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게임회사 구직란 보면 학력기재 없습니다.현실은 모름

.. 조회수 : 4,249
작성일 : 2022-12-21 17:39:31

우리애가 게임고에서 개발자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대학을 보내야할지 학교에서 추천하는 게임회사 (스타트업)에  가야할 지

큰 게임회사와는 별 연계가 없고 스타트업으로 시작해서 대기업을 점핑하는 순으로 자기개발을 해야하더라구요

아이는 명석하고 성실해서 어딜가도 자기몫을 잘 할 아이인데

선택이 어렵네요.

이제 고3이 되었구 밑에 코딩학원보내라는 말에 생각나서 올려봅니다.

제목에도 썼다시피 게임회사 구직에 학력은 없더라구요

대학을 보내는게 나을지 아니면 게임회사 취직하고 현실 파악 후 나중에 대학을 가는게 나을지

선배맘들 관련종사자분들 고견 부탁드립니다.

IP : 115.94.xxx.218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2.12.21 5:47 PM (211.104.xxx.198) - 삭제된댓글

    학력 기재는 없어도 대학 선후배 인맥으로 조건좋은자리 많이들 옮겨가지 않나요?
    최상위 대학 아니고 그 이하대학이거나 고졸은 정말 원탑으로 실력 출중해야하구요

  • 2. ..
    '22.12.21 5:49 PM (182.215.xxx.158)

    학력기재가 없긴 한데 네임드 게임회사 직원들 보면 대부분 대학 졸업했어요

  • 3. ...
    '22.12.21 5:50 PM (122.39.xxx.248)

    학력제한도 없지만 뽑아도 경력자 위주로만 뽑더라구요.
    신입은 인턴으로 들어가서 수습 하고 정규직 되는 코스
    막상 가보면 학벌보다 실력이 깡패라고..

  • 4. Gma
    '22.12.21 5:51 PM (223.39.xxx.55)

    대학을 가면 좋지요.
    타사업군도 고졸 사원뽑지만 보이지 않는 차별 존재하듯it도 마찬가지예요.
    근데 그 차별이란게 학력뿐아니라 대학 4년동안 인간적으로 성숙함 등등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가지게 되는 어른스러움 등등인거 같아요
    또 대부분 대학 나오니 나중엔 자격지심이 생길 수도 있구요.
    대학시절 여러 프로젝트 해볼 수도 있어 미리 사회경험을 해볼수도 있어요.

  • 5. ...
    '22.12.21 5:52 PM (223.62.xxx.63)

    구직목표 단기 계발 말단직원으로 월급 받기만 하실건지?
    계발직에는 학벌 중요하지 않고 실력이 우선이지만

    그것도 젊었을 때지 30중반 팀장급 실무기획 연구직으로 피티도 하는데 활동폭 넓힐려면 해외석박도 수두룩 경쟁에서 도퇴되요. 특출난 영재아니면 최소학벌은

    그리고 다른회사 이직시 큰 기업에서 토익토플점수 커트도
    있어요. 그런준비는 미리 학교에서 하고 옵니다

  • 6.
    '22.12.21 5:54 PM (49.175.xxx.75)

    인맥 학교선후배 위주로 뽑더라고요 아무래도 팀작업이니깐요 노가다말고요

  • 7. happy12
    '22.12.21 5:56 PM (121.137.xxx.107)

    it종사자예요. 제가 게임 개발자는 아니지만, 개발자들하고 일 했었어요. 실제로도 학력 안보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게임회사 취직 후 현실파악 후 대학교..
    이 루트도 괜찮아요.

    꼭 게임만 개발할게 아니라,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일을 하게 될텐데
    여기서 정말 중요한 소양은
    논리력, 협업능력, 전체를 보는 능력, 기술 이해력 중요하고,
    특히 기술이해력를 높이려면 영어가 필수예요 .
    it 기술은 새로운게 계속 나오는데 이걸 한글화 하는게 힘들기 때문에 그냥 영어로 써버립니다.
    그리고 .. 수학적 능력도 있으면 금상첨환데
    예를 들면
    코딩할때 1 + 1 + 1 + 1 + 1 = 5 하고 1x 5 = 5 중에, 후자가 더 간략하죠?
    구문이 간결할수록 시스템 성능이 좋은데,
    x 곱하기 개념을 이해해야 한단 뜻이죠.
    요새는 함수형 코딩도 많이 해서.. 꼭 수학을 안하더라도 함수 개념을 알면 좋아요.

