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후쿠시마 바다 방사능
그런데 그 바다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구름이되어 육지에 비로 내리면 결국 육지도 오염되는거 아닌가요? 방사능이 수증기 형태에서 사라진다는 것도 알 수 없구요
땅에 묻는게 제일 그나마 오염 면적을 줄이는거 같은데 참 요상하게 처리하네요
1. 기어이
'23.6.15 12:29 AM (125.137.xxx.77)바다에 버리겠다니
먹는 기간이나 횟수를 조금이라도 줄이려는 게지요2. ...
'23.6.15 2:11 AM (58.234.xxx.222)일본은 바퀴벌레보다 해로운 존재에요.
저런 짐승들이 그동안 포장 잘하고 살았죠.
기술은 개뿔.
아시아에서 문호개방 일찍해서 서양에서 배운걸로 선진국인냥 나대다가 이제 그것 바닥나고 수준 드러나고 있죠. 소니는 핸드폰 만든다더니 지네 나라 사람들도 안사주니 접고, 전기저동차는 이제서야 한두대 처음 출시되는 수준.
서양기술 일찍 받아들이면 뭐해요, 발전을 못시키고 재자리걸음하다 도태되는데.3. 그냥
'23.6.15 3:32 AM (66.23.xxx.120)큰 의미는 없지만 그렇게라도 해야 마음의 안정이 되니까 쟁여놓는 것 같아요
4. 몇 가마씩 나서
'23.6.15 4:01 AM (59.4.xxx.58)평생 먹을 작정을 하기 전엔...
5. 좀더
'23.6.15 6:53 AM (116.125.xxx.12)남들보다 좀 더 늦게 먹겠다는거죠
6. 새벽
'23.6.15 8:57 AM (121.166.xxx.20)몸에 축적될 뿐 빠져 나가지 않는 게 방사능물질이니 최대한 애써서 줄여야 하지 않을까요?
특히 어린아이들이요.
축적이 되다보면 암이 되는 거고요.
방류 초기에는 가둬두었던 것들이 나오게 되니 더욱 위험할 것같아서 한동안 신경써야 할 것 같습니다.7. ..
'23.6.15 9:22 AM (106.101.xxx.40)원자력안전위원회의 보고에서 주목되는 내용이 있나 "후쿠시마 오염수에서 가장 위험한 요소가 삼중수소 아닌가. 그런데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통해 국가별 연간 배출량을 비교해보면 중국이 일본의 8배에 달한다. 2018년 일본이 배출한 삼중수소가 110 TBq(테라 베크렐)인데 중국은 1054 TBq(2020년 기준)다. 중국은 원전 56개가 우리나라랑 가까운 동쪽 해안에 집중돼있다. 반면 일본은 가동 원전이 10개다. 일본이 후쿠시마에서 방류하겠다는 삼중 수소가 22 TBq다. 물론 일본이 발표한 걸 그대로 믿으면 안 되고 검증이 필요하긴 하지만 일단 22 TBq라 본다면 일본의 삼중수소 방류량은 올해 132 TBq 정도가 된다. 결국 중국이 일본의 8배 많은 삼중 수소를 방류하는 셈이다. 중국의 방류수를 주목해야 하는 또다른 도이유가 있다. 일본,즉 후쿠시마에서 방류하는 삼중수소는 해류 흐름 상 러시아와 캐나다, 미국, 남미로 넘어갔다가 2~5년 뒤에야 우리나라 인근에 온다. 반면 중국의 삼중수소는 바로 우리 서해에 뿌려져 우리 해안으로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