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얼굴 모르는 고조부모 제사… “조선시대 때도 없던 법”

qwerty 조회수 : 2,763
작성일 : 2023-02-02 15:52:25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3/02/02/VQBXYCTQKJGELNYQS6...



한국학 연구기관 한국국학진흥원이 “얼굴을 본 적 없는 고조부모나 증조부모 제사를 지내는 건 시대착오”라고 밝혔다.

한국국학진흥원은 2일 제례 문화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담은 두 번째 시리즈 ‘고조부까지의 4대봉사, 그 숨겨진 진실’에서 이같이 밝혔다. ‘4대봉사’(四代奉祀)는 부모·조부모·증조부모·고조부모까지 지내는 제사를 의미한다. 그러나 조선시대 어디에도 4대봉사를 제도적으로 명시한 경우는 없었다고 한다.

신분제 사회였던 조선시대에는 누가, 누구의 제사를 지내는지 법으로 규정해뒀다. 1484년 성종 때 편찬된 조선시대의 법전 경국대전에는 ‘6품 이상의 관료는 부모·조부모·증조부모 3대까지를 제사 지내고, 7품 이하는 2대까지, 벼슬이 없는 서민은 부모 제사만을 지낸다’고 적혀있다.

4대봉사는 주자가례(중국 송나라 성리학자인 주희가 일상 예절을 기록한 책)를 신봉하는 유학자들에 의해 보급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들이 신분과 지위에 상관없이 4대봉사를 주장하면서 한국에 정착했다는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15세 전후에 결혼하는 조혼 습속 때문에 고조부모까지 4대가 함께 사는 경우가 흔했다. 생전 고조부모와 정서적인 교류나 추억이 많은 후손들이 4대봉사를 당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었던 이유다. 하지만 조혼이 사라진 오늘날의 경우 고조부모나 증조부모를 보는 일은 드물다.

김미영 한국국학진흥원 인문정신연수원 연구기획팀장은 “조상에 대한 기억이 많을수록 제사에 임하는 정감이 다르다”며 “유교 성향이 강한 경북지역 종가에서도 증조부모나 조부모까지의 제사로 바꾸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조상제사는 개개인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일종의 추모의례”라며 “생전 추억이 많을수록 추모 심정이 간절해진다는 점에서 조상 제사 대상은 ‘대면 조상’으로 한정시키는 게 합리적인 방안”이라고 했다.

IP : 218.149.xxx.186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qwerty
    '23.2.2 3:53 PM (218.149.xxx.186)

    신분제 사회였던 조선시대에는 누가, 누구의 제사를 지내는지 법으로 규정해뒀다. 1484년 성종 때 편찬된 조선시대의 법전 경국대전에는 ‘6품 이상의 관료는 부모·조부모·증조부모 3대까지를 제사 지내고, 7품 이하는 2대까지, 벼슬이 없는 서민은 부모 제사만을 지낸다’고 적혀있다.

  • 2. 됐고
    '23.2.2 3:53 PM (210.100.xxx.74)

    나부터 제사는 없습니다!

  • 3. ㅎㅎㅎ
    '23.2.2 3:54 PM (223.62.xxx.140)

    82 제사열심러들 또 몰려오겠네요
    이런글에는 또 뭐라고 쉴드를 칠려나???
    본인들 한심하다는 소리는 죽어도 듣기싫고 어떤말이든 꾸며대보겠네요 ㅋㅋㅋ

  • 4. .....
    '23.2.2 3:54 PM (112.150.xxx.216)

    노인네들 자기네는 양반집이라며 증조부모까지 지내겠네요 ㅋㅋㅋ

  • 5. 참나
    '23.2.2 4:00 PM (1.234.xxx.165)

    노인네들 자기네는 양반집이라며 증조부모까지 지내겠네요 ㅋㅋㅋ 2222

  • 6. 왜 이제까지
    '23.2.2 4:00 PM (125.180.xxx.53)

    아무말없다 이제와서 이러는걸까???
    진작에 좀 알려주지..ㅉ

  • 7. ...
    '23.2.2 4:11 PM (1.237.xxx.156)

    마음은 달아나고 형식에만 집착해서
    그깟 제사지내냐 마냐~~~
    남들 어쩔생각말고 본인만 잘하면 됩니다.
    제사 지내려니 돈들고 시간들고 몸 고되고.
    제사 라는 것에만 집착하니 얼마나 어리석어보여요?

