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불안감 극복 팁 7가지

ㅇㅇ 조회수 : 8,903
작성일 : 2024-01-07 05:43:40

정신과 의사들이 알려주는 불안감 극복 팁 7가지

 

불안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걱정이나 두려움을 느끼고 몇 시간 동안이나 최악의 시나리오를 생각하는 일이 자주 생긴다. 이로 인해 직업상의 목표, 개인적 인간 관계, 삶의 질에 차질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대처 방법이 존재한다. 전문가들이 불안이 커질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요령들을 제시했다. 당신이나 당신의 지인이 걱정과 공포를 멀리할 수 있는 방법들이다.

 

1. 걱정할 시간을 정해두라

하루 일과 중에 불안한 생각이 들면, 생각의 흐름을 확인한 다음 미뤄두었다가 나중에 다시 생각하라. 미시건대 정신과 임상 부교수 릭스 워렌의 조언이다. 워렌은 이 테크닉을 ‘걱정 연기’ 혹은 ‘걱정 일정 관리’라 부른다. 아주 효과적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극장에서 영화를 보다가 직장에서 하게 될 프리젠테이션 때문에 불안해진다면, 생각을 잠시 멈추고 걱정 전체를 선반에 얹는다고 생각하라. 스스로에게 “지금은 난 회사에 있는 게 아니야. 내일 사무실에서 생각해야지.”라고 말하라.

나중에 당신을 불안하게 만든 것을 생각해야 할 때가 오면, 당신이 신뢰하는 사람과 의논해보는 것을 고려하라.

 

2. ‘재앙 등급’을 만들라

종이에 선을 그어라. 선 시작 부분에 0을, 가운데에 50을, 끝에 100을 적어라. 워렌은 이것을 ‘재앙 등급’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일이 뭘까?”라고 자문해보라. 떠오르는 것들을 가장 수치가 높은 곳에 적어라.

“아이가 죽는 것, 끔찍한 사고 등을 생각해 보면 다른 일들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모든 게 다 100은 아니기 때문이다.”

취업 면접에 지각한다거나 파티에서 실수하는 것은 유감스러운 사건이다. 그러나 크게 봤을 때 이런 일들은 심하게 자책할 일은 아니라는 걸 믿어야 한다.

재앙 등급을 매기는 일을 하는 이유는 당신이 각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깨닫기 위해서다. 당신을 응원하는 친구들에게 기대거나, 전화하거나, 스트레스를 줄이고 떨치기 위해 운동을 하는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3. 큰 프로젝트를 작은 과제들로 쪼개라

걱정과 불안은 직장에서 일을 질질 끄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고 스탠포드대 정신과 교수 키스 험프리스는 말한다.

“[불안이 있는 사람은] 제 시간에 출근하고, 일을 끝맺고 싶어한다. [그러나] 불안이 그들을 마비시킨다.”

험프리스는 너무 크게 느껴지는 프로젝트를 최대한 작은 과제들로 쪼개라고 권한다.

작은 목표들은 사회 불안을 다스리는 데도 효과적이다. 파티에 가는 게 부담스럽다면 파티에서 사람들을 즐겁게 해줘야 한다는 걱정은 버려라. 호스트에게 인사해야겠다, 모르는 사람 1명과 대화해야겠다는 등의 작은 목표 한 가지만 세워라.

 

4. 당신의 불안이 잘못되었다는 걸 스스로에 입증하라

로스 앤젤레스의 캘리포니아 대학교 불안과 우울 연구 센터에 의하면 불안을 지닌 사람들은 불안을 유발시키는 것에 스스로를 노출시키면 대처를 더 잘한다고 한다. 최악의 사태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보여줌으로써 당신이 경험하는 공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타는 것이 두렵고, 당신의 최악의 공포가 지하철에 한참이나 갇혀 구조받지 못하는 것이라 치자. 당신의 최악의 공포를 품고 지하철을 타라. 별 일 없이 지하철에서 내리고 나면 당신은 최악의 가설이 틀렸음을 성공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이것은 당신에게 힘을 주는 연습이 될 수 있다고 워렌은 말한다.

 

5. 억지로라도 신체를 차분한 상태로 만들라

당신의 몸에는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장치가 이미 있다. 그걸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호흡에 집중하고 발바닥을 바닥에 딱 붙여라. 그럴 기분이 아니라 해도 미소를 지어라. 근육에 힘을 주었다고 풀기를 반복하라. 몸의 긴장을 풀면 감정도 따라오는 경우가 많다.” 험프리스의 조언이다.

 

6. 당신의 불안을 받아들여라

워렌에 의하면 불안을 받아들이는 것과 자신이 불안을 겪는 사람임을 아는 것 사이엔 큰 차이가 있다고 한다.

“사람들은 불안을 느낀다는 사실에 자책을 한다. 불안과 자신을 함께 받아들이고 당신만 그런 게 아님을 깨닫도록 하라.”

그건 사실이다. 불안 장애는 미국에서 가장 흔한 정신 건강 문제로, 미국 성인 중 거의 4천만명이 불안을 경험한다. 스스로의 상태에 대한 동정심을 키우는 게 중요하다.

“마치 친구가 당신을 도와주듯, 불안을 느끼는 당신 스스로를 도와주라.” 워렌의 말이다.

 

7. 불안 장애는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을 기억하라

“불안이 심하고 매일같이 마비되듯 한다면, 효과가 있는 정신 건강 치료법들이 있다.” 험프리스의 말이다.

