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제 집값 우상향은 끝났다는 느낌이 들어요

대세흐름 조회수 : 6,016
작성일 : 2024-01-21 15:37:45

나름 아파트 사고팔아서 돈을 좀 벌었어요.

그렇다고 투기하고 다니는 건 아니고

살고 있는 거주 지역(강남)에서 상승기마다 일시적인 1가구 2주택 두어번 이용하니 자산이 어마무시하게 불긴 했더라고요.

집값이 이제는 오르기 어렵다고 판단한 첫번째 이유가

드라마 등의 컨텐츠 변화에요.

요새 예전에 인기 있었던 1990~ 2000년대 드라마를 가끔 보는데

이때만 해도 남녀 주인공이 나오는 드라마의 결론은 반드시 둘의 결혼이었어요.

또 남녀 주인공의 나이를 따지면서 결혼을 서두르는 부모나 주변 어른들의 대사가 꼭 나왔거든요.

그런데 요새 드라마는 남녀 주인공의 결혼이 결론으로 끝나는 경우가 없어지고 부모들 역시 남녀 주인공의 결혼을 서두르는 분위기도 없어요. 30살이 넘어도 아무렇지도 않게 부모와 같이 살아요. 

그 시절의 드라마가 당대의 분위기를 가장 잘 대변한다고 보는데

요새 드라마는 2000년대 초반과 진짜 확 바꼈어요.

진짜 결혼을 안 하나봐요.

이제까지 결혼을 할 때 어떻게든 집을 마련하고 이후  아이들을 낳으면서 집 평수를 넓혀가는 과정을 대한민국의 모든 남녀는 반드시 따라갔어요. 이 과정을 거치면서 집값은 계속 오를 수밖에 없었고요. 너무너무 오르다 보니까 맞벌이는 필수가 돼서 예전에는 남편 혼자 영끌받아 집사다가 이제는 여자들까지 같이 영끌받아 집사서 집값이 이렇게 폭등을 하게 된건데

요새는 진짜 결혼 자체를 안하고 그냥 부모랑 계속 같이 살던지 아니면 작은 아파트나 작은 원룸 하나 얻어서 따로 독립하던지.

이런 분위기가 대세가 되어 가네요.

집값이 너무 올라서 사람들이 집을 안 사서 지금 집값이 하락으로 가는 것 같기도 하지만 사회 분위기 자체가 이제 적극적으로 자녀들의 결혼을 푸시하지를 않네요.

결혼을 해서 자녀를 낳고 더 넓은 집으로 옮기려는 과정이 있어야  집값이 계속 올라주는건데 이 과정이 이제 필수가 아니라 선택이 되었네요

이러니

새로운 주택 구매자가 계속 줄어들수 밖에요.

투기 세력은 기생충과 같아서 집을 꼭 필요로 하는 실수요자들이 많았을 때 그 분위기에서 들러 붙어 기생하거든요. 그런데 실수요자들이 점점 줄어가면 붙어 먹을 게 점점 없어지니까 기생충(투기세력)도 이제 사라지는 겁니다.

한반도 역사상 이렇게 출생수가 급격하게 줄어든 적이 없잖아요.  그래서 투기꾼들이

실시자들을 끌어들일 때 써먹었던. 무조건 우상향 역시 종말이 오고 있는것 같아요. 그래서 실수요자뿐 아니라 이 실요자한테 붙어 먹고 살던 투기꾼들조차도 점점 줄어들 것 같아요.

 

IP : 223.38.xxx.203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건또
    '24.1.21 3:43 PM (211.250.xxx.223) - 삭제된댓글

    에에엥?????

  • 2. ..
    '24.1.21 3:45 PM (118.235.xxx.22) - 삭제된댓글

    동감합니다

  • 3. 그럴리가
    '24.1.21 3:49 PM (211.223.xxx.123) - 삭제된댓글

    양극화는 벌어질 지 몰라도 전반적 우상향은 등락이 있을 뿐 변하지 않아요.
    한국의 근미래는 가까이는 도쿄 크게는 뉴욕을 보면 알죠(물론 서울이나 광역시 기준이지만 결국 그 기준이 그 나라의 집값..)
    집값은 오르고 올라 월세내느라 직장다니는 꼴...
    다만 소도시나 시골의 인구소멸이 좀 문제는 되겠지만요.

