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민 10명 중 9명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 오류 습관

ㅇㅇ 조회수 : 6,695
작성일 : 2023-12-22 03:41:32

임의적 추론 
어떤 일을 행할 때 내 의견을 묻지 않았다고 해서 나를 무시한다고 생각하는 것(특히 회사에서)

 

선택적 추상화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생각하는 것. 내가 구축한 사고 간 여과 장치를 통해 아무리 다양한 전제가 있다라더라도 결국 내 뜻대로 생각하는 것

 

개인화 
내가 다가가자 사람들이 하고 있던 이야기를 멈추면 나에 대한 안 좋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 '나는 지방대에 영어 점수도 형편없으니 이런 대우를 받는 것은 전부 내 잘못이야'라고 생각하는 것 

 

이분법적 사고
동물적 사고를 기반하여 발전된 인간적 사고가 너무 복잡해져 다시 원초적 사고의 성향을 보이는 경우 회색영역을 간과한 흑백논리로 세상 모든 일이 옳고 그름으로 나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과잉 일반화 
한 두개의 사건을 바탕으로 전체를 판단하는 것. 그는 나를 좋아하지 않아, 때문에 '그는 예쁘고 어린 여자를 좋아해'라고 생각하는 것

 

파국화
항상 최악의 결과를 생각하는 것. 아직 시험을 보지도 않았는데 '나 이번 시험은 망한 거 같아'라고 생각하는 것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펴낸 '한국 국민의 건강형태와 정신적 습관(Mental Habits)의 현황과 정책대응' 보고서에선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9명이 인지적 오류에 해당한다고 말한다. 인지적 오류란 말 그대로 사물을 인지함에 있어 발생하는 습관적 정신 장애를 일컫는데, 장애라는 말이 조금 극단적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습관'이란 것이 무서울 만큼 빠른 증식력을 가지고 있고 증식된 '습관'이 정신 장애로 발전하는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인지적 오류라는 정신 장애의 가장 큰 요점은 '근거 없이 멋대로 하는 사고'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물리 폭력보다 정신 폭력이 만연한 현대 사회에선 국가 차원의 관리가 필요한 매우 위험한 질병이라할 수 있다. 극도로 치닫는 부정적인 사고는 마치 바이러스와 같아 개인은 물론 주변까지 불행하게 하며 사회 전반을 위기에 빠드리기 충분하기 때문이다. 

https://visualstrap.tistory.com/205

IP : 59.17.xxx.179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어짜피
    '23.12.22 4:05 AM (216.147.xxx.78)

    어짜피 지능 1400-1600인 인공지능이 나중에 인간을 볼때는 고마고마할거에요. 인간의 아이큐는 고작 100에서 150 사이잖아요. 우리가 개를 보면 문을 못여는 존재이듯이, 간혹 똑똑한 개를 훈련시켜 문을 열게할 수 있을 지언정 왜 문을 열어야하는지는 개는 이해 못하죠.

    이런 분석으로 나는 10명중 1명인 뛰어난 사람이라고 착각하기 보다는 겸손하게 살고 남 존중하는 태도 가지는게 인간이 가진 한계를 인정하면서 최선을 다해 사는 가장 좋은 방법 아닐까 싶네요.

  • 2. 그런가봐요
    '23.12.22 6:32 AM (12.74.xxx.1)

    여기 댓글들 보면서 느꼈던거와 매우 흡사하네요

  • 3. ...
    '23.12.22 7:00 AM (61.253.xxx.240)

    습관'이란 것이 무서울 만큼 빠른 증식력을 가지고 있고 증식된 '습관'이 정신 장애로 발전하는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ㅡㅡㅡㅡㅡㅡ
    그런것같아요

    내용 좋네요

  • 4. 맞아요
    '23.12.22 7:22 AM (106.102.xxx.83)

    섣불리 판단하는 오류에서 벗어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원글님. 좋은 글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 5. ...
    '23.12.22 7:45 AM (211.206.xxx.191)

    인지적ㅍ오류 글 감사합니다.
    빙산의 일각을 전체라고 생각하지 말자!

  • 6. as
    '23.12.22 8:26 AM (211.114.xxx.150)

    선택적추상화, 과잉일반화 이건 정말 흔히 볼 수 있는 것 같아요.

  • 7. 인지적 오류
    '23.12.22 8:28 AM (220.122.xxx.137) - 삭제된댓글

    저장한 후 시간나면 읽어볼래요.
    감사합니다.