    그래서 제 결론...

    고졸도 일 시작 가능.
    업계에서 학력으로 차별 안함.
    그러나 뛰어난 개발자가 되려면 소양이 필요하고
    영어 수학 논리력
    타 시스템에 대한 지식(통신 프로토콜, os, 보안, 같은 다양한거 알면 더 좋고..) 필요

    그러려면 언젠가는 자신의 필요에 의해 대학교 가게 될가예요.

  • 8. ..
    '22.12.21 6:03 PM (115.94.xxx.218)

    주옥같은 댓글들 감사합니다. 아이에게 일찍 인생을 걸 만한 일이 될지를 경험해보는것도 좋다는 생각도 들고 인격적으로 사회적으로 성장 후 취업을 하는게 낫지 않나 생각을 하게 됩니다. 많은 참고가 됩니다.

  • 9.
    '22.12.21 6:03 PM (218.237.xxx.185) - 삭제된댓글

    제 동생이 연봉 1800부터 게임회사에서 계발자로 시작했어요. 지금 10년차 인데, 게임회사에서 일반 it계열사로 옮겼습니다
    넷마블 계열사에서도 일해봤는데 게임회사는 야근 철야도 다반사고 실적 안나면 스튜디오 하나를 통째로 날려 버리고 해서 자기도 너무 지쳤다고 게임사 it계발자 경력 인정 받아서 네이버 계열사로 최근 옮겼어요.

    제가 곁에서 본 게임사는 학력무관이라 하지만 실제론 4년제 공대 나온 사람들이 주를 이루구요, 이름있는 게임사일 수록 학벌 봅니다. 네이버 본사는 카이스트+sky 밖에 없다잖아요.
    제 동생 인서울 공대 출신이고 열심히해서 지금까지 올라갔어요. 게임사만 고려하시지마시고 경력 쌓아서 이직 염두 해 보심이좋을 듯 합니다.
    아 그리고 동생이 그러는데 요즘 우리나라 게임사에서 자체 계발하는 게임은 거의 없데요. 모두 해외 특히 중국에서 많이 판권 사온다고 하더라구요.

  • 10.
    '22.12.21 6:07 PM (218.237.xxx.185) - 삭제된댓글

    제 동생이 연봉 1800부터 게임회사에서 계발자로 시작했어요. 지금 10년차 인데, 게임회사에서 일반 it계열사로 옮겼습니다
    넷마블 계열사에서도 일해봤는데 게임회사는 야근 철야도 다반사고 실적 안나면 스튜디오 하나를 통째로 날려 버리고 해서 자기도 너무 지쳤다고 게임사 it계발자 경력 인정 받아서 네이버 계열사로 최근 옮겼어요.

    제가 곁에서 본 게임사는 학력무관이라 하지만 실제론 4년제 공대 나온 사람들이 주를 이루구요, 이름있는 게임사일 수록 학벌 봅니다. 네이버 본사나 엔씨, 넥슨 같은 곳은 카이스트+sky 밖에 없다잖아요. 실력이 깡패라고도 하지만 학벌없는 사람들은 바로 메이저에서 시작할 기회가 없다고 보심됩니다. 경력 쌓고 실력 인정 받아서 상급 게임사로 계속 이직해야죠.
    제 동생 인서울 공대 출신이고 열심히해서 지금까지 올라갔어요. 게임사만 고려하시지마시고 경력 쌓아서 이직 염두 해 보심이좋을 듯 합니다.
    아 그리고 동생이 그러는데 요즘 우리나라 게임사에서 자체 계발하는 게임은 거의 없데요. 모두 해외 특히 중국에서 많이 판권 사온다고 하더라구요.

