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오늘 금통위 25bp 인상 결정 후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 기자간담회

채권 조회수 : 2,193
작성일 : 2023-01-13 18:48:05

  오늘 금통위 25bp 인상 조치 후 가진 이창용 총재 기자 간담회 풀 영상입니다. 

  한 번 보세요.   드라마 1회분 정도 분량이지만, 

  현재 우리 경제상황,  환율, 물가,  금리 등에 대해서 많은 걸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이창용 총재는 역대 한은 총재 중에 경력/실력도 역대급이지만

  시장과 소통 능력도 역대급인 것 같아요.   

  기자들 낚시 질문을 잘 피해가면서 ,  하지만  모호하지 않게 눈높이 교육으로 친절하게 잘 설명하시네요.

  참고로 이창용 총재  키가 192 cm 인데 ,  아이큐도 비슷하다는 농담이  :)

https://www.youtube.com/live/78SoWYQ07AU?feature=share
IP : 27.117.xxx.115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간담회
    '23.1.13 6:48 PM (27.117.xxx.115)

    https://www.youtube.com/live/78SoWYQ07AU?feature=share

  • 2. ...
    '23.1.13 7:00 PM (220.121.xxx.123) - 삭제된댓글

    서울대 경제천재 두분중 한분...
    윤정부에서 제일 일 잘하는곳이 기재부 (국채담당), 한은인듯.

    나중에 천천히 볼게요.
    감사합니다.

  • 3. Re: ...
    '23.1.13 7:04 PM (27.117.xxx.115)

    경제학과 천재는 3명 아니었나요? ^^

    이준구 교수님, 장하준 교수님, 그리고 이창용 총재님.

  • 4. ...
    '23.1.13 7:27 PM (220.121.xxx.123) - 삭제된댓글

    아..그런가요?
    전 이준구교수님과 함께 두분으로 알고 있었네요

  • 5. ???
    '23.1.13 7:36 PM (93.160.xxx.130)

    윤정부에서 제일 잘하는 곳이 기재부?

    김진태의 레고랜드 사태, 흥국생명의 콜옵션 포기 등 채권 시장 파문 뒤에 기재부가 있는거 아니었어요?

  • 6. ...
    '23.1.13 7:43 PM (220.121.xxx.123) - 삭제된댓글

    전 그 사태 해결하기위해 여러 대책을 냈다고 알고 있어서요.
    아마 스위스로 여기저기로 엄청 뛰어다녔다 들었어요.
    외국인 국채 비과세로 외인들이 국채 사들이면서 환율도 진정됐고.
    외인 채권구입과 외화유입엔 시진핑도 작용했지만..
    결과적으론 채권시장과 환율안정...
    WGBI 가입되면 채권은 더 많이 팔릴테구요.
    외국인 채권 비과세는 원래 하기로 되있던건데 긴급히 시행령으로 밀어붙여서..

  • 7. ...
    '23.1.13 7:44 PM (220.121.xxx.123) - 삭제된댓글

    제가 잘못 아는걸수도 있어요.
    죄송합니디.

  • 8. re: ???
    '23.1.13 7:47 PM (27.117.xxx.115)

    '23.1.13 7:36 PM (93.160.xxx.130)
    윤정부에서 제일 잘하는 곳이 기재부?

    김진태의 레고랜드 사태, 흥국생명의 콜옵션 포기 등 채권 시장 파문 뒤에 기재부가 있는거 아니었어요?
    ----------------------------------------------------------------------------------------------------

    220.121 님 말씀처럼 기재부는 레고랜드, 흥국생명 파문 뒤에 있던 게 아니고

    그 사태 뒷수습을 한 곳입니다. 여기 82에서는 무슨 김진태가 기재부와 짜고 일부러 그런 것처럼

    얘기를 했는데, 그건 김진태가 "(수습방안을) 기재부와 의논했다" 라는 발언을 앞뒤 맥락 다

    짜르고 퍼와서 사전 모의한것처럼 호도한 거지요.

    220.121 님 말씀처럼 지금 기재부에서 작년부터 WGBI 가입한 후에 한국시장 MSCI 편입하려고

    엄청 노력하고 있는데 김진태랑 짜고 래고랜드 디펄트 시킨다는 건 말이 안 됩니다.

    조금만 생각해봐도 알 수 있는데, 82에서는 그런 헛소리를 믿더군요.