  • 8. ㅋㅋ
    '23.2.2 4:32 PM (121.171.xxx.132) - 삭제된댓글

    근데 요새 진짜 제사 안지내나봐요.
    아주 제사 없앨까봐 난리가 났네요. ㅉㅉㅉ

  • 9. 이제와서?
    '23.2.2 4:49 PM (175.209.xxx.73)

    너무 속보이는 짓거리 ㅠ
    진즉에 알렸어야지 ㅠ
    늦었다고 전해라~~~~~

  • 10. 고조부
    '23.2.2 5:19 PM (223.38.xxx.36)

    고조부 제사는 따로 안지내는 대신
    명절 차례상에는 윗대조상들 밥그릇 올려요.
    저 양반.
    그리고 사료들을 바탕으로 밝힌 역사도
    또 연구하면 바뀌니까
    어떤 연구나 밝혀낸 사실을 100퍼센트 맹신하면 안되고
    아 그럴 가능성이 있구나
    이렇게 생각해야 한답니다

  • 11. 미적미적
    '23.2.2 9:20 PM (125.31.xxx.114)

    여지껏 입닥하더니 이제와서 어떻게든 하라고 이말저말

  • 12. ..
    '23.2.2 9:48 PM (58.226.xxx.98)

    제가 실수로 현명했던거군요ㅋㅋ
    남편이 장남인데 예전에 우리가 제사 받아오면 제사지내는 기준은 안면 튼 조상까지다 하고 못박았거든요
    그래서 저흰 시아버님 제사만 지낸답니다
    저희는 다행히 제삿날 와서 훈수 둘 작은아버지들이나 다른 친척들이 없어서 가능했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37400 인터넷 홈플러스 1 홈플 2023/02/11 1,026
1437399 사랑의 이해에서 안상수랑 박미경 침대에서 대화한건 뭐에요? 8 답답 2023/02/11 3,961
1437398 맞벌이 몸이 언제 적응 할까요? 7 ㅇㅇ 2023/02/11 2,220
1437397 유아인 하나도 안놀라우신 분들??? 61 ??? 2023/02/11 22,379
1437396 김포공항에 차 가져가면 3 김포 2023/02/11 1,182
1437395 식단으로 닭가슴살 자주 드시는 분 어떻게 드세요? 5 ... 2023/02/11 1,543
1437394 이 투윗 보고 빵터졌어요 13 ㅎㅎㅎ 2023/02/11 3,023
1437393 인천 학대아이 계모년 딸아이들은요. 16 ... 2023/02/11 6,693
1437392 가슴이 갑갑하고 저리는데... 6 가슴 2023/02/11 1,358
1437391 3개월에 한번씩 해외여행가는 사람 15 하루햇살 2023/02/11 6,133
1437390 둔촌주공으로 국민들 가지고 노는건 너무 심하네요. 7 ㅇㅇ 2023/02/11 3,490
1437389 병의원에대한 후기 올라오는 곳 어디죠? 5 2023/02/11 1,060
1437388 82에 기자분들 있음 대학수강신청 기사화좀 해주세요 13 기자 2023/02/11 3,041
1437387 가톨릭대학교 평생교육원 상담심리 공부한분 계실까요?~ 2 궁금 2023/02/11 1,099
1437386 여행 가성비 위주로 자주가나요? 편하게 한 번 가나요? 8 .. 2023/02/11 2,087
1437385 대학생 두아이 보며 21 대학생 2023/02/11 5,955
1437384 냉동버터는 미리 소분안하면 자르기 힘든가요? 5 ㅇㅇ 2023/02/11 2,345
1437383 축의금 50만원보다 더 하고 싶으면 70괜찮나요? 24 ㄴㅁ 2023/02/11 5,253
1437382 다 같이 잘 살면서 인구절벽 막는 방법 있나요 29 2023/02/11 3,316
1437381 간헐적 단식과. 운동 2 ㄹㄹㄹ 2023/02/11 1,766
1437380 진짜 잘사는 분들 많네요.. 12 2023/02/11 7,216
1437379 아기가 얼마나 커야 다시 사회로 복귀할 맘이 들까요? 9 happy1.. 2023/02/11 1,555
1437378 남편 월급 얼마인가요? 12 ... 2023/02/11 7,793
1437377 저는 반찬 다 사요 9 부모님식사 2023/02/11 7,050
1437376 2박3일정도 일정이면 가방 뭐 들고 가세요? 2 기방 2023/02/11 1,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