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보온도시락이 보온이 되지 않았다니..

충격 조회수 : 3,134
작성일 : 2023-12-13 11:04:25

아이가 고등학생이예요. 

초등 고학년때부터 지금까지

방학때면 제가 아침에 점심도시락을 싸놓고 출근해왔죠. 

밥이 뜨거울까봐 밥통에 담고 한김 식혀 뚜껑을 덮구요..

보온은 의심도 하지 않고 물어본적도 없네요 ㅠ

 

얼마전에 처음으로 전복죽을 보온 죽통에 담아 

학교에 저녁도시락으로 싸줬어요. 그날만 학교에서 공부하다 바로 학원에 가게 되어서요. 

어제 아이랑 얘기하다가, 아이가 죽이 따뜻하고 맛있었는데

방학때 도시락도 따뜻하게 먹을 수 없을까? 하는겁니다. 

깜짝 놀라서, 방학때 점심이 안따뜻했냐고 물으니

아이가 오히려 눈이 둥그레지며,

그게 보온도시락 통이었어? 그냥 도시락 아니야? 

항상 식은 밥이었는데! 하는겁니다. 

 

충격... 세상에 5년도 넘게 모르고 쓰고 있었다니 ㅠㅠ

보온 도시락은 써모스

보온 죽통은 아폴로..

 

그러니까 아폴로 죽통은 보온이 잘 되고

써모스 보온도시락은 보온이 안되었던거죠 ㅠㅠ

82님들 써머스 도시락 보온 안되나요 ㅠㅠ

그럼 뭘 사야할지..

아폴로는 보온 도시락은 없는 것 같고

검색해보니 코스모스가 좋다는데 

또 후기에는 코스모스도 보온이 보통이란 얘기가 있어요. 

 

내년 수능에도 써야하는데

보온 확실한 걸로 사고 싶은데

좋은 정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P : 118.235.xxx.212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12.13 11:05 AM (223.38.xxx.175)

    써모스 좋아요 아침에 냉커피 타가는데 담날 아침에 열어도 얼음이 있거든요 그 도시락만 문제였나보죠

  • 2. ㅇㅇ
    '23.12.13 11:06 AM (14.33.xxx.152) - 삭제된댓글

    가끔 써모스 보온 도시락으로 점심
    싸가는데 따뜻해요

    망가진 듯 하네요

  • 3. 우리집
    '23.12.13 11:07 AM (175.120.xxx.173)

    써모스는 얼음이 2박3일 유지되던데요...

  • 4. ~~
    '23.12.13 11:07 AM (118.235.xxx.212)

    다른 써모스 보온도시락은 괜찮은가요?
    써모스 텀블러는 저도 쓰고 있어서 성능이 좋다는걸 알아요.
    보온도시락은 왜그런지 저희꺼만 불량인걸까요?

  • 5. Dd
    '23.12.13 11:08 AM (112.169.xxx.231)

    코스모스 올스텐 좋아요..몇년전부터 학원도시락으로 썼어요

  • 6. 써모스
    '23.12.13 11:12 AM (122.32.xxx.68)

    안 좋아요. 저 요번 입시생 때문에 샀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보온이 잘 되는 시스템이 아니에요. 진공이 바닥만이고 위는 일반 플라스틱류, 반찬통은 뚜껑이 완벽히 닫히지 않고
    같은 반찬 넣고 다이소 용기랑 비교해도 다이소가 멀쩡해요.
    저도 아이가 밥 다 식었었다고

  • 7. 써모스
    '23.12.13 11:15 AM (122.32.xxx.68)

    국내제품으로 사세요. 오히려 진공이 전체가 되는것 같고 저렴이 락앤락이 더 낫더라고요
    담에 산다면 코스모스나 기타 국산제품으로 사려고요. 여기 하도 써모스써모스 해서 샀다가 돈만 버렸어요

  • 8. 요거트
    '23.12.13 11:20 AM (112.168.xxx.97)

    제가 쓰는 저렴한 제품 써도 유지 잘되는 방법이에요

    밥,반찬 담는 시간에 보온통안에
    정수기 뜨거운 물을 보온통에 받아요
    (맨아래가 밥이고 위에가 반찬이
    뜨거운 물은 반정도만 채워도 돼요)

    밥 반찬 다 싸면 그 물은 수세미에 부어요ㅎㅎ
    아까우니 뜨거운물 싱크대랑 수세미 소독이라도 되게ㅋㅋㅋㅋ

    그리고 밥 싸면 보온통이 이미 뜨거우니
    밥 넣어도 오래 잘 유지되더라고요~~~^^
    저는 점심때 먹으니 늘 밥이 뜨끈뜨끈하고
    저녁때도 차갑진 않더라고요.

  • 9. 진짜
    '23.12.13 11:25 AM (125.181.xxx.232)

    코스모스 올스텐 좋아요. 국산이기도 하지만 보온도 잘되구요.
    수능때 아들이 잘썼고 남편이 점심 도시락으로 한동안 잘 사용쌨었는데 늦은 점심으로 먹어도 따뜻했다고 하더라구요.

  • 10. ㅇㅇ
    '23.12.13 11:37 AM (221.140.xxx.80)

    보온통안에 뜨거운 물로 뎁히고
    밥도 뜨거울때 두껑 덮어서 넣어야
    온기가 유지가 되죠
    보온통도 냉하고 밥도 한숨 나간후 덮으면
    밥온기가 보온통 덥히는데 뺏기죠
    죽은 일반 밥보다 훨씬 뜨겁고 점성이 높아서 온기가 밥보다 오래가요

  • 11. ~~
    '23.12.13 11:37 AM (118.235.xxx.66)

    앗 모두 감사합니다. 코스모스로 사볼께요
    뜨거운 물 담는 팁도 꼭 해볼께요!!

