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문이과 구별없이 전과목 다 시험 보는게 나을듯

솔직히 조회수 : 1,984
작성일 : 2023-06-17 19:42:11
과목수를 줄이니 입시판을 못 떠나고

과목수가 적으니 난이도 조절에 인생의 운을 맡길바엔

그냥

전과목 다 봐요.

과탐 사탐도 다..

예체능이나 제2외국어 같은건 빼고

양이 많은대신 교과서를 하나로 통일하고

진짜 교과서에서만 내도록 하고요.

대신 과목이 많으니 수능은 이틀에 걸쳐서 보고
(이러면 하루운빨에 인생을 맡기지도 않을거고

지원도 문이과 구별 두지 말고

세상은 이미문이과융합이에요.


IP : 223.38.xxx.230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에휴
    '23.6.17 7:49 PM (211.228.xxx.106)

    부담 줄이자고 과목 줄인 거구요,
    진짜 교과서 내에서만 나오면
    전과목 만점자 만명 정도는 나올 거예요.
    다 의대랑 스카이 몇개 과에 뺑뺑이 돌릴까요

  • 2. 저도
    '23.6.17 7:51 PM (125.182.xxx.128)

    그렇게 생각해요.
    초기 수능처럼 문이과 공통으로 물화생지1 다 공부하고 사탐도 다 공부하게 해요.
    도대체 과목수는 엄청 줄여놓고 무슨 융합형인재를 키운다는건지.
    이과 아이들은 문과적 상식이 너무 부족하고 문과 아이들은 과학상식이 너무 없으니.

    과목수 몇개 안되니 다들 재수한다고 들어 앉아있고

  • 3. ㅇㅇ
    '23.6.17 7:52 PM (58.124.xxx.225) - 삭제된댓글

    전과목 다 보던 학력고사때로 다시 고고도 뭐 나쁘지 않을거같네요... 이래도 저래도 애들 힘든거 마찬가지.. 수행평가나 없앴으면..

  • 4. …….
    '23.6.17 8:00 PM (114.207.xxx.19) - 삭제된댓글

    교과서만 달달 외워 푸는 거면 수능버전 학력고사인가요?
    교과과정에서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사고력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려고 만든 시험이 수능이고, 실력있는 학생 변별력이 생기는거지.. 교과서 내용만 나오는 쉬운 수능 무력화시키고, 학종 내신교과로 대학가는 게 공평한거애요? 교육, 입시에 대해서도 돼지랑 검사출신들은 그 입 다물고 아무것도 하지 말아야할거에요.
    아님 본격적으로 나대서 제대로 역풍을 맞을 수도 있겠으나, 그러자니 수험생들을 희생시켜야하니..

  • 5. …….
    '23.6.17 8:01 PM (114.207.xxx.19) - 삭제된댓글

    교과서만 달달 외워 푸는 거면 수능버전 학력고사인가요?
    교과과정에서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사고력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려고 만든 시험이 수능이고, 실력있는 학생 변별력이 생기는거지.. 교과서 내용만 나오는 쉬운 수능 무력화시키고, 학종 내신교과로 대학가는 게 공평한거애요? 교육, 입시에 대해서도 돼지랑 검사출신들은 그 입 다물고 아무것도 하지 말아야할거에요.
    아님 본격적으로 나대서 제대로 역풍을 맞을 수도 있겠으나, 그러자면 당장 수험생들을 희생시켜야하니..

  • 6. 학력고사세대들이
    '23.6.17 8:01 PM (223.38.xxx.200)

    지금의 대한민국을 만들었어요.
    전후 이렇게 빨리 선진국을 만든 주역들이 학려고사세대에요.

  • 7. ㅅㅎ
    '23.6.17 8:06 PM (110.15.xxx.165)

    학력고사때도 충분히 어려웠지만 사교육없이도 스카이가고 전국수석도 나오고했었는데 요즘 수능 이상하네요

    요즘 애들이 기초학력도 더 떨어진다면서요 아니구나 싶으면 다시 학력고사로 돌아가는것도 괜찮죠 과목수늘리고 수학도 전범위 다 넣고요

  • 8. --
    '23.6.17 8:10 PM (222.108.xxx.111)

    선택과목 때문에 생기는 유불리를 생각하면 전과목 다 보는 게 공정하겠군요
    그놈의 공정 공정 공정 공정

  • 9. ㅅㅎ
    '23.6.17 8:11 PM (110.15.xxx.165) - 삭제된댓글

    우리때 학력고사 국영수가 지금 수능보다 쉬운가요? 만점 수두룩하게 나오구요??

  • 10. ...
    '23.6.17 8:11 PM (121.133.xxx.136)

    직업에 귀천이 없어지지 않는한 무슨 방법을 써도 문제가 되는게 우리나라 교육같아요. 경쟁사회인데 어쩌겠어요. 시민의식이 변해야해요

  • 11. ㅅㅎ
    '23.6.17 8:14 PM (110.15.xxx.165)

    우리때 학력고사 국영수가 지금 수능보다 쉬운가요? 지금 아이들이보면 만점 수두룩하게 나올까요 ?? 이과수학 엄청 어려웠던거같은데요 문과수학도 미적들어가서 어려웠구요

  • 12.
    '23.6.17 8:17 PM (125.186.xxx.140)

    수행평가 진짜없앴으면. 애들이 시험도 압박이 심한데 숨돌릴 틈도없이 넘쳐나는 과제에 수행에 끝나면 또 곧바로 기말..아휴
    범위도 많은데 시험도 교과서 범위도 넘어서서 모의고사 변형문자 나오니 공부량이어마어마합니다.

