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78세 어머니, 집을 사도 될까요

조회수 : 5,341
작성일 : 2023-02-20 16:59:26
이런 저런 사연 다 빼고요.
평생 좋든 나쁘든 본인 자가 주택 사시다가 혼자 되시고 남편 죽은 집 파신 뒤 현재는 작은 다세대주택 전세 살고 계세요. 
본인이 모아둔 전 재산이 1억 8천 정도 되고요. 일부는 현금화해서 가지고 계시고 일부는 지금 사는 집 전세자금으로 들어가 있어요. 

자식들은 다 서울 살고 어머니 혼자 지방 소도시에 살고 계세요. 

이런 경우, 전세를 계속 사시는 게 맞을까요, 집을 사시는 게 맞을까요?

어머니는 1억 5천 내외의 주택(지방 소도시다보니 낙후된 주택 대지 40평대, 건령 3-40년 정도는 살 수 있어요.)을 사고 싶어하는데 자식들은 어머니가 혼자 살면서 그 낙후된 주택을 건사하는 문제, 사후 유산 처리 문제 등으로 난감해서
몇천을 더 보태더라도 2억-2억5천 내외의 신축 또는 10년 이내 아파트 전세를 권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몇천을 보태는 건 큰 문제 없고요.)

어머니는 이사갈 필요 없는 내 집에 살고 싶다, 하는 거고,
자식들은 편히 살고 혹시 병원에 들어가게 될 경우를 생각하는 거고요.

어떤 게 맞을까요.
IP : 58.231.xxx.155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2.20 5:02 PM (116.41.xxx.107)

    어머니가 주택에 살고 싶으신가 봐요.
    몸이 예전 같지 않아서 지금 혼자 주택 살이 무리로 보이는데
    혹시 주택 전세 살아 보는 건 어떨지..

  • 2. 시어머니
    '23.2.20 5:04 PM (112.153.xxx.249)

    사시던 지방 주택을 돌아가시고 나서 팔 때
    정말 애먹었어요.
    지방이면 전세도 잘 안 오르고 하니 차라리 전세집 알아보심이 어떤가요?

  • 3.
    '23.2.20 5:05 PM (58.231.xxx.155)

    지금 주택 전세 살고 계시고요, 거의 평생 주택 사시다가 본인이 강력히 원하셔서 그 주택 팔고 아파트 들어가서 6년 사셨어요. 그리고 지금 다시 주택 전세.

  • 4. ..
    '23.2.20 5:06 PM (223.62.xxx.200)

    공공임대 같은거 들어가시는거 힘들까요

  • 5. Jes
    '23.2.20 5:08 PM (14.52.xxx.106) - 삭제된댓글

    작은 아파트를 사세요. 주택은 너무 힘들고, 자식들이 손이 많이 가요.
    아파트가 관리가 쉽죠.
    평생 내 집에 사시던 분들 계약기간 끝나갈 때 스트레스 엄청 받으시구요
    어머니 연세 많아지시면 전세 구하기도 힘들어지세요.
    세 주는 쪽에서 너무 나이 많으면 꺼리더라구요.. 울 엄니 94세. ^^
    80세때 그런 스트레스 너무 하소연 하셔서, 돌아가시면 형제들 시골별장으로 쓰자면서 샀는데,
    현재 15년째 안정적으로 잘 살고 계십니다.
    중간에 수리 좀 하자하니, 내가 언제까지 산다고 수리하냐 하시더니.. 앞으로도 몇년 더 사실듯.
    집이 낡아서 꼴이 말이 아니긴 한데, 어쨋건 내 집이니 노인네 이사 스트레스 하소연 안들어도 되어 좋습니다

  • 6. 00
    '23.2.20 5:08 PM (121.190.xxx.178)

