고기는 커녕, 먹을 수 없는 풀떼기도 벗겨내고 찌고 말리고 온갖 수고를 다 해서 어떻게든 먹었던 게 우리 조상들인데요.
    집안일 하던 여자들은 얼마나 하루가 길었을까요? 삼시세끼 밥짓고 빨래하고 옷도 다 손바느질로 지어입고 기워입고 하려면..

  • 10. ....
    '24.1.28 3:56 PM (116.41.xxx.107)

    옛날 시골 할머니네 기억으로는
    야채는 매일 텃밭에서 따왔고
    반찬은 김치 장아찌가 많았고
    수박 같은 건 우물에 담궈 놨어요.
    소고기는 별로 안 먹었고
    닭은 마당에서 그날 잡아서 먹고

  • 11.
    '24.1.28 8:46 PM (59.8.xxx.68) - 삭제된댓글

    그래서 젓갈종류. 장아치가 많지요
    그리고 보관할거나 많나요
    오늘벌어서 오늘머기도 바빴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75126 완전 새 가구를 팔아야하는데 어디다? 3 ㅡㅡㅡ 2024/04/27 1,759
1575125 시판고추장 선택 도와주세요 6 ... 2024/04/27 1,549
1575124 집 사는거요. 16 .. 2024/04/27 3,504
1575123 자식들에게 부모는 어떤 존재일까요? 11 -- 2024/04/27 3,480
1575122 이쁘기만 하구먼 12 퓨리 2024/04/27 3,864
1575121 오븐 사용법 질문드려요 1 구글 2024/04/27 811
1575120 냄새나고 썩은 60대 여자들을 누가건드리냐고? 9 ㅍㅎ 2024/04/27 7,517
1575119 플라스틱 비닐 포장을 줄이는 거 소비자가 해야할거같아요 4 포장 2024/04/27 891
1575118 저 아래 갱년기 화 얘기보니.. 6 ... 2024/04/27 2,519
1575117 이유없이 눈밑 멍이 들었어요 4 아시는 분 .. 2024/04/27 2,293
1575116 50중후반 남편들 어떤모습으로 사나요? 12 ... 2024/04/27 5,843
1575115 남편이 너무 꼴베기싫어요 16 2024/04/27 5,109
1575114 학교친구 없는 아이… 15 .. 2024/04/27 4,472
1575113 EM효소 실수로마심ㅜ.(급질) 8 EM 2024/04/27 1,987
1575112 가르치는 말투로 말하는 사람 싫어요 22 ........ 2024/04/27 5,507
1575111 아침에 엘베 문이 막 열렸는데 5 ... 2024/04/27 2,895
1575110 저 같은 엄마 있으세요? 17 응? 2024/04/27 4,938
1575109 김현정 "손흥민이 용돈은 주지 않냐" 질문했다.. 27 개망신 2024/04/27 6,409
1575108 조국혁신당, 개원 후 검찰캐비닛 국정조사 추진 17 ㅇㅇ 2024/04/27 2,125
1575107 아일릿 하도 화제라 찾아봤는데 14 dd 2024/04/27 4,180
1575106 어제 남편한테 1 허허 2024/04/27 1,201
1575105 나는 뭐가 문제인가 1 2024/04/27 1,219
1575104 선재 업고 튀어, 지표가 말해주는 화제성 괴물 20 소신을갖자 2024/04/27 3,896
1575103 장기 조심해라 5 댓글 2024/04/27 3,205
1575102 토요일 오후 양재코스트코 엄청날까요? 11 2024/04/27 2,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