  • 13. ....
    '23.6.17 8:17 PM (39.7.xxx.27)

    학력고사때 사교육이 없었다구요?
    전두환이 과외금지법을 괜히 만들었을까요 ㅎㅎㅎㅎ

  • 14. ㅅㅎ
    '23.6.17 8:19 PM (110.15.xxx.165)

    윗님 사교육없었다는게 아니라 사교육없이 스카이간사람들 많다고 썼는데요 그때 전국수석들중에도 많았구요

  • 15. ....
    '23.6.17 8:23 PM (118.235.xxx.215)

    옛날에 없는 집에서 용나온 케이스는 학력고사라 그런게 아니라
    그 부모세대들이 워낙 모쌀고 교육도 못받은 세대라
    머리가 좋아도 그 재능이 빛을 보지 못하던 시대였는데
    그 자식들이 좋은 머리 물려받아 공교육 만으로도
    잘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요즘은 대부분의 부모들이 대학나오고 적어도 고등교육이상 받고
    사회생활 하니까
    못사는 집에서 잘하는 아이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죠.

  • 16. 과목
    '23.6.17 8:35 PM (119.193.xxx.121)

    늘리면 애들 힘들어요. 요즘 수행도 해야되고 내신때문에 피말라요.뭘 좀 알고 말하세요.

  • 17. 그럼
    '23.6.17 8:36 PM (119.193.xxx.121)

    전과목 다볼거면 수시를 없애야죠.

  • 18. //
    '23.6.17 8:55 PM (125.137.xxx.134)

    수행 없애고 지필로만 하는 조건이면 괜찮네요.

  • 19. 이런
    '23.6.17 9:03 PM (210.100.xxx.239)

    얘기는 해봤자입니다
    계열통합은 불가능해요

  • 20.
    '23.6.17 11:00 PM (182.221.xxx.29)

    수시없애는게 먼저에요

  • 21. 과거로 고고
    '23.6.18 2:15 AM (136.24.xxx.249)

    교과서만 달달 외워서 학력고사 보는 것도 공정해요.
    수능으로 바꾼 후에 뭐 나라가 얼마나 달라진 게 있긴 하나요?

    학력고사로 달달 외워서
    지원 먼저 하고 같은 학교 같은 과 지원자들하고만 경쟁하는
    그냥 과거로의 회기도 나쁘지 않다고 봐요.

    수시 이런거 다 없애고 그냥 다 줄서서 시험봐서 점수로만 자르는.
    이렇게 하나 저렇게 하나 뭐 달라진 것도 없어요. 일생 사는 데 변하는 것도 없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77261 차별한 부모 4 노년 2023/06/17 2,414
1477260 수능 비문학, 과연 고등 국어교사들은 쉽게 푸나요? 58 하ㅜ 2023/06/17 6,156
1477259 10명중 8명이 모욕당하는 직업.jpg 9 어머나 두 .. 2023/06/17 7,669
1477258 남편 어디까지 용서하고 사나요 10 ,,,,, 2023/06/17 4,654
1477257 지인남편 교통사고사망으로 내일 장례식장가는데 33 oo 2023/06/17 29,863
1477256 뭐 든 입으로 들어가는 아이 5 ㅇㅇ 2023/06/17 1,650
1477255 김연경 침구 어디건가요 3 나혼산 2023/06/17 4,813
1477254 친한 사람도 일주일에 두번 이상 통화는 부담스러워요.. 5 ... 2023/06/17 2,902
1477253 배이킹 할때 옥수수전분 대체제는 1 음음 2023/06/17 392
1477252 하루 7분 55->49 10 ㅇㅇ 2023/06/17 4,908
1477251 라면이 다이어트에 진짜 좋은듯요 52 ㅇㅇ 2023/06/17 19,979
1477250 교육부 장관의 후보자 때 발언-수능은 자격시험, 본고사 부활 9 아마도 2023/06/17 1,623
1477249 이번생도 잘 부탁해 드라마 3 ㅇㅇㅇ 2023/06/17 3,013
1477248 연락안한지 3년된 친구가 궁금했는데 꿈에 나왔어요 2 ㅇㅇ 2023/06/17 2,323
1477247 편애글에 묻어서 저도 평소에 궁금했던 것 질문. 11 편애 2023/06/17 2,090
1477246 영어를 잘하면 확실히 기회가 많네요 2 ㅇㅇ 2023/06/17 4,892
1477245 대체 머리속에 든게 있기나 할까요 5 aqzsed.. 2023/06/17 1,610
1477244 해수욕장. 잇고 시원한 휴가지추천바래요 5 예름휴가 2023/06/17 1,229
1477243 미우새 김준호씨 장점은 뭘까요? 25 ... 2023/06/17 8,553
1477242 중학교 역사 교과서별 자료 어디에 있을까요? 11 2023/06/17 519
1477241 콩국시 넘 맛있어요 ㅎㅎㅎ 1 오오 2023/06/17 1,459
1477240 중년남녀 공용으로 쓰기좋은 향수 있을까요? 5 땅지 2023/06/17 1,537
1477239 40중반인데 귀걸이 귀 하나에 두개 하고 싶어요 6 귀걸이 2023/06/17 3,042
1477238 엄정화정도면 이쁜편인거죠? 27 엄정화 2023/06/17 8,134
1477237 NoJapan)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9 gma 2023/06/17 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