    80중반 부모님 주택에 사세요
    집지은지 15년 남짓인데 어기저기 계속 손볼곳 있어요
    아빠가 웬만한 건 직접 고치셨는데 이제 힘빠져서 손재주 있는 사위오면 부탁해요
    난방비 많이 들어 춥게 살고 춥게 살아서인지 더 아프신거 같고 2층 계단 오르락거리는 것도 힘들어보여요(1층 세줌)
    반면 70쯤에 아파트로 옮기신 시댁은 딱히 집수리할것도 없고 난방 안하고 전기매트만 써도 크게 춥지않고 두분다 잔병없이 건강하세요
    이사 귀찮아 집을 사시고싶다면 아파트 저층에 사시는게 좋을듯해요

  • 7. 아파트
    '23.2.20 5:12 PM (180.70.xxx.42)

    지방 주택은 관리보수유지도 문제지만 팔기 굉장히 힘들어요.
    젊어서부터 살던 주택이라면 모를까 78세에 혼자시면 아파트 들어가 사시는게 젤 속편해요.

  • 8. ㅇㅇ
    '23.2.20 5:15 PM (117.111.xxx.6) - 삭제된댓글

    임대아파트 들어가라고 하세요. 그 동네는 부영없나요?? 부영임대 들어가서 사시는게 젤 속편할 것 같은데

  • 9. ....
    '23.2.20 5:22 PM (180.69.xxx.152)

    그거 나중에 100으로 안 팔려서 상속 받아도 자식들이 골치덩어리 입니다.

    예를 들어, 3남매가 공동 상속을 받으면 3남매 전부 1가구 2주택이 되는거예요...ㅠㅠ

  • 10. ..
    '23.2.20 5:23 PM (49.165.xxx.191) - 삭제된댓글

    연세드신 분들 소형이라도 아파트에 사시는게 나아요 양가 부모님 평생 주택만 고집하셨는데 팔십 넘어 힘들어 하시고 혼자 계신 시어머니 집 파는건 쉽지 않으니 전세로 작은평수 옮기시려고 해요. 노쇠하시면 걷는거도 힘들어 하세요. 조건되면 임대아파트 좋겠네요.

  • 11. ker
    '23.2.20 5:46 PM (180.69.xxx.74)

    주택은 말려요
    노인이 관리도 어렵고

  • 12. ㅇㅇ
    '23.2.20 5:49 PM (223.38.xxx.150)

    그연세면 있던집도 팔아야할 시기인데
    전재산 다 털어서 집을 사다뇨?
    요즘 널린게 전세인데...

  • 13. ㅁㅁㅁ
    '23.2.20 5:50 PM (14.58.xxx.110)

    어르신 희망사항은 알겠는데 집 알아보고 계약 등 구매과정 전반과 집 관리 혼자 하시겠다면 자식이 나중 상속 이유로 못하게 하기 어려워보이고요 지금도 자식 도움받아 처리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어른께서도 자식들 의견 고려하셔야지 어찌 본인 뜻만 고집하실까요,

  • 14. ..
    '23.2.20 5:53 PM (112.144.xxx.120) - 삭제된댓글

    자가 권유합니다.
    평생 자가 거주자면 남의집 세사는거 불안해하시고요.
    자가도 너무 크지않은집 업체가 관리해줄 정도로 외지지 않은 곳이면 괜찮을텐데요.
    정원있고 개밥이라도 주고 푸성귀라도 가꾸고 소일거리가능한 집이면 최고인데요.

  • 15. 미적미적
    '23.2.20 5:59 PM (110.70.xxx.149)

    주택살다가도 아파트 전세 가셔도 될 나이예요 잘지은 신축도 아니고 낡은잠 보수관리 누가 하며 비용은 누가 내요? 지금부터 부동산으로 돈 벌어보시려는건지 그럼 차라리 아파트 사시고 주택연금 쓰시던지요

  • 16. 이사
    '23.2.20 6:28 PM (42.22.xxx.122) - 삭제된댓글

    서울, 경기 쪽으로 모시세요
    지방에 모시면 아프면 형제자매들 모두 서울에 사는데
    어떡하시나요? 지금부터 경기도, 서울쪽으로 모시세요
    떨어져살면 자나깨나 걱정되더군요

  • 17. ..
    '23.2.20 6:35 PM (221.140.xxx.68) - 삭제된댓글

    나이든 세입자 집주인이 꺼려합니다.
    경제적 부담이 없다면
    편안히 자가로 계신게 좋을 거 같아요.