  • 9. 27.117.xxx.115
    '23.1.13 7:59 PM (93.160.xxx.130) - 삭제된댓글

    1) 기재부가 유능한가?: 문정부에는 돈이 없어서 코로나 지원 못하겠다고 지원 시기 놓쳤지 않나요? 윤정부 들어서니 신비롭게도 50조가 나타나던데, 이것만 봐도 유능함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지 않으세요?

    2) 흥국생명 콜옵션: 기재부/금감원과 사전 조율없이 흥국생명이 독자 결정했다고 믿으시나요?
    3) 레고랜드: 네, 추경호 기재부 장관이 레고랜드 사태 사전에 몰랐다고 국회질의에서 답 하네요. 과연 김진태가 혼자서 어느날 일어나서 나 디폴트 선언할래, 했을까. 그건 각자가 판단하죠.

  • 10. 27.117.xxx.115
    '23.1.13 8:05 PM (93.160.xxx.130) - 삭제된댓글

    1) 기재부가 유능한가?: 문정부에는 돈이 없어서 코로나 지원 못하겠다고 지원 시기 놓쳤지 않나요? 윤정부 들어서니 신비롭게도 50조가 나타나던데, 이것만 봐도 유능함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지 않으세요?

    2) 흥국생명 콜옵션: 기재부/금감원과 사전 조율없이 흥국생명이 독자 결정했다고 믿으시나요?

    3) 레고랜드: 네, 추경호 기재부 장관이 레고랜드 사태 사전에 몰랐다고 국회질의에서 답 하네요. 과연 김진태가 혼자서 어느날 일어나서 나 디폴트 선언할래, 했을까. 그건 각자가 판단하죠. 김진태는 분명 채권 보증 연장 거절 "전에" 강원도에 파견되어 있는 기재부/금감원 직원과 협의했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레고랜드 사태에 도이치모터스가 나오는 것은 알고 계신지요? 만약 강원중도개발공사(레고 랜드 관련 SPC)가 정말 부도가 났다면, 그 채무 조정 담당하는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 유압코. 그 유암코 대표이사는 윤석열 정권에서 임명되었어요.

    이상돈 대표이사-전 도이치 모터스 감사 출신이라네요.

  • 11. 27.117.xxx.115
    '23.1.13 8:07 PM (93.160.xxx.130) - 삭제된댓글

    1) 기재부가 유능한가?: 문정부에는 돈이 없어서 코로나 지원 못하겠다고 지원 시기 놓쳤지 않나요? 윤정부 들어서니 신비롭게도 50조가 나타나던데, 이것만 봐도 유능함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지 않으세요?

    2) 흥국생명 콜옵션: 기재부/금감원과 사전 조율없이 흥국생명이 독자 결정했다고 믿으시나요?

    3) 레고랜드: 네, 추경호 기재부 장관이 레고랜드 사태 사전에 몰랐다고 국회질의에서 답 하네요. 과연 김진태가 혼자서 어느날 일어나서 나 디폴트 선언할래, 했을까. 그건 각자가 판단하죠. 김진태는 분명 채권 보증 연장 거절 "전에" 정부와 협의했다고 했습니다. 김진태가 거짓말을 했을까요...

    그리고 레고랜드 사태에 도이치모터스가 나오는 것은 알고 계신지요? 만약 강원중도개발공사(레고 랜드 관련 SPC)가 정말 부도가 났다면, 그 채무 조정 담당하는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 유압코. 그 유암코 대표이사는 윤석열 정권에서 임명되었어요.

    이상돈 대표이사-전 도이치 모터스 감사 출신이라네요.

  • 12. 27.117.xxx.115
    '23.1.13 8:09 PM (93.160.xxx.130)

    1) 기재부가 유능한가?: 문정부에는 돈이 없어서 코로나 지원 못하겠다고 지원 시기 놓쳤지 않나요? 윤정부 들어서니 신비롭게도 50조가 나타나던데, 이것만 봐도 유능함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지 않으세요?

    2) 흥국생명 콜옵션: 기재부/금감원과 사전 조율없이 흥국생명이 독자 결정했다고 믿으시나요?

    3) 레고랜드: 네, 추경호 기재부 장관이 레고랜드 사태 사전에 몰랐다고 국회질의에서 답 하네요. 과연 김진태가 혼자서 어느날 일어나서 나 디폴트 선언할래, 했을까. 그건 각자가 판단하죠. 김진태는 분명 채권 보증 연장 거절 "전에" 정부와 협의했다고 했습니다. 김진태가 거짓말을 했을까요...