  • 4. ㅎㅎ
    '24.1.21 3:55 PM (14.36.xxx.107) - 삭제된댓글

    저도 비슷한 생각 해봤음 ㅎㅎ
    상가도 한땐 노후대비 였는데 이제 공실 걱정
    시대의 변화란게 빠르네요.

  • 5. ..
    '24.1.21 3:56 PM (106.101.xxx.1)

    강남에 집 소유하고 있고 상가도 있는데 오르지 않아도 상관 없어요. 하지만 여기 떠나 다른 곳 가고 싶지 않고 거주할 공간은 필요하느 그냥 사는 거죠. 전 아이 주려고 하나 더 사놨어요. 평생 산 곳 떠나지 못하니..어쩌나요.

  • 6.
    '24.1.21 3:58 PM (124.50.xxx.72)

    지방에 신입생없는 학교가 많다는 기사보고
    저출산문제가 이미늦은거같요
    돈준다고 누가낫냐

  • 7. 통계를보니
    '24.1.21 3:59 PM (211.250.xxx.112)

    초혼 연령은 많이 늦어지기는 했는데요, 남자는 소득수준과 결혼비율이 정확히 정비례하네요. 그말은 고소득자 비율이 높은 거주지역의 주거수요가 유지된다는 말이 아닐까요?

  • 8. ..
    '24.1.21 4:01 PM (58.230.xxx.146)

    저번주인가 똑같은 제목으로 글 쓰지 않으셨나요? 똑같은 제목의 글 본거 같아서요
    주기적으로 올리시는 건가....

  • 9.
    '24.1.21 4:05 PM (182.224.xxx.68)

    님 말대로 되길 바랍니다 꼭이요
    믿음이 강하면 이뤄집니다 호 ㅏ이팅팅!!

  • 10. ...
    '24.1.21 4:17 PM (116.36.xxx.130)

    남편네 학교가 그때는 과밀화 학급이었는데 올해 폐교했다해요.
    보합으로 쭉 가겠죠.
    그건 물가상승률로 따지면 내려가는거죠.

  • 11. ...
    '24.1.21 4:23 PM (180.70.xxx.231)

    30년전 일본보다 상황이 더 심각하다는데...
    중국 한국 모두 일본 전철 따라 갈 것 같은데요

  • 12. 공감
    '24.1.21 5:10 PM (221.150.xxx.222)

    인구가 급격히 줄었고 결혼도 아이도 안낳는 분위기와 더불어
    이미 살사람은 거의 다 사서 받혀줄 사람이 없어요

  • 13. ㅇㅇㅇ
    '24.1.21 6:03 PM (118.235.xxx.248) - 삭제된댓글

    왜요

    중국 부자들이 많이 삽니다

  • 14. ㅇㅇ
    '24.1.21 6:05 PM (125.132.xxx.175) - 삭제된댓글

    집 사는 목적이 결혼에 있고
    평수를 늘리는 목적이 출산에 있다고 보는 건
    지극히 기혼자의 편견이고요
    그것도 드라마로 유추한 결과라니 귀엽네요 ㅎㅎ

    혼자 산다고 다 작은 평수 사는 거 아니구요
    경제력에 비례해서 주거환경 좋은 곳 찾아 삽니다

    출산률은 낮아져도 사망률도 낮아져서요
    노인인구 주는 속도가 느려서 거주할 집의 필요는 똑같아요
    어쩌면 남녀가 결혼해서 한 집에 살았다면
    이제는 결혼 안한 남녀가 따로 두 집에 사는 것이니
    주택의 필요성은 더 늘어나지 않을까요?

