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상가 공실 뉴스를 봤는데

..... 조회수 : 5,865
작성일 : 2024-01-18 22:18:28

전국적이고 강남권이나 신촌 이대도 다를바가 없으며, 몇년전보다 상가부동산 거래총액이 40%수준으로 줄어들었다는 뉴스.

 

모 감정평가사의 인터뷰를 실었는데 공실임에도 임대료를 못낮추는 이유가 은퇴자들 노후자금이어서 그렇다네요.

지금 낮게 내놓으면 나중에 다시 올리기가 힘들기때문에 버티는 거라고 하네요.

가로수길 같은 비싼 곳들 공실 기사 보고 그 아래 댓글들 읽어보면 건물주들의 욕심으로 몰아가는 내용들이 많잖아요. 

이런 곳들이야 부자 건물주들이  많으니 그냥 그런가보다 했네요.

그런데 아마도 훨씬 많은 수가 살기 위해서 임대료를 못내리는 중인가봐요.

버티는 노인들도 본인들의 노후가 걸려있는 상황인데 어쩔수 없잖아요.

유동성 시대때 매입한 상가라면 엄청 비싸게 대출껴서 샀을거구요.

그런데 물가는 천정부지로 솟고 있는 중이고 이래저래 다들 힘들어지나 봅니다.

 

IP : 39.7.xxx.168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4.1.18 10:25 PM (222.99.xxx.201)

    은퇴 직전에 대출 풀로 땡겨 월세 받아 노후 자금 하려고 했는데
    은행 이자 높아져서 월세 못내리는 거죠
    강남 대로에도 뒷골목 2층부터는 비어 있는데 너무 많아요

  • 2. ...
    '24.1.18 10:30 PM (115.92.xxx.235)

    버텨도 이제 소용없죠
    그 많은 상가가 이젠 필요하지 않아요
    우리부터도 상가에 가서 무얼 얼마나 소비하나요

  • 3. ...
    '24.1.18 10:34 PM (1.232.xxx.61)

    미국도 상업용 부동산이 뇌관이라고 하더라고요,
    거리에 빈 가게 수두룩해요.

  • 4. 그니까요
    '24.1.18 10:50 PM (211.58.xxx.161)

    돈있음 걍 이자받아먹고사는게 속편해요
    조금 더 벌려다가 맘고생만ㅜ

  • 5. 조물주->건물주
    '24.1.18 10:52 PM (180.70.xxx.227)

    은퇴 자금이라구요?
    은퇴 자금이라던가 유지도 못할거면 장기간 보유도 못하고
    팔아버립니다...뭔 돈으로 샀던 세입자 없어도 견딜만 하니
    버티는거구 동정이나 염려는 스스로나 하세요.....그놈의 수
    백배 수천배 상가가 들어서기전 한국으 이미 미국,유럽,일본
    등 보다 자영업(장사,가게)이 70% 이상 많다고 20여년전 부터
    엄청 염려를 했습니다...그러면서도 상가 디지게 지어대고 홍대?
    거기 오래전 거의 30여년전 드믈게 놀러도 갔었고,종로 종로
    서적 뒷편도 자주 놀러 다녔는데 지금 다 망했지요...길가 5-6층
    건물이 여러채 빈채로 10년이 넘게 있네요...본인들 걱정이나
    하시고 조물주 위 건물주 걱정 마세요...

  • 6.
    '24.1.18 11:02 PM (124.50.xxx.72)

    자영업자들 줄폐업 이미 시작했어요

  • 7. 서울인구
    '24.1.18 11:04 PM (14.100.xxx.84)

    서울인구는 20년전보다 100만명 줄었는데 상권은 계속 확장되어갔죠.
    상권이 계속 확장되고 인구는 줄어들고 있으니 구 상권이 말살되거나(이대쪽) 신상권에 유입이 안 되거나(여긴 역세권 지역 여러군데)

    앞으로도 안 좋을 것이고 건물주들은 버틸 수 있으니 월세 안 내리고 버티는 거야 본인 자유죠. 은행은 거품 잔뜩 낀 상가들 담보 잡고 대출 해줬으면 알아서 수를 쓰겠죠

  • 8. …….
    '24.1.18 11:07 PM (39.119.xxx.4)

    버텨도 소용 없어요.
    상가는 공실되면 바로 마이너스 손실률이라
    게다가 대출 없어 이자 안나가도 마이너스인게 관리비는 부과 되거든요.
    버티는게 의미없어져요
    너도나도 버티고 유령상가 되고 유령거리 되면 희망도 없어요
    무조건 공실 없이 가는게 그나마 손실 줄이는 거예요

  • 9. ㅇㅇ
    '24.1.18 11:08 PM (116.32.xxx.100) - 삭제된댓글

    사실 저만해도 온라인으로 상당히 많은 부분을 해결하니
    장보는 것도 생필품도 옷도 그렇고 이것저것 생활에 소소하게 필요한 건 인터넷으로 주문하면
    빠른 건 다음 날 보통은 이틀후면 현관앞에 놓여 있으니
    직접 가서 사는 사람들은 갈수록 줄어들죠

  • 10. ...
    '24.1.18 11:10 PM (14.36.xxx.99)

    버티라 하세요

    앞으로 어차피 온라인 판매가 더 높아질꺼고

    대부분 오프라인에서 물건 확인하고 온라인으로 주문하는 추세죠

    그냥 시대 흐름이에요~~

  • 11. ..
    '24.1.18 11:16 PM (211.58.xxx.158)

