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입시제도요.. 그냥 수능을 12번 보면 안되나요?

아이가 6학년 조회수 : 3,524
작성일 : 2023-05-17 01:05:08
6학년 아이 엄마입니다. 
지역은 경기도 비평준화 지역입니다.
고교학점제시행과 맞물려 평준화가 된다는둥 반대한다는둥,, 말 많더라구요. 
그리고 내신이 절대평가되고 수능도 절대평가 되서 결국엔 학생부의 세특이 중요하다 이런소문이 들려요. 
세특은 주로 발표 보고서 등등 수행평가 형식으로 알고 있고 학교별로 잦은 기회를 주는 학교가 있고 
관심갖지 않는 학교도 있다고 들었어요.. 그래서 특목고나 자사고가 유리할것같다는 소문도..
어쨌든 국영수 잘하는 아이들을  뽑는 건데 그 방법을  5-6가지 방법으로 줄세워서 5-6가지 모두 준비하게 만드는 제도 아닌가요? 너무 낭비같아요. 어느 전형이 유리한지 컨설팅까지 받아야 좋은 대학간다면서요...
그리고 절대평가되면 학교별 수준차이 심해서 학교마다 다 쉽게 시험 출제할거 같아요. 그러다 일부는 수능봐야하고.. 에휴 그냥 전국에 공통으로 3년동안 매학기마다 중간 기말고사를 수능형태로 전국 공통으로 보고 이것을 12번 평균내서 절대평가하고 변별력은 세특(수행평가)하는게 젤 낫지않을까요? 학생부때문에 교권도 무너지지않을거 구요...
IP : 14.138.xxx.41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5.17 1:07 AM (211.36.xxx.78) - 삭제된댓글

    수능보는날 비행기도 안떠요.
    직장인들 출근시간도 늦추고
    다른 학년 학생들은 학교도 안가요.
    이걸 12번 하자고요?

  • 2. ....
    '23.5.17 1:07 AM (175.193.xxx.138)

    매학기마다.... 그게 수시 잖아요?

  • 3. 원글
    '23.5.17 1:10 AM (14.138.xxx.41)

    꼭 수능이아이라도 전국 공통 시험시로 중간고사 기말고사 보는건 안되나해서요.

  • 4. ...
    '23.5.17 1:11 AM (61.79.xxx.23) - 삭제된댓글

    거기 들어가는 비용은요??
    수능 한번 보는데 수백억이 들어요
    그걸 12번이요??

  • 5. ㅁㅁㅁ
    '23.5.17 1:12 AM (58.120.xxx.28)

    문제 출제 위원은요
    1년 내내 감금 인가요 ?

  • 6. ...
    '23.5.17 1:14 AM (1.233.xxx.247)

    문제들이 문제은행에서 랜덤으로 뽑혀나오는게 아니예요...

  • 7. 수능이
    '23.5.17 1:14 AM (14.32.xxx.215)

    돈이 얼마가 드는지는 아세요??

  • 8. 아휴
    '23.5.17 1:24 AM (210.100.xxx.239)

    말이되는 얘길 하세요.
    내신절평되면 서서히 수능 무력화되다가
    없어질겁니다.
    대학별고사 생길거예요
    12번은 무슨.
    차라리 수능 한번이 공정해요.
    수능보다 내신 잘받으려고 사교육비 더 많이듭니다.

  • 9. 아마
    '23.5.17 2:31 AM (115.164.xxx.251)

    원글님은 미국처럼 sat시험 일년에여러 번 보는것 처럼 생각하셨을겁니다.
    토요일에 시험이라 수업에 지장을 주지도 않고
    일년에 여러번보니까 수능날 컨디션나빠서 망칠까 걱정안해도 되니까 그렇죠.
    시험비를 학생들에게 현실화시킨다면 나쁘지 않은 방법 아닌가요?

  • 10. 수능의미없다
    '23.5.17 5:41 AM (58.126.xxx.131) - 삭제된댓글

    Ai와 인공지능 발전으로 솔직히 외우는 공부 , 수능 같은 시험이 의미가 없어지고 있어요
    어차피 사장될 지식을 대학 가기의한 줄세우기로 돈낭비라는 생각은 안 드시는 지요...
    그렇게 대학 나와서 취직이 될지
    안될지 모르는 세상이 올 텐데요.... 어쩌면 대학타이틀 자체가 무의미해질지도요..

  • 11.
    '23.5.17 6:32 AM (58.231.xxx.119)

    고교학점제가 전 좋아 보이지가 않아요
    수능 무력화
    절대평가제
    이걸로 잘 하고 열심히 하는것을 어찌 알죠?
    도리어 예전 수시처럼
    엄마정보력이 판 치는 세상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에요

  • 12. 이렇게하면
    '23.5.17 7:16 AM (121.190.xxx.146)

    시험비를 학생들에게 현실화시킨다면 나쁘지 않은 방법 아닌가요?
    ㅡㅡㅡㅡ
    말이 좋아 현실화지 그럼 돈있는 집은 12번치고 없는 집은 1번 치겠죠
    이게 없어진 수시 무제한 접수하고 뭐가 달라요?