    그리고 레고랜드 사태에 도이치모터스가 나오는 것은 알고 계신지요? 만약 강원중도개발공사(레고 랜드 관련 SPC)가 정말 부도가 났다면, 그 채무 조정은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 유암코가 맞게 된다네요. 그 유암코 대표이사는 윤석열 정권에서 임명되었어요. 어머나, 이상돈 대표이사는 전 도이치 모터스 감사를 맡은 적이 있어요.

    요즘 일어나는 여러 일들이 Stranger than fiction 이니 판단은 각자가.

  • 13. 93.160.xxx.130
    '23.1.13 8:10 PM (27.117.xxx.115)

    WGBI 편입을 목표로 하면서 준 국채 성격의 지방공기업 채권

    디펄트를 "네, 그러세요. 디폴트하세요" 하고 기재부가 동의한 걸로

    님이 믿으신다면 뭐 어쩔 수 없구요. 82에서는 신기하게도 기재부 장관이나 한은 총재의 발언보다

    딴지일보니 클리앙을 더 믿는 경향이 있는 듯 한데...그것도 각자의 취향이겠지요.

    말씀대로 각자가 판단하지요.

  • 14. 220.121
    '23.1.13 8:14 PM (27.117.xxx.115)

    220.121 님께서 댓글을 다 지워버리셨군요.

    기재부가 레고랜드 채권사태에 대응을 신속히 잘 했다는 내용의 댓글이 공격당할까봐 부담스러우셨던

    모양이네요.

    덕분(?)에 제 댓글이 좀 떠버렸군요. 저는 그냥 두겠습니다.

  • 15. 27.117.xxx.115
    '23.1.13 8:16 PM (93.160.xxx.130)

    정부의 각 부처가 국가과 국민의 이익을 생각하는 곳이라는 님의 믿음
    정부의 각 부처는 대통령과 그 식솔의 이익을 위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저의 믿음의 차이입니다. (국가/국민의 이익을 위해 바른 길을 주장하다가는 자기 자리가 날라갈 판인데, 뭔들.)

  • 16. 93.160.xxx.130
    '23.1.13 9:05 PM (27.117.xxx.115)

    정부의 부처는 대통령과 식솔의 이익을 위해 하지 않구요.

    부처의 이익을 가장 우선시 합니다. 대통령이 문재인이든, 윤석열이든 그건 만고의 진리입니다.

    그게 님과 저의 차이입니다. 공무원들의 부처간 이기주의가 얼마나 강한데요.

    저는 15년을 그걸 바로 옆에서 본 사람입니다.

    기재부 입장에서는 레고랜드 디펄트 묵인해주는게 기재부 입장 강화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정부가 국민을 위한다는 나이브한 생각을 가진 사람이 요즘도 있나요? 후후

  • 17. 27.117.xxx.115
    '23.1.13 10:10 PM (93.160.xxx.130) - 삭제된댓글

    님과의 차이는 현 정부를 어떻게 보나에 있는 듯이요.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와 윤정부를 어찌 한 선상에 놓지요? 전자는 검찰과 대립각, 후자는 검찰이 오른팔. 전자는 대체로 이성적/합리적 정책결정/후자는 특정인의 이해관계가 아니면 납득이 어려운 정책 결정.

    WGBI 편입 된다고, 기재부 입장이 더 강화되어요? 돈 줄 쥔 곳이 기재부인데, 뭐 더 강화될 게 있어요?WGBI 편입되면 담당 국장이 장차관으로 올라가요? 아니잖아요?

    공무원 누가 자신의 거취보다 부처의 이익을 생각하던가요? 현 정부에서 공무원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상부의 지시를 잘 따라 살아 남는 것, 그리고 운이 좋으면 영달까지 이루는 것이겠죠.

  • 18. 27.117.xxx.115
    '23.1.13 10:10 PM (93.160.xxx.130)

    님과의 차이는 현 정부를 어떻게 보나에 있는 듯이요.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와 윤정부를 어찌 한 선상에 놓지요? 전자는 검찰과 대립각, 후자는 검찰이 오른팔. 전자는 대체로 이성적/합리적 정책결정/후자는 특정인의 이해관계가 아니면 납득이 어려운 정책 결정.

    WGBI 편입 된다고, 기재부 입장이 더 강화되어요? 돈 줄 쥔 곳이 기재부인데, 뭐 더 강화될 게 있어요?WGBI 편입되면 담당 국장이 장차관으로 올라가요? 아니잖아요?

    현 정부에서 공무원 누가 자신의 거취보다 부처의 이익을 생각하던가요? 현 정부에서 공무원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상부의 지시를 잘 따라 살아 남는 것, 그리고 운이 좋으면 영달까지 이루는 것이겠죠.

