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값이 금리때문이라하면요...

금리 조회수 : 3,042
작성일 : 2023-01-26 15:58:20
요즘 좀 금리 내리고.. 이제 올리지 않을거란 평가가 많던데

그럼 금리 낮아지면 다시 오르나요??

단순하게 지난정권때 그렇게 못잡던것은 금리때문이고
이 정권에서는 또 금리가 내려서라고해서요
IP : 39.7.xxx.115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유투브
    '23.1.26 4:01 PM (172.56.xxx.114)

    3프로 티비나 연세대 한문도교수 좀 찾아보시길 추천.

  • 2.
    '23.1.26 4:02 PM (39.7.xxx.121)

    글쎄요 이번정부 집값 올리려고 규제다 풀었으니 참 코메디 집값때문에 된 정부인데 집값 올리려고 규제푼다,

  • 3.
    '23.1.26 4:04 PM (58.148.xxx.110)

    집값을 올리려고 규제를 푼게 아니라 경착륙을 막으려고 규제 푼거예요
    집값 경착륙하면 어쨌건 영끌한 서민들이 타격입을테고 그러면 줄줄이 경제 아작납니다

  • 4. ㅎㅎ
    '23.1.26 4:07 PM (210.2.xxx.206)

    우리나라들 자산의 80%가 부동산입니다.

    집값 하락도 좋지만 살살 내려야죠. 낙하산 달아서..

  • 5. ....
    '23.1.26 4:08 P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거시적으로 경기, 금리.....
    미시적으로 수요공급, 개발호재, 투자심리.....

    지난 7년은 미시적 요소가 시장을 집어 삼켰다면, 현재부터 향후 몇년은 거시적 요소가 그 어떤 미시적 요소의 영향을 받지 못합니다. 특히 금리는 1차 요인도 아닌 2차 요인이예요.

    만약 금리를 내리고 유지한다면 그건 경기 불황일 때를 의미하는 건데, 경기불황에 너도 나도 집을 사지 않으니까요.


    과거 한국이 늘 우상향 이유는 경제성장률도 늘 우상향 이었기 때문입니다.

    근데, 앞으로의 한국은 고작 1~2%의 경제성장률도 감지덕지 해야 하지요.

    게다가 7년간의 역사적 부동산 폭등은 10년~20년 후의 주택 미래수요(청년층)까지 다 흡수해 버렸습니다,.
    돈 없는 20~30대들이 하나 못해 빌라라도 쓸어 모았으니까요. 문제는 이들 상당 수가 부동산으로 재정적 실패를 겪게 될 것 이고, 이 또한 미래수요를 어둡게 하는 요소가 되죠.

  • 6.
    '23.1.26 4:10 PM (39.7.xxx.121)

    여기 굥덕이라며 분양가까지 가야한단 사람들도 많잖아요

  • 7. ......
    '23.1.26 4:10 P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거시적으로 경기, 금리.....
    미시적으로 수요공급, 입지, 개발호재, 투자심리.....

    지난 7년은 미시적 요소가 시장을 집어 삼켰다면, 현재부터 향후 몇 년은 거시적 요소가 시장을 지배해서 미시적 요소들이 힘을 쓰지 못합니다.
    또한, 금리는 1차 요인도 아닌 2차 요인 이예요.

    만약 기준금리를 내리고 유지한다면 그건 경기 불황일 때를 의미하는 건데, 경기불황에 너도 나도 집을 사지 않으니까요.


    과거 한국이 늘 우상향 이유는 경제성장률도 늘 우상향 이었기 때문입니다.

    근데, 앞으로의 한국은 고작 1~2%의 경제성장률도 감지덕지 해야 하지요.

    게다가 7년 간의 역사적 부동산 폭등은 10년~20년 후의 주택 미래수요(청년층)까지 다 흡수해 버렸습니다,.
    돈 없는 20~30대들이 하나 못해 빌라 라도 쓸어 모았으니까요. 문제는 이들 상당 수가 부동산으로 재정적 실패를 겪게 될 것 이고, 이 또한 미래수요를 어둡게 하는 요소가 되죠.

  • 8. ㅁㅇㅁㅁ
    '23.1.26 4:22 PM (125.178.xxx.53)

    금리의 영향이 어마무시하죠..

    학교때 정치경제 과목에도 다 나오는..

  • 9. ㅎㅎ
    '23.1.26 4:22 PM (118.235.xxx.194) - 삭제된댓글

    금리도 있지만
    시장 분위기(심리) 공급 다영향 있죠
    시장이 타오르던 시기에 금리가 낮았고 일부는 공급 부족 어쩌고구추기고. 다들 급하게 빚내서 사들임.

    근데 그후는. 살사람 다사고.전세는 안나가
    입주 줄줄.공급도 줄줄. 경기 인천은 폭탄급 많고
    이런상태에요.

  • 10. ㅎㅎ
    '23.1.26 4:24 PM (118.235.xxx.194) - 삭제된댓글

    금리도 있지만
    시장 분위기(심리) 공급 다영향 있죠
    시장이 타오르던 시기에 금리가 낮았고 일부는 공급 부족 어쩌고부추기고. 다들 급하게 빚내서 사들임.

