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입시제도요.. 그냥 수능을 12번 보면 안되나요?

아이가 6학년 조회수 : 3,523
작성일 : 2023-05-17 01:05:08
6학년 아이 엄마입니다. 
지역은 경기도 비평준화 지역입니다.
고교학점제시행과 맞물려 평준화가 된다는둥 반대한다는둥,, 말 많더라구요. 
그리고 내신이 절대평가되고 수능도 절대평가 되서 결국엔 학생부의 세특이 중요하다 이런소문이 들려요. 
세특은 주로 발표 보고서 등등 수행평가 형식으로 알고 있고 학교별로 잦은 기회를 주는 학교가 있고 
관심갖지 않는 학교도 있다고 들었어요.. 그래서 특목고나 자사고가 유리할것같다는 소문도..
어쨌든 국영수 잘하는 아이들을  뽑는 건데 그 방법을  5-6가지 방법으로 줄세워서 5-6가지 모두 준비하게 만드는 제도 아닌가요? 너무 낭비같아요. 어느 전형이 유리한지 컨설팅까지 받아야 좋은 대학간다면서요...
그리고 절대평가되면 학교별 수준차이 심해서 학교마다 다 쉽게 시험 출제할거 같아요. 그러다 일부는 수능봐야하고.. 에휴 그냥 전국에 공통으로 3년동안 매학기마다 중간 기말고사를 수능형태로 전국 공통으로 보고 이것을 12번 평균내서 절대평가하고 변별력은 세특(수행평가)하는게 젤 낫지않을까요? 학생부때문에 교권도 무너지지않을거 구요...
IP : 14.138.xxx.41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5.17 1:07 AM (211.36.xxx.78) - 삭제된댓글

    수능보는날 비행기도 안떠요.
    직장인들 출근시간도 늦추고
    다른 학년 학생들은 학교도 안가요.
    이걸 12번 하자고요?

  • 2. ....
    '23.5.17 1:07 AM (175.193.xxx.138)

    매학기마다.... 그게 수시 잖아요?

  • 3. 원글
    '23.5.17 1:10 AM (14.138.xxx.41)

    꼭 수능이아이라도 전국 공통 시험시로 중간고사 기말고사 보는건 안되나해서요.

  • 4. ...
    '23.5.17 1:11 AM (61.79.xxx.23) - 삭제된댓글

    거기 들어가는 비용은요??
    수능 한번 보는데 수백억이 들어요
    그걸 12번이요??

  • 5. ㅁㅁㅁ
    '23.5.17 1:12 AM (58.120.xxx.28)

    문제 출제 위원은요
    1년 내내 감금 인가요 ?

  • 6. ...
    '23.5.17 1:14 AM (1.233.xxx.247)

    문제들이 문제은행에서 랜덤으로 뽑혀나오는게 아니예요...

  • 7. 수능이
    '23.5.17 1:14 AM (14.32.xxx.215)

    돈이 얼마가 드는지는 아세요??

  • 8. 아휴
    '23.5.17 1:24 AM (210.100.xxx.239)

    말이되는 얘길 하세요.
    내신절평되면 서서히 수능 무력화되다가
    없어질겁니다.
    대학별고사 생길거예요
    12번은 무슨.
    차라리 수능 한번이 공정해요.
    수능보다 내신 잘받으려고 사교육비 더 많이듭니다.

  • 9. 아마
    '23.5.17 2:31 AM (115.164.xxx.251)

    원글님은 미국처럼 sat시험 일년에여러 번 보는것 처럼 생각하셨을겁니다.
    토요일에 시험이라 수업에 지장을 주지도 않고
    일년에 여러번보니까 수능날 컨디션나빠서 망칠까 걱정안해도 되니까 그렇죠.
    시험비를 학생들에게 현실화시킨다면 나쁘지 않은 방법 아닌가요?

  • 10. 수능의미없다
    '23.5.17 5:41 AM (58.126.xxx.131) - 삭제된댓글

    Ai와 인공지능 발전으로 솔직히 외우는 공부 , 수능 같은 시험이 의미가 없어지고 있어요
    어차피 사장될 지식을 대학 가기의한 줄세우기로 돈낭비라는 생각은 안 드시는 지요...
    그렇게 대학 나와서 취직이 될지
    안될지 모르는 세상이 올 텐데요.... 어쩌면 대학타이틀 자체가 무의미해질지도요..

  • 11.
    '23.5.17 6:32 AM (58.231.xxx.119)

    고교학점제가 전 좋아 보이지가 않아요
    수능 무력화
    절대평가제
    이걸로 잘 하고 열심히 하는것을 어찌 알죠?
    도리어 예전 수시처럼
    엄마정보력이 판 치는 세상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에요

  • 12. 이렇게하면
    '23.5.17 7:16 AM (121.190.xxx.146)

    시험비를 학생들에게 현실화시킨다면 나쁘지 않은 방법 아닌가요?
    ㅡㅡㅡㅡ
    말이 좋아 현실화지 그럼 돈있는 집은 12번치고 없는 집은 1번 치겠죠
    이게 없어진 수시 무제한 접수하고 뭐가 달라요?