  • 19. 93.160.XXX.130
    '23.1.13 11:01 PM (27.117.xxx.115)

    그래서 님이 나이브하다는 거에요. 정권이 바뀌면 공무원들이 전부 싹 바뀌나요?

    지금 각 부처 국장, 실장급들은 과거 박근혜 정부때 과장, 국장하던 사람들이에요.

    적폐 청산? 무슨 적폐청산이요? 외청으로 잠시 보냈다가 대부분 다 컴백했어요.

    지금 한덕수 총리만 봐도 알쟎아요. 노무현 정부 총리도 하고 윤석열 정부 총리도 하고 있습니다.

    괜히 공무원은 영혼이 없다는 말이 나오는 게 아니에요. 정권이 바뀌어도 살아남으려면

    당연히 부처 내외 사람들끼리 서로 튼튼히 네트워크 구축과 부처 예산 및 조직 확대에 힘쓰죠

    그래야 자리가 느니까요. 정부 부처에서 쪽수와 예산은 그 부처의 힘입니다.

    WGBI 편입되면 당연히 그건 장, 차관 업적으로 기록되는 거구요, 관련 부처 실책임자들에도

    좋은 커리어가 되는 겁니다.

    노무현, 문재인 정부 때는 공무원들이 자신의 거취를 생각 안 했을 것 같나요?

    그때나 지금이나 공무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자신의 안위에요.

    민주당 정부라고 공무원이 무슨 상부의 지시에 맞서는 독립투사 했을 거라고 생각하는 거야 말로

    나이브의 극치에요. 왜 늘공, 어공이라는 말이 있는지 한 번 잘 생각해보시죠.

    정치인들도 마찬가지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24224 와 유승민 세네요 20 ㅇㅇ 2023/01/13 9,128
1424223 반품할거 뭐하러 주문하는지.. 19 .. 2023/01/13 5,368
1424222 김혜자배우 아버지가 재무부장관이었네요. 9 음. 그렇군.. 2023/01/13 4,859
1424221 오늘 날씨따뜻할때 외출해보니까 빨리 겨울이 갔으면 좋겠어요..ㅠ.. 1 .... 2023/01/13 1,881
1424220 헤어질 결심의 박해일 저 미혼때 이상형이었어요 8 옛기억 2023/01/13 2,625
1424219 원글펑 16 ... 2023/01/13 8,699
1424218 너무 부럽네요 7 .. 2023/01/13 3,651
1424217 내 감정보다 남의 감정을 너무 많이 생각하는거 이거 병이죠? ㅠ.. 22 Dd 2023/01/13 3,824
1424216 10시 김어준의 다스뵈이다 ㅡ 겸죽을 먹고, 부동산 영끌? .. 9 같이봅시다 2023/01/13 1,851
1424215 키오스크매장 인사도 전혀 안하는거. 32 키오스크 2023/01/13 5,539
1424214 개발 프로그래머들은 스트레스 많이 받나요 12 ㅇㅇ 2023/01/13 2,283
1424213 안중근 의사의 유해는 영원히 못찾는 걸까요? 4 Ann 2023/01/13 1,673
1424212 남편이랑 대화만 하고나면 승질이 나요. 10 skavus.. 2023/01/13 3,621
1424211 나경원 중징계라.... 10 근데 2023/01/13 6,290
1424210 신협 비대면 예금 가입시 비과세 받는 방법이요 3 신협 2023/01/13 1,201
1424209 굴국밥의 굴이 홍합 같은 느낌인가요? 3 ㅇㅇ 2023/01/13 1,094
1424208 프랑스인들 기겁하네요 39 ㅇㅇ 2023/01/13 30,005
1424207 궁금한이야기 편의점여사장 소리지르는거 2 ... 2023/01/13 2,435
1424206 북한 사람도 남한 의료혜택 악용하네요 7 어이없네요 2023/01/13 2,098
1424205 월드컵 보고 싶어요 2 ㅇㅇ 2023/01/13 632
1424204 떡볶이 밀키트 글 보다가... ㅎㅎ 홍보 아닌 홍보... 사장님.. 3 .... 2023/01/13 1,722
1424203 글로리. 동은은 복수에 성공했나요? 9 ... 2023/01/13 3,765
1424202 성심당 가보려는데요 16 동이마미 2023/01/13 3,263
1424201 혹시 편스토랑 보시는 분! 2 지금 2023/01/13 2,098
1424200 국내에서 연기신은 25 ㅇㅇ 2023/01/13 3,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