  • 8. 오..
    '23.12.22 8:29 AM (211.248.xxx.147)

    맞는말인듯

  • 9. 널리
    '23.12.22 8:48 AM (1.235.xxx.154)

    많이 알려주세요
    전국민 의식이 좀 올라가면 좋겠네요

  • 10. 보사연 정신적습관
    '23.12.22 8:52 AM (220.122.xxx.137)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펴낸 '한국 국민의 건강형태와 정신적 습관(Mental Habits)의 현황과 정책대응' 보고서에선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9명이 인지적 오류에 해당한다고 말한다. 인지적 오류란 말 그대로 사물을 인지함에 있어 발생하는 습관적 정신 장애를 일컫는데, 장애라는 말이 조금 극단적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습관'이란 것이 무서울 만큼 빠른 증식력을 가지고 있고 증식된 '습관'이 정신 장애로 발전하는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인지적 오류라는 정신 장애의 가장 큰 요점은 '근거 없이 멋대로 하는 사고'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물리 폭력보다 정신 폭력이 만연한 현대 사회에선 국가 차원의 관리가 필요한 매우 위험한 질병이라할 수 있다. 극도로 치닫는 부정적인 사고는 마치 바이러스와 같아 개인은 물론 주변까지 불행하게 하며 사회 전반을 위기에 빠드리기 충분하기 때문이다.

    https://visualstrap.tistory.com/205

  • 11.
    '23.12.22 9:20 AM (219.249.xxx.181)

    감사해요.

  • 12. ...
    '23.12.22 9:51 AM (223.38.xxx.118)

    감사해요 저도
    이런 오류들에 빠지지 않았는지
    매일 한 번씩은 돌아봐야겠어요
    내 습관과 내 정신 상태를 건강하게 지키게

  • 13. ..
    '23.12.22 9:52 AM (223.62.xxx.75)

    여기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되는걸까요

  • 14. ..
    '23.12.22 9:55 AM (106.248.xxx.78)

    인지적 오류습관 좋은글 감사합니다.

  • 15. ㅇㅂㅇ
    '23.12.22 10:06 AM (182.215.xxx.32)

    그래도 그것이 살아남는데 필요해서
    생긴것일걸요...

  • 16. ..
    '23.12.22 1:25 PM (91.74.xxx.133)

    인지적 오류 습관 참고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33100 서울 이런 아파트 보신 곳 있나요? 둘이 살 집 5 8억 2023/12/22 1,878
1533099 박연경 아나운서 드디어 결혼하네요 9 ㅔㅔㅔ 2023/12/22 3,174
1533098 크리스마스가 지나면 연말연시에 기온이 대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 1 ../.. 2023/12/22 1,686
1533097 결로 창문을 1cm 정도 열어놓은게효과적이었던걸까요.?? 16 ... 2023/12/22 4,297
1533096 수도관이 얼었어요ㅠ 9 영업중단 2023/12/22 1,913
1533095 병원에 배민 되나요? 5 배고파요 2023/12/22 1,696
1533094 씬에어 패딩 이날씨에 진짜 따뜻한가요? 5 궁금 2023/12/22 1,863
1533093 김건희 특검이 윤정권 임기내 치뤄지긴 할거에요 9 하늘을보니 2023/12/22 1,111
1533092 5인미만회사.주6일 44시간 204만원이면 최저시급등 법적문데 .. 3 다시올려요 2023/12/22 874
1533091 배우 김동욱, 오늘 결혼…예비신부는 비연예인 11 와우 2023/12/22 7,052
1533090 사랑한다고 말해줘 재미있나요? 6 명아 2023/12/22 1,844
1533089 지나고 보니 추미애가 옳았네요. 32 ... 2023/12/22 5,039
1533088 생강커피 3 .... 2023/12/22 1,442
1533087 신혼 남편 다루는(?) 법 조언 절실해요. 32 ㅇㅇ 2023/12/22 3,875
1533086 난방비 많이 올랐네요 4 2023/12/22 2,383
1533085 한국 오니까 넘 좋아요… 11 2023/12/22 3,867
1533084 50평 낡은 아파트와 준신축 34평 중에 어떤 걸 선택하시겠어요.. 20 편안한집 2023/12/22 3,151
1533083 차 시동 안걸려요ㅠㅠ 19 Maa 2023/12/22 2,989
1533082 애 대학 되었냐고 묻고 답해줬는데 축하말이 없는건 10 2023/12/22 3,219
1533081 내일이 예금만기일인데... 15 0000 2023/12/22 2,756
1533080 아파트 생활이 너무 지겹네요. 4 ㅇㅇ 2023/12/22 1,665
1533079 수험번호라는 게 수능성적통지표에 있는 그 번호 아닌가요? 14 추합 2023/12/22 1,172
1533078 몽클레어 클로에 지금 사는 거 어떨까요? 6 .. 2023/12/22 2,095
1533077 카톡으로 선물 어떻게 보내나요? 3 유리병 2023/12/22 776
1533076 유방상피내암ㅡ전절제? 8 아이고 2023/12/22 1,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