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콩나물 무침, 끓인후 찬물에 하나요 안하나요

ㅓㅏ 조회수 : 3,911
작성일 : 2023-05-07 11:44:50
어린시절 엄마가 바로 해주시는 콩나물 무침

먹으면 미지근한게 콩나물 무쳐서 바로

양념하고 밥상위에 올라왔다고 생각하거든요

동네엄마와 이야기하는데 대다수가

끓이고 흐르는 찬물에 흘려보내고

양념 하더라고요. 그래야 더 아삭하다고.

저만 그동안 끓이고 바로 무친것 같은데

82 다른분들은 어떠세요?

끓이고 바로 무친다, 찬물에 흘리고 무친다

어느쪽이세요?
IP : 125.180.xxx.90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ker
    '23.5.7 11:46 AM (180.69.xxx.74)

    뜨거운거 무쳐요

  • 2. 저는
    '23.5.7 11:55 AM (124.216.xxx.246)

    뜨거울때 무쳐야 양념의 고소함맛이 나는거 같아요.
    요즘엔 아삭함만 느껴지고 맛은 안나더라구요.

  • 3. ...
    '23.5.7 11:55 AM (116.32.xxx.73)

    저는 물 조금만 넣고 찌듯이 익혀서
    바로 꺼내 한김 식힌후 무쳐요

  • 4. ㅁㅁ
    '23.5.7 12:03 PM (183.96.xxx.173) - 삭제된댓글

    얼음물에 담그는건 아삭함 유지 식당법요

  • 5. 원글
    '23.5.7 12:05 PM (125.180.xxx.90)

    ㄴ 식당법과 가정법이 다를 이유가 있을까요 ?

  • 6. ..
    '23.5.7 12:05 PM (116.37.xxx.163) - 삭제된댓글

    찬물에 살짝 넣었다가 무쳐도 봤는데 덜 고소해요.
    살짝 데쳐서 건진 후 뒤적거려서 빠르게 식게 합니다.
    충분히 아삭하고 맛있어요.

  • 7. ㅁㅁ
    '23.5.7 12:06 PM (183.96.xxx.173) - 삭제된댓글

    식당은 일단 축축 늘어지면 때깔 안나니까요

  • 8. 찬물로
    '23.5.7 12:07 PM (121.165.xxx.200)

    헹구면 아삭함은 좋아요
    근데 맛이 빠져나가는 것 같아 그냥 무칩니다

  • 9. 원글
    '23.5.7 12:09 PM (125.180.xxx.90)

    아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콩나물이 찬것보다 뜨거운게 맛이 더 잘 스며들어갈테니.
    윗님, 식당에서 왜 차게 하는지 이유도 알겠네요. 감사합니다.

  • 10. 원글
    '23.5.7 12:11 PM (125.180.xxx.90)

    어쨌든 둘중 하나네요
    아삭함이 좋으면 찬물에 헹구고 양념. 단, 양념은 덜스며들어감.
    아삭함보다 양념이 더 좋으면 뜨거울때 양념.

    결론 자기 입맛에 맞는걸로.
    여긴 다 저와 같이 뜨거울 하시나보군요~

  • 11. 식혀서
    '23.5.7 12:14 PM (58.231.xxx.12)

    무쳐요

  • 12. 828
    '23.5.7 12:15 PM (112.151.xxx.59) - 삭제된댓글

    내 손 안 뜨거울 정도로 식게 뒀다 무쳐요
    물에 씻으면 향 맛 다 빠진 맛 같아서
    콩나물 잘 고르면 다 아삭

  • 13. ㄷㄷ
    '23.5.7 12:21 PM (221.143.xxx.13)

    그냥 무쳐요. 데쳐서 씻으면 왠지 영양분이 씻겨 나갈 거 같아요
    아삭하게 먹으려면 데칠 때 너무 오래 안 하면 되구요.

  • 14. ..
    '23.5.7 12:23 PM (223.38.xxx.4) - 삭제된댓글

    저는 깨끗하게 씻어서 삶고 뜨거울때 바로 무쳐요
    마늘은 빼고..
    마늘 넣으면 얇아진다고 하길래...
    뜨거울때 파 다진거 넣고 고춧가루 바로 뿌려요

  • 15. ..
    '23.5.7 12:35 PM (116.121.xxx.209)

    찬물에 씻어 무치면 아삭하긴 하나 맛이 다 빠져 맛 없어요.
    물 조금만 부어 끓어 오르고 4분 데친 후 채반이나 바트에 건져 펼친 후 한김 식히고 무치면 아삭하고 맛있어요.

  • 16. 체리
    '23.5.7 12:39 PM (1.227.xxx.187)

    콩나물 씻어서
    냄비에 넎고, 소금 쌀짝 뿌리고
    약한 불에 찌듯이 살짝 익힙니다.