  • 18. ker
    '23.2.20 6:56 PM (180.69.xxx.74)

    엄마 혼자되면 15ㅡ 20평 정도 아파트로 옮기시라 하려고요
    관리 못해서요 누가 자고갈 것도 아니고

  • 19. 텃밭 가꾸기 등
    '23.2.21 11:10 AM (175.209.xxx.111)

    노인분들 소일거리하기엔 주택이 나은데
    단열 안되어 있으면 난방비 엄청 나와요.
    벌레도 많고 치안문제도 있고...

    아파트가 자녀분들에겐 괜찮지만 노인분들 티비 보는거 말고는 소일거리가 없어요. 엘베 있는 신축빌라면 옥상도 있어서 햇볕에 빨래 널 수 있고 상추도 키울 수 있고 관리비도 저렴하니 괜찮지 않을까 싶네요. 아파트는 관리비 많이 나와서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41072 모쏠아재) 마트에서 본 신혼부부 1 ㅇㅇ 2023/02/22 3,722
1441071 사진 찍으면 코성형 한 것 같아요. 3 .... 2023/02/22 1,841
1441070 역할 놀이 싫어하는 초등 아이.. 5 육아고민.... 2023/02/22 1,561
1441069 폐암. 조직검사 등 안하면 후회할까요? 16 동원 2023/02/22 5,429
1441068 페더러 인스타에 블랙핑크 9 ㅇㅇ 2023/02/22 3,450
1441067 사진만 찍으면 얼굴이 넙데데 해요 41 후덕한 얼굴.. 2023/02/22 9,457
1441066 전세계약후 집주인이 신고하는게있나요? 1 전세계약 2023/02/22 1,598
1441065 잠못들고 있어요 6 .... 2023/02/22 1,612
1441064 중국에게 배울점 10 .. 2023/02/22 2,301
1441063 아파트 택배 260개 훔친 이웃집 여자 4 ..... 2023/02/22 6,613
1441062 오늘 미국주식 꼬라박는 날 ... 5 ㅇㅇ 2023/02/22 3,746
1441061 번개탄, 신동진쌀, 암소, 에너지 대책... 8 2023/02/22 2,010
1441060 밥 계산 5 ㅇㅇ 2023/02/22 1,952
1441059 이재명 무죄면 박근혜도 무죄죠? 28 ㅇㅇ 2023/02/22 1,920
1441058 배고픔을 못참고 이시간에ㅠㅠㅠ 19 ㅠㅠ 2023/02/22 3,600
1441057 다이어트 식이 봐주세요... 8 // 2023/02/22 1,659
1441056 일본 여행 가서 가게에서 달러 사용 가능한가요? 19 ... 2023/02/22 3,899
1441055 예금하는법 3 궁금 2023/02/22 2,553
1441054 강아지 앞니가 빠졌어요 5 강아지 2023/02/22 2,498
1441053 아래 자영업자 분들 조심하세요. 글에 이어.. 6 .. 2023/02/22 3,390
1441052 호텔에서 아침에 자고 난 침구는 손 좀 보고 나오나요? 27 호텔 2023/02/22 7,432
1441051 금융위원장 "은행 예금금리 낮추라고 한 적 없다&quo.. 5 ... 2023/02/22 2,350
1441050 대학생 자취용 에어프라이와 전자레인지 단일상품 추천 7 추천부태 2023/02/22 1,741
1441049 美세입자,소득의 30% 이상을 월세로..뉴욕은 68.5% 달해 6 .. 2023/02/22 2,686
1441048 자영업 하시는 분들 조심하셔요… 41 2023/02/22 2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