  • 11. ㅇㅇ
    '22.12.21 6:14 PM (115.164.xxx.236)

    고등에서 배운걸로 실전에 얼마나 써먹는지 모르겠고
    취업부터하기에는 나이가 너무 어리네요.
    얼른 취업해서 가계경제에 보태야하는거 아니면...
    컴퓨터말고도 인문학적인 소양을 배울 기회가 대학밖에 없잖아요.
    동아리 활동도 그렇고
    근데 본인이 극구 대학 필요없다그러면 취업시키세요.
    먼저 겪어보면 대학필요성 느낄수도있죠.
    긴 인생에 한두해 또래들과 좀 다른길로 가면 어때요?

  • 12.
    '22.12.21 6:15 PM (218.237.xxx.185)

    제 동생이 연봉 1800부터 게임회사에서 계발자로 시작했어요. 지금 10년차 인데, 게임회사에서 일반 it계열사로 옮겼습니다
    넷마블 계열사에서도 일해봤는데 게임회사는 야근 철야도 다반사고 실적 안나면 스튜디오 하나를 통째로 날려 버리고 해서 자기도 너무 지쳤다고 게임사 it계발자 경력 인정 받아서 네이버 계열사로 최근 옮겼어요.

    제가 곁에서 본 게임사는 학력무관이라 하지만 실제론 4년제 공대 나온 사람들이 주를 이루구요, 이름있는 게임사일 수록 학벌 봅니다. 네이버 본사나 엔씨, 넥슨 같은 곳은 카이스트+sky 밖에 없다잖아요. 실력이 깡패라고도 하지만 학벌없는 사람들은 바로 메이저에서 시작할 기회가 없다고 보심됩니다. 경력 쌓고 실력 인정 받아서 상급 게임사로 계속 이직해야죠.
    제 동생 인서울 공대 출신이고 열심히해서 지금까지 올라갔어요. 게임사만 고려하시지마시고 경력 쌓아서 이직 염두 해 보심이좋을 듯 합니다.
    아 그리고 동생이 그러는데 요즘 우리나라 게임사에서 자체 계발하는 게임은 거의 없데요. 모두 해외 특히 중국에서 많이 판권 사온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요즘 게임 계발자들은 반드시 영어는 필수 일본어 또는 중국어를 해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하더라구요.

  • 13. 그냥
    '22.12.21 6:34 PM (218.155.xxx.66)

    영어 일본어야 독학으로 하면되는거죠

  • 14. ㅇㅡㅇ
    '22.12.21 6:44 PM (125.176.xxx.57) - 삭제된댓글

    대학에서 얻는게 많은데 형편 어렵지 않다면 게임관련 전공 알아보세요

  • 15. nnn
    '22.12.21 6:47 PM (61.255.xxx.179)

    남동생이 판교에 있는 유명 게임회사 개발자로 있는데 학력안본다지만 직원들 대부분 4년제 공대 혹은 컴공 출신이라 하더라구요
    학력 낮은데 실력 가진자는 없다고.. 하더라구요..

  • 16. ..
    '22.12.21 6:52 PM (220.76.xxx.176)

    웬만하면 게임관련학과 나오는게 좋을듯

  • 17. ..
    '22.12.21 6:59 PM (49.170.xxx.206)

    실제로 판교가면 그냥 4년제나 인서울이 아니라 서카포연고가 주류고 팀별 친목도 장난 아닙니다. 저라면 대학 보냅니다. 원래 학벌 안보는 곳은 학벌은 당연하고 학벌 위, 실력 보는 곳입니다.

  • 18. ...
    '22.12.21 7:00 PM (1.241.xxx.220)

    요즘은 대학을 기본으로 나오는 시대 잖아요. 그래서 고졸은 더 드물어요. 어차피 사회생활하다 나중에라도 대학갈거라면.. 제 자녀라면 노멀하게 남들 대학 생활하는 나이에 즐기게 해줄래요.
    제가 일하는 곳도 고졸도 있지만 회사다니면서 대학가요. 경제적 문제 아님 굳이 싶습니다.
    그리고 위로 올라갈 수록 학벌 봅니다. 전 그냥 인서울 공대 출신인데 sky는 나오고 볼일이구나 나이들수록 더 느껴요. 내가 큰 회사에서 단순한 코더가 아니라 결정권자가 되려면요.