    콩나물에서 나오는 물로 타지는 않아요.
    콩나물이 어느 정도 주저않으면(^^)
    그대로 양념해서 젖가락으로 저으면 무쳐줍니다.

    콩나물 맛 그대로 맛있어요,
    너무 오래 익히면 물러지니,
    살짝 익힌 후에
    볶듯이 양념하는게 포인트...

    콩나물에서 나오는 물까지 맛있어요.

  • 17. oo
    '23.5.7 12:50 PM (211.110.xxx.44) - 삭제된댓글

    식당은 대량이라
    찬물 안 부으면
    뜨거운 덩이가 좀처럼 식지 않고 계속 익어가겠죠.
    가늘고 축 늘어지게

    집에서도
    찬물에 식히면 통통함과 아삭거리는 느낌이 오래 유지 돼요.

  • 18. 바람소리
    '23.5.7 1:08 PM (118.235.xxx.35)

    이제 콩나물은 이렇게 볶아요.
    쟈스민님이 알려주신 방법

    https://m.blog.naver.com/jasmin216/168555874

  • 19. ㅇㅇ
    '23.5.7 1:28 PM (119.69.xxx.105)

    뜨거울때 마늘 파넣고 무침니다
    그래야 양녕도 익고 고소하죠

  • 20.
    '23.5.7 2:27 PM (211.224.xxx.56)

    씻으면 맛있는 맛 물에 다 씻기는거 아닌지.

  • 21. 빨강만좋아
    '23.5.7 2:40 PM (119.192.xxx.94)

    저는 씻어서 무치면 이상하게 빨리 상하더라구요
    그래서 그냥 무쳐요

  • 22. 찬물에 씻음
    '23.5.7 3:50 PM (221.144.xxx.81)

    영양소가 다 빠져요

  • 23. 와우
    '23.5.7 3:55 PM (119.71.xxx.223) - 삭제된댓글

    15년간 찬물샤워 필수라고 생각했는디 또 하나 배우네요

  • 24. ..
    '23.5.8 12:20 PM (27.131.xxx.10)

    콩나물무침 참고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94785 여름인데도 팔윗부분이 시려요ㅠ 4 질문 2023/08/16 1,002
1494784 초전도체 기업 최대주주 주식 다 팔았네요 12 ㅇㅇ 2023/08/16 5,566
1494783 시어머니는 뭔가를 사주고 또 바라세요. 17 ddd 2023/08/16 5,809
1494782 가해자 마인드? 3 일상 2023/08/16 617
1494781 이 방송 너무 좋아요 힘드신 분들 꼭 보세요 인생조언 2 전한길 2023/08/16 3,598
1494780 내년 입주 가구를 미리 알아보려해요 3 모스키노 2023/08/16 1,054
1494779 뜯지 않은 두부 유통기한 한달쯤 지난... 4 두부 2023/08/16 2,589
1494778 고소영, 중요한 날 죄송합니다 54 ........ 2023/08/16 23,774
1494777 부부상담 받으려는데 좋은 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혼인신고 한.. 8 올리브 2023/08/16 906
1494776 스트레이트 펌도 끝을 안으로 동그랗게 말아달라고 하면 해 줘요?.. 7 스트레이트펌.. 2023/08/16 1,451
1494775 학교 레벨 그리고 학과 8 .. 2023/08/16 1,844
1494774 한국의 빵값이 비싼 이유.jpg 10 아.... 2023/08/16 6,434
1494773 뇌mri 제가 먼저 찍고 싶다고 해도 실비되나요? 7 궁금이 2023/08/16 1,980
1494772 "2명도 다둥이"…정부 다자녀혜택 기준 3자녀.. 6 ... 2023/08/16 2,481
1494771 서울시 바뀐 로고 11 ㅇㅇ 2023/08/16 1,944
1494770 주식 지금 주워야하나요? 4 wntlr 2023/08/16 4,388
1494769 증여에 관해 1 아들 2023/08/16 1,423
1494768 키 작아도 인기 있는 남자라고... 57 ㅇㅇ 2023/08/16 8,247
1494767 남편 한번 한눈판거 넘어가주고 난 후 삶은 어때요? 6 길위에서의생.. 2023/08/16 3,276
1494766 1억5천 1년간 어디 넣을까요? 4 전문가분들 2023/08/16 2,797
1494765 침 사레 자주 걸리기는분 계세요.? 5 오십대 2023/08/16 1,874
1494764 저 밑에 강아지가 붕가붕가한다는글 보고 2 냥이는 2023/08/16 2,168
1494763 '카이스트 막말' 학부모 신상공개되자 발끈.."그 교사.. 13 .... 2023/08/16 5,590
1494762 졸업식 꽃다발 가격 6 꽃다발 2023/08/16 1,755
1494761 원목데크공사 하고 싶은데 어디로 알아봐야 할까요 1 전원주택 2023/08/16 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