    근데 그후는. 살사람 다사고.전세는 안나가
    입주 줄줄.공급도 줄줄. 경기 인천은 폭탄급 많고
    이런상태에요.

  • 11. ..
    '23.1.26 4:25 PM (106.102.xxx.79)

    금리가 영향이라면 일본은요.

  • 12. 금리가 내려도
    '23.1.26 4:34 PM (61.78.xxx.6)

    다시 상승할 일은 없어요.
    한국은 이대로 가다간 다같이 망해요.
    희망이 없는 나라

  • 13. 집값이
    '23.1.26 4:50 PM (123.199.xxx.114)

    오르기는 한동안 어려워요.
    10년 지나면 풀린돈이 좀 거둬질려나요.
    무주택자들의 집사기가 쉬워졌다지만 금리가 저리 비싼데 누가 살까요

  • 14. 경제성장
    '23.1.26 4:57 PM (116.41.xxx.218)

    경제성장이 받쳐줘야하고
    수요인구가 늘어야하는데
    가망이 없죠

  • 15. 제인
    '23.1.26 5:26 PM (165.225.xxx.97)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거시적으로 경기, 금리.....
    미시적으로 수요공급, 입지, 개발호재, 투자심리.....

    지난 7년은 미시적 요소가 시장을 집어 삼켰다면, 현재부터 향후 몇 년은 거시적 요소가 시장을 지배해서 미시적 요소들이 힘을 쓰지 못합니다.
    또한, 금리는 1차 요인도 아닌 2차 요인 이예요.

    만약 기준금리를 내리고 유지한다면 그건 경기 불황일 때를 의미하는 건데, 경기불황에 너도 나도 집을 사지 않으니까요.


    과거 한국이 늘 우상향 이유는 경제성장률도 늘 우상향 이었기 때문입니다.

    근데, 앞으로의 한국은 고작 1~2%의 경제성장률도 감지덕지 해야 하지요.

    게다가 7년 간의 역사적 부동산 폭등은 10년~20년 후의 주택 미래수요(청년층)까지 다 흡수해 버렸습니다,.
    돈 없는 20~30대들이 하나 못해 빌라 라도 쓸어 모았으니까요. 문제는 이들 상당 수가 부동산으로 재정적 실패를 겪게 될 것 이고, 이 또한 미래수요를 어둡게 하는 요소가 되죠.
    22222222222222222222222222

  • 16. ㅇㅇ
    '23.1.26 8:33 PM (116.37.xxx.13)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참고할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35433 정신과 의사나 심리상담가가 관심이 생겨요 6 Jj 2023/02/05 1,456
1435432 15평 가스비만 25만원 14 2023/02/05 3,223
1435431 어쨌든 교대는 더이상 가면 안될거 같아요 18 ... 2023/02/05 5,315
1435430 누구나 좋을때 힘들때 있는 거져? 4 .. 2023/02/05 1,133
1435429 너무 멋진 이야기! 꼭 보세요!! 미국의 한인들 정말 멋집니다... 2 미친 굥가 2023/02/05 2,214
1435428 도와주세요. 임종 절차 20 ..... 2023/02/05 5,526
1435427 초음파 세척기 쓰신는 분들 질문요. 1 00 2023/02/05 351
1435426 사랑의 이해 의문점 13 여주에 대한.. 2023/02/05 3,377
1435425 무수분 요리가 될 수 있는 냄비의 필요충분 조건이 있을까요? 2 짜라투라 2023/02/05 1,113
1435424 미국 피자는 치즈가 가공 아닌 순수 100%인가요? 6 가공은 좀 .. 2023/02/05 2,552
1435423 제가 변희재 유튜브를 보게됐네요 8 ㅎㅎ 2023/02/05 2,407
1435422 문재인 대통령님이 보고 싶은데..혹시.. 20 혹시 2023/02/05 2,330
1435421 윤 대통령 30분씩 말 쏟아내는데… 내용은 난수표·안 들림·뜬금.. 10 빈깡통소리요.. 2023/02/05 3,303
1435420 사이 안 좋은데 그냥 사는 부부 이혼 15 노을 2023/02/05 6,847
1435419 샤이니 키 매력 있나요? 예능에 많이 나오네요 38 .. 2023/02/05 6,877
1435418 아점 뭐 드세요? 3 오므라이스 2023/02/05 1,461
1435417 지금 노인 세대들에게 딸이란... 20 ... 2023/02/05 5,821
1435416 치과 네비게이션 임플란트 3 미소tjfo.. 2023/02/05 984
1435415 어제 밤 변호사 선임(학폭)이 제일 잘한 일... 8 변호사 선임.. 2023/02/05 2,722
1435414 어른 김장하 _ 비공개 전환전에 꼭 보세요. 6 봉다리 2023/02/05 1,963
1435413 치과 실력도 천차만별인가봐요. 15 2023/02/05 3,833
1435412 신선한 견과류 먹으려면 어떤 제품 사면될까요? 2 .. 2023/02/05 1,635
1435411 앞으로 재건축 아파트는 메리트가 없네요. 10 2023/02/05 5,915
1435410 어제 요양등급 3급 받았다는 분요. 12 .. 2023/02/05 3,456
1435409 이런마음 정말 나쁜데.... 23 후~ 2023/02/05 6,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