  • 13. 세특
    '23.5.17 7:20 AM (110.11.xxx.45)

    은 학교마다 과목샘마다 차이가 큰 부분인데 이걸로 변별을 가지면 힘들어지죠

  • 14. ㅅㅅ
    '23.5.17 7:39 AM (113.52.xxx.185)

    참고로 학력고사 시절 1년에 2번 본 적은 있었어요. 1번은 너무 가혹하다고 해서... 1990년대 어느 해였을 겁니다. 그 두번도 감당이 안 되어 폐지했는데 1년에 12번요?

  • 15. ......
    '23.5.17 7:42 AM (175.223.xxx.199)

    12번 보면 만점자와 고득점자가 엄청 많아질텐데
    감당할 자신 있나봐요?

  • 16. 위에
    '23.5.17 8:11 AM (58.140.xxx.139)

    학력고사 2번 아니에요
    1994년 수능을 두 번 봤죠

  • 17. ㅡㅡㅡㅡ
    '23.5.17 8:36 AM (61.98.xxx.233) - 삭제된댓글

    전국가적 시험 한번 보는 것도 비용이 얼만데요.

  • 18. ㅡㅡㅡ
    '23.5.17 9:00 AM (183.105.xxx.185)

    희한하죠. 사실 수능 강화하는 게 젤 편한데 ..

  • 19. 저기요
    '23.5.17 9:16 AM (182.229.xxx.215)

    원글님이 말하는, 그렇게 중간기말 봐서 입시 치르는게 지금 수시예요
    제일 큰 문제가 뭔지 아세요?
    3년 내내 애들이 입시에 매달려야 하고, 단 한 번의 실패도 용납되지 않아요
    고1 입학해서 한 달반만에 중간고사 보는데 그게 입시에 들어가니까 중학교때부터 선행 다 해놓고 가는 거예요
    3년 내내 한 번이라도 사춘기 방황 따위로 시험을 소홀히 할 수가 없죠. 애들한테 실패할 기회가 없어요

  • 20. 수시가 수능12번
    '23.5.17 9:55 AM (61.84.xxx.71)

    12번 수능보는게 수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68386 미국 대공황이 오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14 대공황 2023/05/17 3,336
1468385 요양병원 진짜 와.. 18 ㅇㅇ 2023/05/17 7,010
1468384 디자이너 miss sohee 아시나요? 6 ... 2023/05/17 1,359
1468383 소아청소년과 폐과 대안 21 .. 2023/05/17 2,402
1468382 아이즈모바일 절대 사용하지마세요 9 알뚤통신사 2023/05/17 1,793
1468381 국힘에서 후쿠시마오염수 1리터 마셔도 괜찮다는 그 옥스퍼드 학자.. 7 ... 2023/05/17 903
1468380 노벨문학상수상 오에 겐자브로 사망- 지적장애아를 키운 아버지 5 발달장애아 .. 2023/05/17 2,222
1468379 할머니라는 명칭은 대부분의 경우 실례예요 47 .. 2023/05/17 4,722
1468378 동물과 같이 입소할 수 있는 실버타운 생겼으면... 13 ... 2023/05/17 1,871
1468377 두유 / 잡곡 / 생채소… 건강에 좋은 안좋은 식품 알려주세요 2 궁금함 2023/05/17 1,169
1468376 복도식아파트에 방충망? 1 .... 2023/05/17 792
1468375 통돌이 세탁기 세탁조 청소법어떤방법? 6 ㅇㅇ 2023/05/17 1,676
1468374 어쩌다 예전 메일들을 확인하게 되었는데 ㅇㅇ 2023/05/17 625
1468373 밖에서 문 열려고 시도하는 영상 보셨어요? 12 어쩌자고 2023/05/17 4,622
1468372 수학 2차 방정식의 근을 구하는 손쉬운 방법 4 ../.. 2023/05/17 941
1468371 저도 옷정리 중인데요.. 3 옷정리계절 .. 2023/05/17 2,256
1468370 매트리스 토퍼 가성비 좋은 거 추천 부탁드려요 4 커버 2023/05/17 1,696
1468369 다이어트후 얼굴 꺼짐 6 질문 2023/05/17 2,527
1468368 서촌,북초,익선동 1박장소 추천부탁드립니다. 6 겸둥이 2023/05/17 799
1468367 요리용 오일 어떤거 쓰세요? 18 ........ 2023/05/17 2,154
1468366 진주에 조용한 식당 추천부탁드려요 1 질문 2023/05/17 640
1468365 냉면 육수용 다시다가 도착했어요 1 막막 2023/05/17 1,445
1468364 홍진경이 진짜 외국에서 동양미녀얼굴&스타일인가요? 23 ㅇㅇ 2023/05/17 5,884
1468363 사랑하는 사람이 있었으면… 6 비둘기 2023/05/17 1,665
1468362 옷정리 중인데요 과감히 정리할지 고민되죽겠어요 11 ^^ 2023/05/17 3,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