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비발디파크에서 스키레슨 받는데 뭘 선택해야할까요

... 조회수 : 710
작성일 : 2024-01-23 18:59:51

처음 스키레슨 받으려 하는데요

 

이렇게 두 과정이 있더라고요. 리프트 미탑승 과정은 2시간짜리, 4시간 짜리가 있고요, 2번 과정은 4시간 과정만 있어요. 근데 리프트 탑승은 뭘 배우는건가요? 스키차고 리프트에서 내리는 방법을 배우는건가요? 아니면 실제 스키장에서 타는걸 배운다는 건가요? 리프트 미탑승으로 배우면 별로일까요? 어떤 레슨으로 선택하는게 좋을지요 1번이 좀 싸서 그게 땡기는데 1번으로 4시간 들을까 싶거든요.. 근데 리프트를 꼭 반드시 타야한다면 2번으로 하긴 해야겠지만 금액이 18만원 차이가 나서요.. 

 

1.[리프트 미탑승]

 

2.[2H후 무빙워크/리프트 탑승]

IP : 1.241.xxx.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4.1.23 7:02 PM (118.235.xxx.67)

    1은 스키를 타보는건 아니고 스키를 신고 걷는거예요

  • 2. ㅇㅇㅇ
    '24.1.23 7:04 PM (118.243.xxx.108)

    아마도 ..1번은 미탑승이니
    밑에서 그냥 무빙워크 배우는거 아닌지
    2번은 리프트 타고 올라가서 내려오면서 배우겠죠
    처음이면 2번 하세요

  • 3. 강습
    '24.1.23 7:05 PM (121.134.xxx.62)

    강습 한번으로 잘 하기는 힘들고 최초 한번은 리프트 안타고 평지에서 폼을 배우고 한번은 리프트 타고 올라가 직접 내려오는거 연습해보고 하는게 그나마 나을겁니다.

  • 4. ㅇㅇㅇ
    '24.1.23 7:16 PM (118.243.xxx.108)

    18만원 차이가 크네요
    운동신경 있고 젊으면 하루만 배워도 금방 타긴 해요
    유투브 검색해서 집에서 자세 연습하고
    실전 4시간 받으면 ,,
    18만원..아깝긴 하네요

  • 5. ....
    '24.1.23 7:32 PM (175.117.xxx.126)

    미탑승은 스키 슬로프를 내려오는 게 아니라 그냥 아래 평지에서 왔다갔다, 넘어지는 법, 정지하는 법.. 그런 거 배울 거예요..

    인라인, 스케이트 타본 적 있다거나, 운동 감이 좀 있다.. 하시는 분은 바로 리프트 탑승 올라가시면 되고 - 어차피 리프트 탑승으로 해도 1:1 레슨의 경우 선생님이 처음에 10~30분은 평지에서 기초 알려줄 거예요...

    그런 거 한번도 안 해봤고 운동 감도 없고 단체 레슨이면 2시간은 미탑승, 그 이후로는 탑승으로 레슨 끊으시면 될 듯요.

    리프트 탑승 한 번은 해보셔야죠..
    아래서만 왔다갔다 하면 그건 스키를 타봤다고 말하기가 곤란..

  • 6. ..
    '24.1.23 9:35 PM (211.58.xxx.158)

    당연 2번이죠
    제가 아이들 스키 강습 시켜주다 타고 싶어서 남편이랑 30대 후반에 스키강습 받았어요
    지상에서 기초 강습 에이자 그리기 연습
    리프트 타고 내리면 그쪽이 거의 경사에요
    거기서 꽈당 넘어진게 몇번이에요.. 나중에 리프트 도착하면 잘 내리는것만 해도
    다행이더라구요
    나중에 재미있어서 새벽 스키만 두달을 다녔네요
    요새 눈많이 오면 자연설이라 덜 다치고 배우기 좋겠어요
    서울 가까운 스키장은 인공설이라 빙판이 힘들었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49900 좋은집안에서 잘자란 좋은 케이스 111 역시 2024/01/31 27,182
1549899 인공눈물 계속 넣어도 되나요 6 ㅡㅡ 2024/01/31 2,008
1549898 어제 고속버스 없어서 귀가 못하신다는 분~~ 4 ^^ 2024/01/31 1,536
1549897 손준성 고작 1년? 2 .... 2024/01/31 898
1549896 아이가 친구에게 마음을 열어가는게 기특해요 ㅎ 3 0011 2024/01/31 1,271
1549895 의대 정원 개편안 30 의대 2024/01/31 3,749
1549894 이 식사. 영양 괜찮을까요~~? 2 공간 2024/01/31 1,344
1549893 내일부터 2월이네요~ 늦겨울 시작~ 7 봄봄이 2024/01/31 2,282
1549892 일본산 유리컵 사용해도 될까요? 18 ㅇㅇ 2024/01/31 1,907
1549891 비밀이 많은 아이 친구, 손절하라 해야겠죠? 22 ... 2024/01/31 4,662
1549890 폼페이전 1 현소 2024/01/31 734
1549889 국내도입이 시급한 중국정책 2 .... 2024/01/31 836
1549888 수학머리가 나중에라도 터지는 경우 있을까요? 21 ㅡㅡㅡ 2024/01/31 3,032
1549887 질서를 안지키는 사람들을 보면 화가 나요 7 ... 2024/01/31 943
1549886 축구 포함 모든 스포츠는 진짜 흐름이 중요한듯. ㅇㅇ 2024/01/31 454
1549885 차두리 아직 안 죽었네요 ㅋㅋㅋㅋ.gif 15 무슨 말인가.. 2024/01/31 7,890
1549884 한 달에 천오백 이천씩 벌려면 무슨 일 하면 되나요?? 14 ¿ 2024/01/31 6,045
1549883 요양병원은 왜 바로 면회가 안될까요. 8 노인인권 2024/01/31 2,730
1549882 세탁기 직렬설치한경우 as 할때요 4 조언좀 2024/01/31 1,029
1549881 불고기 감으로 샤브샤브 해도 되나요? 4 모모 2024/01/31 1,466
1549880 비행기 도착후 대합실에 보통 언제나요? 2 .... 2024/01/31 767
1549879 축의금 얼마가 좋을까요? 15 언니 2024/01/31 2,628
1549878 욕실손잡이 열쇠있는게 나을까요?? 4 궁금이 2024/01/31 646
1549877 부천시 전세사기 ( 혹은 미분양 ? ) 근황이라는데/펌 4 어쩔 2024/01/31 1,718
1549876 원래 수돗물에 하얀가루가 있나요? 7 .. 2024/01/31 1,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