당신은 불안을 경험하고 있지 않지만 지인 중에 그런 사람이 있다면, 그들이 겪는 일을 최대한 이해하려 애쓰라. 미국 질병 통제 예방 센터에 의하면 정신 건강 장애가 있는 사람들 중 25%만이 타인이 자신의 경험을 이해한다고 느낀다.

무엇보다 당신이 차분함과 건강함을 느낄 자격이 있다는 걸 기억해야 한다. 불안에 이끌리는 당신의 생각들 때문에 당신이 어떤 믿음을 갖게 되든, 위험은 당신 생각보다 훨씬 낮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우릴 어떻게 생각할지 걱정한다. 사실 남들은 우리 생각을 별로 안 한다는 걸 알면 걱정이 훨씬 덜할 것이다.”

 

*허프포스트US의 7 Psychiatrist-Backed Tips To Help You Manage Anxiety를 편집했습니다.

 

출처 : 허프포스트코리아
https://www.huffington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54611

IP : 59.17.xxx.179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1.7 6:52 AM (211.206.xxx.191)

    불안함 극복팁 감사합니다.

  • 2. ..
    '24.1.7 7:08 AM (121.134.xxx.22)

    불안감 극복팁 7가지

  • 3. 가문의 영광굴비
    '24.1.7 7:09 AM (223.38.xxx.72)

    저도 감사해요

  • 4. sunnysoft
    '24.1.7 7:39 AM (211.203.xxx.11)

    불안감 극복팁 7가지 감사합니다

  • 5. 감사
    '24.1.7 8:22 AM (218.39.xxx.130)

    불안감 극복팁 7가지 감사합니다

  • 6. 저도
    '24.1.7 8:25 AM (172.226.xxx.43)

    요새 너무 불안한데 잘 읽어볼께요
    감사합니다

  • 7. 콩민
    '24.1.7 8:31 AM (106.101.xxx.106)

    불안은 내친구..

  • 8.
    '24.1.7 9:28 AM (118.46.xxx.100)

    불안 저장해요

  • 9.
    '24.1.7 9:45 AM (125.135.xxx.232)

    감사합니다
    불안 선반

  • 10. 감사해요
    '24.1.7 11:05 AM (211.234.xxx.40)

    기사 마지막 인용문, 가끔 떠올려요

  • 11. 저한테
    '24.1.7 11:10 AM (122.43.xxx.239)

    꼭필요하네요. 감사합니다

  • 12. ...
    '24.1.7 11:14 AM (39.118.xxx.243)

    불안극복팁 감사합니다

  • 13. ㅇㅇ
    '24.1.7 11:20 AM (183.96.xxx.237)

    딸이 불안장애예요 참고할게요

  • 14.
    '24.1.7 12:25 PM (1.240.xxx.202) - 삭제된댓글

    정조 감사해요…

  • 15.
    '24.1.7 12:26 PM (1.240.xxx.202)

    정보 감사해요…

  • 16. sunny
    '24.1.10 7:17 PM (91.74.xxx.133)

    불안감 극복팁 7가지

  • 17. ..
    '24.11.5 8:29 PM (180.69.xxx.29)

    불안감극복 팁 7가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39131 몸의 긴장도가 너무 높아요 12 .... 2024/01/09 4,029
1539130 누구를 위한 나라인가 8 국민이 권력.. 2024/01/09 921
1539129 8090년대 지나친 남아선호사상이 후대에 출생율에 부정적이 영향.. 15 ........ 2024/01/09 2,752
1539128 수학학원 원장의 글인데 35 ㅇ.ㅇ. 2024/01/09 7,618
1539127 패딩 얼마짜리 입고 다니나요 24 내아자 2024/01/09 6,735
1539126 고려거란전쟁 .경성 크리처 11 .. 2024/01/09 2,099
1539125 에버랜드 푸바오 관람 8 나는야 2024/01/09 2,402
1539124 사주보려면 음력? 태어난 시간 모르면 정확한 사주 안나오나요? 6 72.12... 2024/01/09 2,669
1539123 흔히들 자식 대학 어느정도 갔구나 싶은 컷은 30 궁금 2024/01/09 6,243
1539122 매일 감사글 쓰니 좋네요 7 ........ 2024/01/09 1,315
1539121 부모님 요양등급 받으신 분들 6 .. 2024/01/09 2,289
1539120 "같이 잤냐" 성희롱 논란 현근택 ".. 40 ㅇㅇ 2024/01/09 4,092
1539119 검정 코트에 어울리는 목도리 색은 뭘까요 14 ..... 2024/01/09 4,603
1539118 스페인어 통역 어플 좋은 거 있나요? 3 Llll 2024/01/09 658
1539117 경찰, ‘이재명 습격범’ 신상 공개 안 하기로 43 ... 2024/01/09 3,153
1539116 이낙연의 목적은 민주당표를 국힘에 바치는 건가요? 22 급질 2024/01/09 1,592
1539115 수도꼭지 필터 추천 좀 해주세요 3 2024/01/09 618
1539114 전기밥솥에 쌀밥 최대 몇시간 보관 가능한가요? 8 .. 2024/01/09 1,702
1539113 전병이 맛있어요~ 7 ^^ 2024/01/09 1,424
1539112 모지?X 뭐지?O, 댓가X 대가O 24 우리말 2024/01/09 977
1539111 허리에 차는 온열기 있을까요~~? 8 요즘 2024/01/09 1,100
1539110 초 4올라가니.. 4 2024/01/09 1,560
1539109 호주 배송대행지는 어디가 좋아요? 2 처음 2024/01/09 654
1539108 우리나라 이혼율 9 ㅇㅇ 2024/01/09 4,228
1539107 골뱅이 주차장 팁 있나요?> 8 dd 2024/01/09 3,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