  • 12. 방법의 문제임
    '23.12.13 11:53 AM (59.6.xxx.58)

    ------여기 정답이 있네요.-----

    보온통안에 뜨거운 물로 뎁히고
    밥도 뜨거울때 두껑 덮어서 넣어야
    온기가 유지가 되죠
    보온통도 냉하고 밥도 한숨 나간후 덮으면
    밥온기가 보온통 덥히는데 뺏기죠

  • 13. 이상있는거죠
    '23.12.13 11:55 AM (124.5.xxx.102) - 삭제된댓글

    물로 뎁히지 않아도 아래 국으로 충분해야 그게 보온 도시락입니다.

  • 14. ...
    '23.12.13 12:05 PM (58.234.xxx.222)

    저 고딩때 백화점 가서 일본 도시락통 엄마가 사줬는데 보온이 하나도 안됐어요.
    차갑진 않은 정도라 엄마한테 말 안하고 그냥 썼네요.
    윗분들이 알려주시는 국산 사용해 보세요.

  • 15. ㅇㅂㅇ
    '23.12.13 12:06 PM (182.215.xxx.32)

    애말만 믿지말고 확인을 해보시죠

  • 16. 식혀넣으면
    '23.12.13 12:14 PM (211.208.xxx.8)

    그 상태로 계속 가는 게 아니라

    그것보다는 식죠. 뜨거울 때 넣으세요;;;

  • 17. 꿀잠
    '23.12.13 12:58 PM (112.151.xxx.95)

    국통에 국이없어도 무조건 뜨거운 물이라도 넣어야 합니다. 보온유지. 그리고 코스모스 아폴로 다좋습니다

  • 18. ???
    '23.12.13 1:59 PM (221.140.xxx.198)

    10년전 산 써모스 죽통 멀쩡한데요?

  • 19. ???
    '23.12.13 2:01 PM (221.140.xxx.198)

    원글님이 뜨거운 물 넣고 테스트해 보세요

  • 20.
    '23.12.13 3:21 PM (121.167.xxx.7)

    쉬는 날
    써모스에다 뜨거운 물로 미리 통 데우고, 국통에도 뜨거운 물 넣어서 도시락 싸고. 점심때 드셔보세요.
    그러고 나서 션치 않음 코스모스 사시든지 하셔요.
    도시락통 비싸요. 수능 이후엔 도시락 쌀 일이 별로 없어요.

  • 21. 바람소리2
    '23.12.13 4:32 PM (42.19.xxx.245)

    밥.국 가득 담고 바로 닫아 넣어야죠
    적게 담으면 식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30342 (80년대 가요톱텐 다시보다가)주현미씨 비주얼가수였었네요. 18 ... 2023/12/13 2,549
1530341 겨울에 인견런닝 입으면 춥나요 4 속옷 2023/12/13 1,263
1530340 결혼전에는 그 남자에 대해서 왜 몰랐냐고 비판하는 분들에게 11 음.. 2023/12/13 2,540
1530339 압구정이나 청담 브런치할만한 곳 있을까요? 3 ㅇㅇ 2023/12/13 615
1530338 영국에 사시는 분 계세요? 6 ㅇㅇ 2023/12/13 1,616
1530337 오늘 동아일보 칼럼에 이런 구절이 있네요. 13 마리아사랑 2023/12/13 2,771
1530336 제주도 한달살기 1월이 나을까요 2월이 나을까요? 11 ... 2023/12/13 2,721
1530335 MBC 이기주기자 기자유감 10 ㅇㅇ 2023/12/13 2,229
1530334 인구감소 대책)저는 보육시설에 이런 로망이 있어요 15 보육 2023/12/13 1,299
1530333 체취가 걱정될때 사우나가 좋아요 7 이즈니 2023/12/13 3,548
1530332 출산율이 낮은 이유는 출산이 여성에게 손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 17 .. 2023/12/13 2,707
1530331 출산율저하는 맞벌이는 애 키울여건이 안되기때문이예요. 31 지나다 2023/12/13 2,329
1530330 서울의 봄 메가박스 예매권이 7500원이래요 9 기레기아웃 2023/12/13 2,720
1530329 님들 몇살까지 예쁘셨어요? 23 ㅇㅇ 2023/12/13 3,406
1530328 보온도시락이 보온이 되지 않았다니.. 19 충격 2023/12/13 3,134
1530327 스페인여행 패키지 옵션 봐주세요. 23 스페인 2023/12/13 3,673
1530326 윌라 함께 들으실 분 계실까요? 3 윌라 2023/12/13 384
1530325 전세계에서 가족보다 돈이 우선 순위인 유일한 나라 53 아.... 2023/12/13 5,877
1530324 부산여행 코스 좀 봐주세요 2 ... 2023/12/13 1,043
1530323 에스더 영양제에 소송?이런 일이 있나요? 5 어머나 2023/12/13 2,262
1530322 내년부터 받는 개인연금저축 확 해지할까요? 15 어쩐다 2023/12/13 2,752
1530321 저출산 정부가 헛다리 짚는 이유 31 .. 2023/12/13 3,160
1530320 유방암 11 수요일 2023/12/13 3,216
1530319 경제력없는 시부모 19 ㅇㅇ 2023/12/13 6,858
1530318 잠꼬대 심한남편 어째요ㅜ 13 2023/12/13 1,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