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보온도시락이 보온이 되지 않았다니..

충격 조회수 : 3,135
작성일 : 2023-12-13 11:04:25

아이가 고등학생이예요. 

초등 고학년때부터 지금까지

방학때면 제가 아침에 점심도시락을 싸놓고 출근해왔죠. 

밥이 뜨거울까봐 밥통에 담고 한김 식혀 뚜껑을 덮구요..

보온은 의심도 하지 않고 물어본적도 없네요 ㅠ

 

얼마전에 처음으로 전복죽을 보온 죽통에 담아 

학교에 저녁도시락으로 싸줬어요. 그날만 학교에서 공부하다 바로 학원에 가게 되어서요. 

어제 아이랑 얘기하다가, 아이가 죽이 따뜻하고 맛있었는데

방학때 도시락도 따뜻하게 먹을 수 없을까? 하는겁니다. 

깜짝 놀라서, 방학때 점심이 안따뜻했냐고 물으니

아이가 오히려 눈이 둥그레지며,

그게 보온도시락 통이었어? 그냥 도시락 아니야? 

항상 식은 밥이었는데! 하는겁니다. 

 

충격... 세상에 5년도 넘게 모르고 쓰고 있었다니 ㅠㅠ

보온 도시락은 써모스

보온 죽통은 아폴로..

 

그러니까 아폴로 죽통은 보온이 잘 되고

써모스 보온도시락은 보온이 안되었던거죠 ㅠㅠ

82님들 써머스 도시락 보온 안되나요 ㅠㅠ

그럼 뭘 사야할지..

아폴로는 보온 도시락은 없는 것 같고

검색해보니 코스모스가 좋다는데 

또 후기에는 코스모스도 보온이 보통이란 얘기가 있어요. 

 

내년 수능에도 써야하는데

보온 확실한 걸로 사고 싶은데

좋은 정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P : 118.235.xxx.212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12.13 11:05 AM (223.38.xxx.175)

    써모스 좋아요 아침에 냉커피 타가는데 담날 아침에 열어도 얼음이 있거든요 그 도시락만 문제였나보죠

  • 2. ㅇㅇ
    '23.12.13 11:06 AM (14.33.xxx.152) - 삭제된댓글

    가끔 써모스 보온 도시락으로 점심
    싸가는데 따뜻해요

    망가진 듯 하네요

  • 3. 우리집
    '23.12.13 11:07 AM (175.120.xxx.173)

    써모스는 얼음이 2박3일 유지되던데요...

  • 4. ~~
    '23.12.13 11:07 AM (118.235.xxx.212)

    다른 써모스 보온도시락은 괜찮은가요?
    써모스 텀블러는 저도 쓰고 있어서 성능이 좋다는걸 알아요.
    보온도시락은 왜그런지 저희꺼만 불량인걸까요?

  • 5. Dd
    '23.12.13 11:08 AM (112.169.xxx.231)

    코스모스 올스텐 좋아요..몇년전부터 학원도시락으로 썼어요

  • 6. 써모스
    '23.12.13 11:12 AM (122.32.xxx.68)

    안 좋아요. 저 요번 입시생 때문에 샀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보온이 잘 되는 시스템이 아니에요. 진공이 바닥만이고 위는 일반 플라스틱류, 반찬통은 뚜껑이 완벽히 닫히지 않고
    같은 반찬 넣고 다이소 용기랑 비교해도 다이소가 멀쩡해요.
    저도 아이가 밥 다 식었었다고

  • 7. 써모스
    '23.12.13 11:15 AM (122.32.xxx.68)

    국내제품으로 사세요. 오히려 진공이 전체가 되는것 같고 저렴이 락앤락이 더 낫더라고요
    담에 산다면 코스모스나 기타 국산제품으로 사려고요. 여기 하도 써모스써모스 해서 샀다가 돈만 버렸어요

  • 8. 요거트
    '23.12.13 11:20 AM (112.168.xxx.97)

    제가 쓰는 저렴한 제품 써도 유지 잘되는 방법이에요

    밥,반찬 담는 시간에 보온통안에
    정수기 뜨거운 물을 보온통에 받아요
    (맨아래가 밥이고 위에가 반찬이
    뜨거운 물은 반정도만 채워도 돼요)

    밥 반찬 다 싸면 그 물은 수세미에 부어요ㅎㅎ
    아까우니 뜨거운물 싱크대랑 수세미 소독이라도 되게ㅋㅋㅋㅋ

    그리고 밥 싸면 보온통이 이미 뜨거우니
    밥 넣어도 오래 잘 유지되더라고요~~~^^
    저는 점심때 먹으니 늘 밥이 뜨끈뜨끈하고
    저녁때도 차갑진 않더라고요.

  • 9. 진짜
    '23.12.13 11:25 AM (125.181.xxx.232)

    코스모스 올스텐 좋아요. 국산이기도 하지만 보온도 잘되구요.
    수능때 아들이 잘썼고 남편이 점심 도시락으로 한동안 잘 사용쌨었는데 늦은 점심으로 먹어도 따뜻했다고 하더라구요.

  • 10. ㅇㅇ
    '23.12.13 11:37 AM (221.140.xxx.80)

    보온통안에 뜨거운 물로 뎁히고
    밥도 뜨거울때 두껑 덮어서 넣어야
    온기가 유지가 되죠
    보온통도 냉하고 밥도 한숨 나간후 덮으면
    밥온기가 보온통 덥히는데 뺏기죠
    죽은 일반 밥보다 훨씬 뜨겁고 점성이 높아서 온기가 밥보다 오래가요

  • 11. ~~
    '23.12.13 11:37 AM (118.235.xxx.66)

    앗 모두 감사합니다. 코스모스로 사볼께요
    뜨거운 물 담는 팁도 꼭 해볼께요!!