    버틸만 하니 하겠죠
    건물주 걱정 서민은 안할래요
    유리지갑이라 꼬박꼬박 세금 내고 월급받아
    물가 높은데 장보려니 머리 아파요

  • 12. ..
    '24.1.18 11:32 PM (175.114.xxx.123)

    거래 총액이 40프로 ㄷㄷㄷ
    거래가 반토막이 났는데도 임대료가 내려 가지 않다니

  • 13. 그게아니고요
    '24.1.18 11:47 PM (61.84.xxx.145) - 삭제된댓글

    임대료가 곧 건물의 가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못내리는 겁니다. 차라리 월세 한두번 안받아도 임대료는 건물값과 관련있기에 함부로 못낮춰요.
    이건 일반인들은 모르는 세계지요.

  • 14. 그러게요
    '24.1.18 11:48 PM (125.184.xxx.70)

    은퇴 자금이라구요?
    은퇴 자금이라던가 유지도 못할거면 장기간 보유도 못하고 팔아버립니다...뭔 돈으로 샀던 세입자 없어도 견딜만 하니 버티는거구 동정이나 염려는 스스로나 하세요.....그놈의 수백배 수천배 상가가 들어서기전 한국은 이미 미국,유럽,일본 등 보다 자영업(장사,가게)이 70% 이상 많다고 20여년전 부터
    엄청 염려를 했습니다. 2222222

  • 15. 임대료 못내리는
    '24.1.19 12:10 AM (112.154.xxx.145) - 삭제된댓글

    공실로 두고서라도 임대료 못내리는 이유가
    이미 분양받을때 감정가의 80프로 대출을 받았으니
    임대료를 내리면 감정가가 내려가 그만큼 대출을 상환해야 되기때문이예요
    물론 임대료 내렸다가 다시 올리기 힘든 부분도 있지만요
    대한민국 상가는 수분양자들이 호구되어 주면서 오로지 건설사 시행사 돈벌게 해주는 시스템이예요

  • 16.
    '24.1.19 1:16 AM (223.38.xxx.13) - 삭제된댓글

    그래도 버티는 사람들은 여유 있어서 괜찮아요. 진짜 힘들면 건물 내놓거든요

  • 17. 소도시인데
    '24.1.19 6:52 AM (112.186.xxx.86) - 삭제된댓글

    번화가에 공실 투성이에요.
    여기는 외곽으로 아파트지구들이 들어서서
    구상권은 멀어서 사람들이 오지 않아요.
    인구도 쥴어들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49717 자동차 유리에 김 끼는데에 4 에구 2024/01/30 787
1549716 지하철 한 칸 모두 검정 옷 15 ... 2024/01/30 4,041
1549715 '정용진 핸드크림’ 만든 이는 발암물질 ‘스타벅스 굿즈’ 납품 .. 1 000 2024/01/30 4,574
1549714 무는 어떻게 보관하나요? 3 무무 2024/01/30 968
1549713 김혜정씨는 전원일기촬영 장소에서 전원주택짓고 20여년간 혼자 11 남편은 없는.. 2024/01/30 6,192
1549712 '쥴리 의혹' 유포한 안해욱 구속영장…다음 달 1일 심사 17 ... 2024/01/30 2,739
1549711 대전에 반려견 동반식당 있나요? 6 켄넬필수 2024/01/30 865
1549710 주식계좌 5백 남기고 뺐는데 카카오게임즈 살까? 8 엊그제 2024/01/30 2,204
1549709 남편의 의료보험 계산이 궁금해요 14 이제 와서'.. 2024/01/30 1,662
1549708 태안 여행 다녀왔는데요 8 여행 2024/01/30 2,036
1549707 손톱 길어진 부분이 1mm만 되어도 불편한 분 계신가요? 15 ... 2024/01/30 2,076
1549706 며느리밥 2 11 .... 2024/01/30 4,418
1549705 이 반찬 가르쳐주세요 6 뭐였더라 2024/01/30 2,152
1549704 다양한 운동화 아디다스 가젤 3 쇼핑초보 2024/01/30 1,428
1549703 한식 요리 이름이 생각이 안 나요 ㅠ 4 요리 2024/01/30 1,348
1549702 성형 한번도 안한분들 후회하시나요? 29 ㅇㅇ 2024/01/30 4,988
1549701 이언주 민주당 복당 신청 28 .. 2024/01/30 2,909
1549700 70대 후반 부모님 해외여행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추천부탁 2024/01/30 3,744
1549699 달지않은 떡 구입처 알려주세요 7 ... 2024/01/30 1,809
1549698 시아버지 병원진단서 발급시 5 병원 2024/01/30 1,141
1549697 목발로 대중교통 타기, 주의사항 부탁드려요. 12 골절러 2024/01/30 1,660
1549696 집에 아픈 사람 있으면 제사 차례 안 지내야 하나요? 10 요양원 2024/01/30 5,539
1549695 딸아이가 미국대학원 코넬대 조지아텍중 선택해야하는데요 43 ... 2024/01/30 5,713
1549694 40년만에 만난 일란성 쌍둥이 .. 다른 삶 66 쌍둥이 2024/01/30 22,862
1549693 아들보고 에어워크 해보라고 했더니 잘하네요? 2 호오 2024/01/30 1,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