  • 19. .....
    '22.12.21 7:15 PM (223.38.xxx.128)

    학벌 안보고 블라인드로 채용했는데
    뽑고나서 보니 다 서울대라는 얘기가 있어요
    인생 긴데 멀리 보시면 어떨까요
    대학교에 한표요

  • 20. ..
    '22.12.21 7:22 PM (223.62.xxx.68)

    학벌있는 실력자가 되는게 베스트

  • 21. 음 ...
    '22.12.21 8:34 PM (106.102.xxx.116)

    꽃길만 보고
    그 꽃길이 내 길이 될꺼라고 생각하면 안되는거죠.

    한 집단의 최상위 소수의 꽃길이
    내가 그 집단에 속해있다고 하더라도
    나도 그들처럼 꽃길을 걷는것이 아닙니다.

  • 22. happy12
    '22.12.21 8:37 PM (121.137.xxx.107)

    원글님은 대학교의 필요성을 모르시는게 아니라
    대학교 먼저 갈까
    취업 한번 해보고 대학교 갈까
    이걸 궁금해하시는 것 같은디...

  • 23. ...
    '22.12.21 8:47 PM (39.112.xxx.5)

    아는 분이 판교 게임회사 팀장이예요.
    전에 팀원 면접 본 얘기 들었는데
    요새 신입은 학력에 실력까지 겸비했다는데요??

  • 24. ..
    '22.12.21 10:00 PM (180.83.xxx.222)

    아들 진로에 대해 고민중인데 많은 도움이 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6401 내용펑 29 o o 2022/12/22 7,507
1416400 여자화장실 불법촬영한 남자경찰 27 00 2022/12/22 3,216
1416399 세일문의 1 한섬브랜드 2022/12/22 579
1416398 한시간 반거리 직장 다니시겠어요? 16 즐거운맘 2022/12/22 3,631
1416397 네이버페이 줍줍하세요 9 zzz 2022/12/22 4,483
1416396 암웨이 제품 좋나요? 5 ㅣㅣㅣ 2022/12/22 3,223
1416395 아동학대, 아동성추행 1 세상 2022/12/22 1,293
1416394 서강대는 리버럴 아츠가 27 ㅇㅇ 2022/12/21 5,289
1416393 고딩엄빠 남학생 잘생겼네요 8 냐하 2022/12/21 5,681
1416392 수유역 맛집 알려주세요 12 2022/12/21 1,608
1416391 나솔 재미없어서 그냥 들어갑니다ㅜㅜ 12 ... 2022/12/21 4,881
1416390 블로그를 만들고 글을 올리는게...참 어렵네요 22 블로그 2022/12/21 3,941
1416389 중요한 일을 앞두고 조심 하는 것 맞지요? 4 언행 2022/12/21 1,464
1416388 아이가 2년을 넘게 다닌 영어학원... 7 ㅇㅇ 2022/12/21 3,571
1416387 시간이 다르게 가는 이유 4-3 1 ../.. 2022/12/21 1,595
1416386 중1때 abc 배운게 몇살까지인가요? 10 ... 2022/12/21 1,515
1416385 미래완료진행 2 미래.완료 .. 2022/12/21 670
1416384 경찰이 수사한다니, 저 삼촌이란 놈 핸폰이랑 쓰는 컴퓨터나 아.. 6 결혼지옥 2022/12/21 3,574
1416383 왜때문에 벌써 11시가 넘은거죠 1 ... 2022/12/21 971
1416382 성균관대가 언제부터 지금처럼 떴나요? 41 .. 2022/12/21 6,439
1416381 아니 오은영쌤은 ㅂㄱㅂㄱ라고 왜 말 못하죠? 4 ... 2022/12/21 13,385
1416380 지난 금요일 종강한 대1 4 대학생 2022/12/21 1,327
1416379 아버지가 차라리 돌아가셨으면 좋겠다는 마음 3 00 2022/12/21 3,709
1416378 기승전 다단계 친구는 손절이 답일까요? 9 ㅇㅇㅇ 2022/12/21 3,154
1416377 아이들 둘다 방학인데 힘들어요 7 ... 2022/12/21 2,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