  • 13. 세특
    '23.5.17 7:20 AM (110.11.xxx.45)

    은 학교마다 과목샘마다 차이가 큰 부분인데 이걸로 변별을 가지면 힘들어지죠

  • 14. ㅅㅅ
    '23.5.17 7:39 AM (113.52.xxx.185)

    참고로 학력고사 시절 1년에 2번 본 적은 있었어요. 1번은 너무 가혹하다고 해서... 1990년대 어느 해였을 겁니다. 그 두번도 감당이 안 되어 폐지했는데 1년에 12번요?

  • 15. ......
    '23.5.17 7:42 AM (175.223.xxx.199)

    12번 보면 만점자와 고득점자가 엄청 많아질텐데
    감당할 자신 있나봐요?

  • 16. 위에
    '23.5.17 8:11 AM (58.140.xxx.139)

    학력고사 2번 아니에요
    1994년 수능을 두 번 봤죠

  • 17. ㅡㅡㅡㅡ
    '23.5.17 8:36 AM (61.98.xxx.233) - 삭제된댓글

    전국가적 시험 한번 보는 것도 비용이 얼만데요.

  • 18. ㅡㅡㅡ
    '23.5.17 9:00 AM (183.105.xxx.185)

    희한하죠. 사실 수능 강화하는 게 젤 편한데 ..

  • 19. 저기요
    '23.5.17 9:16 AM (182.229.xxx.215)

    원글님이 말하는, 그렇게 중간기말 봐서 입시 치르는게 지금 수시예요
    제일 큰 문제가 뭔지 아세요?
    3년 내내 애들이 입시에 매달려야 하고, 단 한 번의 실패도 용납되지 않아요
    고1 입학해서 한 달반만에 중간고사 보는데 그게 입시에 들어가니까 중학교때부터 선행 다 해놓고 가는 거예요
    3년 내내 한 번이라도 사춘기 방황 따위로 시험을 소홀히 할 수가 없죠. 애들한테 실패할 기회가 없어요

  • 20. 수시가 수능12번
    '23.5.17 9:55 AM (61.84.xxx.71)

    12번 수능보는게 수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70716 방금있던 자랑글은 지워진건가요?? 5 ㅡㅡ 2023/05/25 1,750
1470715 업소 다니는 남자 4 ... 2023/05/25 2,297
1470714 시골집 때문에 양도세 몇천 내게 생겼네요 23 그냥이 2023/05/25 5,669
1470713 짝퉁팔다 걸린 김효린 국힘 대구 중구의원 ‘당원권 6개월 정지 3 ... 2023/05/25 1,019
1470712 80대엄마 짜쓰는 크림 추천해주세요 11 00 2023/05/25 1,217
1470711 연휴에 절에 가고 싶어요...서울인근에 다녀올 곳 있을까요 8 그래 2023/05/25 1,264
1470710 아이가 퇴직후 두달쉬고 재취업한다는데 14 어렵네요 2023/05/25 4,123
1470709 국힘 지지자 분들 모여주세요. 3 .. 2023/05/25 823
1470708 보험하는 지인 7 보험 2023/05/25 1,570
1470707 남편이랑 대화 잘 안되는분 계신가요? 10 ㅇㅇㅇ 2023/05/25 2,199
1470706 남국아 왜 안민석이형한테 극단적 선택하고 싶다고 했어 그건 절대.. 24 오늘도남국이.. 2023/05/25 2,977
1470705 낫또는 참 극복하지 못할... 19 음... 2023/05/25 2,674
1470704 대전 그 교사 면직신청 7 까비 2023/05/25 2,539
1470703 건조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3 야호 2023/05/25 663
1470702 "오염수 안전하면 도쿄만에 버려라" 후쿠시마 .. 6 ㅇㅇ 2023/05/25 1,466
1470701 차에 김칫국물이 세서 냄새가 진동이에요 ㅠㅠ 5 .... 2023/05/25 1,128
1470700 말이 너무 많은 사람 13 여름이다 2023/05/25 3,674
1470699 전기 압력밥솥으로 찰밥 잘 하는법 있나요? 4 000000.. 2023/05/25 888
1470698 자녀 대학 보내신 선배맘들~ 사고력수학이요!!!! 24 초등맘 2023/05/25 2,568
1470697 " 차정숙" vs " 나쁜엄마&quo.. 12 .. 2023/05/25 3,360
1470696 석달째 두통으로 너무 힘든데 먹는약 괜찮을까요. 10 47세 주부.. 2023/05/25 1,473
1470695 결혼생활 12년만에 김밥 성공;;; 11 ㄱㅂㄴ 2023/05/25 2,564
1470694 세입자 나가시는데 이사가실집 계약금 전세금 10프로 미리주는거요.. 23 귀여워 2023/05/25 3,553
1470693 반찬집에서 산 너무 맛없는멸치고추장볶음? 7 .... 2023/05/25 1,677
1470692 시어머니 15 아들 2023/05/25 4,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