  • 15. ㅇㅇ
    '24.1.21 6:36 PM (118.235.xxx.191)

    일본 밉지만...
    일본은 잃어버린 30년 후 어느 정도 정리가 되어가는
    방향이지만
    한국은 잃어버린 몇년이 될지 가늠이 안 된다고 하더라고요...
    집값 우상향은 커녕 경제 너무나 가파르게 쪼그라 들까봐
    그것이 제일 큰 우려라고...

  • 16.
    '24.1.21 7:36 PM (121.167.xxx.120)

    믿거나 말거나 부동산 전문가들은 2년 뒤쯤 서울 수도권은 집 값 오른다고 하던데요

  • 17. 아뇨
    '24.1.22 12:46 AM (122.43.xxx.165)

    화폐가치가 무조건 하락하지 않아요
    일본보세요. 거품 꺼지고 잃어버린 30년간 물가가 고정이고
    은행 예금 금리도 -1%이랬어요
    화폐가치가 그냥 30년째 머무른거죠
    화폐가치가 하락한다는것은 인생의 한 주기가 몇백년된다면 모를까
    소득생활시작하고 끽해야 40년정도 사는건데
    화폐가치가 고정인시대면 답없죠.
    지금 한국 부동산 거품이 일본 버블터질때보다 높은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50065 백옥주사 11 ㄴㄷㄹ 2024/01/31 3,233
1550064 72년생 52세 아닌가요? 22 ^^ 2024/01/31 5,578
1550063 축구 옐로카드 규정에 10명 걸려 있음 1 ..... 2024/01/31 1,122
1550062 콩나물무침 어떻게 만드세요? 14 ㅇㅇㅇ 2024/01/31 2,938
1550061 모과청의 모과 먹어도 되나요? 3 ,, 2024/01/31 920
1550060 거니 뇌물백을 주거침입으로 한다고? 6 메이you 2024/01/31 802
1550059 산화마그네슘 이요.. 아시는분들 답변 좀 부탁드려요 2 알고먹기 2024/01/31 1,087
1550058 고1 통합과학 인강 추천부탁드립니다 13 .. 2024/01/31 2,028
1550057 이이경 와이키키2 오줌참는 연기 6 ... 2024/01/31 2,789
1550056 주거 침입자에게 쌍화차 권유 3 개검들 2024/01/31 2,468
1550055 너무 쳐지고 먹는거에비해 살이찌는데 4 ///// 2024/01/31 1,453
1550054 고2)과탐 문제집 좀 추천해 주세요 3 고등의 세계.. 2024/01/31 635
1550053 온누리 종이상품권 이제 항상 5프로죠? 1 .. 2024/01/31 994
1550052 이제 의대 광풍 확실히 끝났네요. 39 ㅇㅇ 2024/01/31 7,889
1550051 민주, 나경원 출마 동작을에 추미애 투입 저울질 3 ... 2024/01/31 1,092
1550050 제가 꼰대인가요 3 wetttt.. 2024/01/31 1,057
1550049 반도체 etf 떨어지네요 1 그냥 2024/01/31 1,531
1550048 아산병원 갑상서 결절 진료보려는데요. .. 2024/01/31 483
1550047 조선일보 한입으로 두말하기 4 ㄴㄱ 2024/01/31 938
1550046 사과를 하면 무조건 받아줘야한다 생각하세요? 6 ㅇㅇ 2024/01/31 1,339
1550045 골절에 영양보충 무슨음식먹을까요? 5 ,,, 2024/01/31 936
1550044 상사 스타일 한번 봐주실래요? 00 2024/01/31 323
1550043 항공대 뒤 3기 신도시 이름이 뭔가요? 5 상암동살고 .. 2024/01/31 1,603
1550042 홍익표 '이언주 쪽이 먼저 복당 의사 밝힌 것' 3 이렇다네요 2024/01/31 1,254
1550041 사람마다 다른 라면에 계란 넣는 스타일.jpg 8 ..... 2024/01/31 1,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