  • 12. 방법의 문제임
    '23.12.13 11:53 AM (59.6.xxx.58)

    ------여기 정답이 있네요.-----

    보온통안에 뜨거운 물로 뎁히고
    밥도 뜨거울때 두껑 덮어서 넣어야
    온기가 유지가 되죠
    보온통도 냉하고 밥도 한숨 나간후 덮으면
    밥온기가 보온통 덥히는데 뺏기죠

  • 13. 이상있는거죠
    '23.12.13 11:55 AM (124.5.xxx.102) - 삭제된댓글

    물로 뎁히지 않아도 아래 국으로 충분해야 그게 보온 도시락입니다.

  • 14. ...
    '23.12.13 12:05 PM (58.234.xxx.222)

    저 고딩때 백화점 가서 일본 도시락통 엄마가 사줬는데 보온이 하나도 안됐어요.
    차갑진 않은 정도라 엄마한테 말 안하고 그냥 썼네요.
    윗분들이 알려주시는 국산 사용해 보세요.

  • 15. ㅇㅂㅇ
    '23.12.13 12:06 PM (182.215.xxx.32)

    애말만 믿지말고 확인을 해보시죠

  • 16. 식혀넣으면
    '23.12.13 12:14 PM (211.208.xxx.8)

    그 상태로 계속 가는 게 아니라

    그것보다는 식죠. 뜨거울 때 넣으세요;;;

  • 17. 꿀잠
    '23.12.13 12:58 PM (112.151.xxx.95)

    국통에 국이없어도 무조건 뜨거운 물이라도 넣어야 합니다. 보온유지. 그리고 코스모스 아폴로 다좋습니다

  • 18. ???
    '23.12.13 1:59 PM (221.140.xxx.198)

    10년전 산 써모스 죽통 멀쩡한데요?

  • 19. ???
    '23.12.13 2:01 PM (221.140.xxx.198)

    원글님이 뜨거운 물 넣고 테스트해 보세요

  • 20.
    '23.12.13 3:21 PM (121.167.xxx.7)

    쉬는 날
    써모스에다 뜨거운 물로 미리 통 데우고, 국통에도 뜨거운 물 넣어서 도시락 싸고. 점심때 드셔보세요.
    그러고 나서 션치 않음 코스모스 사시든지 하셔요.
    도시락통 비싸요. 수능 이후엔 도시락 쌀 일이 별로 없어요.

  • 21. 바람소리2
    '23.12.13 4:32 PM (42.19.xxx.245)

    밥.국 가득 담고 바로 닫아 넣어야죠
    적게 담으면 식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30410 잘 몰라서 여쭙는건데, 이재명이 왜 그렇게 나쁜가요? 37 왜일까 2023/12/13 3,431
1530409 오늘은 좀 많이 비참하고 서글프네요 26 휴... 2023/12/13 7,587
1530408 전 어린시절 생각하면 놀고 먹었던것만 생각이 나는건지.ㅎㅎ 3 ... 2023/12/13 1,285
1530407 지금 매불쇼 하나요? 4 만다꼬 2023/12/13 1,260
1530406 성능좋은 로봇 청소기는 가구 잘 피해다니나요? 8 ..... 2023/12/13 1,507
1530405 제 남편에게 한 말씀만 해주세요 32 하늘을보니 2023/12/13 6,335
1530404 달래장..입맛 확 도네요 3 ㅇㅇ 2023/12/13 1,536
1530403 압력밥솥 어떤 사이즈가 좋을까요 3 ... 2023/12/13 832
1530402 비행기에 컵라면 갖고 타도 될까요? 32 아누 2023/12/13 5,180
1530401 영유아 사교육 시장.. 39 하이고 2023/12/13 5,411
1530400 이탄희 너무 멋집니다. 민주당의 희망입니다. 20 진짜 2023/12/13 2,638
1530399 그릭데이 시그니처는 목막혀서 4 ... 2023/12/13 977
1530398 이낙연대표님 좀 냅둬죠 15 000000.. 2023/12/13 1,624
1530397 오늘 매불쇼 안하나요? 7 2023/12/13 1,245
1530396 구스베개 쓰면 뒷머리가 후끈후끈해요 베개 2023/12/13 428
1530395 방송대 진학 여쭤봅니다. 6 질문 2023/12/13 1,425
1530394 감정이 요동쳐요 다른분들은요? 5 .. 2023/12/13 1,535
1530393 서울의 봄 못보게 하라는 할머니 17 충격 2023/12/13 5,200
1530392 고유정 편들던 이수정 배상훈 프로파일러가 논문 저서 해명 요구.. 10 그럼그렇지 2023/12/13 3,389
1530391 1세대 실비보험 4세대로 바꿀까요? 13 어째야할까 2023/12/13 2,988
1530390 정밀안압잴때 쓰는 안약 이름 궁금해요. 4 나니노니 2023/12/13 740
1530389 월세 3 .. 2023/12/13 1,036
1530388 마르니 트렁크백 5 qorrhw.. 2023/12/13 1,173
1530387 17기 현숙 상철 영호 38 ... 2023/12/13 6,597
1530386 유방석회화 5 40대 2023/12/13 2,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