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프랑스 축구선수들

.... 조회수 : 9,963
작성일 : 2022-12-19 21:54:38
인종차별 아니고 진짜 궁금해서 묻는데요
프랑스는 거의다 흑인선수던데
보통 국가는 국가를 대표하는 인종이 있잖아요
아르헨티나 같은 남미선수들
그외 같은 유럽이라도 네덜란드 독일 크로아티아 영국 등등 다 국가고유의 인종이 주가 되는 선수구성인데
우리가 아는 프랑스인 프랑스배우들같이 대표하는 인종이 아닌 다 흑인으로 구성되는 이유가 있을까요?
예를 들어 프랑스남자는 유독 운동을 못한다라든가
프랑스가 유독 흑인 이민자가 많다던가요
IP : 218.155.xxx.202
4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2.12.19 9:57 PM (223.62.xxx.115)

    프랑스령 아프리카 출신들 많겠죠

  • 2. ..
    '22.12.19 9:58 PM (218.39.xxx.139)

    제가 예전부타 느꼈는데... 프랑스가 흑인들이 점점 많아지는듯해요.
    이러다가 프랑스 흑인들한테 먹힐듯..

  • 3. ....
    '22.12.19 9:59 PM (221.157.xxx.127)

    예전아프리카식민지가 많았었기땜

  • 4.
    '22.12.19 10:00 PM (220.94.xxx.134)

    흑인들이 운동을 잘해서 그런가보죠 각팀서 잘하는 사람만 뽑았을테니

  • 5. ...
    '22.12.19 10:03 PM (175.209.xxx.111)

    남편 말로는 프랑스가 유럽 다른 국가에 비해 아프리카 이민자들을 많이 받아서라고 합니다.

  • 6. ....
    '22.12.19 10:04 PM (122.36.xxx.234)

    아프리카 대륙 횡단으로 프랑스 식민지였죠(ex.알제리)

  • 7. 미나리
    '22.12.19 10:06 PM (175.126.xxx.83)

    아프리카에서 넘어온 난민도 많고 이민도 많고 잘하면 스카웃도 하다보니 흑인팀이네요. 영국은 섬이라 그런가 지방가면 백인밖에 없을정도로 흑인 드물던데요.

  • 8. 프랑스
    '22.12.19 10:11 PM (110.70.xxx.245)

    이제 본토 프랑스인 얼마 없을걸요. 그러니 저번 축구때 모르코 사람들이 그리 난동 부렸죠

  • 9. ...
    '22.12.19 10:14 PM (116.125.xxx.62)

    저도 결승전보면서
    프랑스가 아프리카 대륙에 있다고 해도 믿겠다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 10. 영통
    '22.12.19 10:18 PM (106.101.xxx.87)

    프랑스가 아프리카에 식민지가 많았어요. 프랑스령 어쩌고 나라 등

  • 11. 영통
    '22.12.19 10:19 PM (106.101.xxx.87)

    저 위의 님..알제리는 벨기에 식민지일걸요

  • 12. 상대적 더 오픈
    '22.12.19 10:20 PM (116.45.xxx.113)

    프랑스가 유럽 다른 국가에 비해 아프리카 이민자들을 많이 받죠.
    난민 수용도 더 너그럽고

  • 13. 프랑스 식민지
    '22.12.19 10:20 PM (223.33.xxx.8)

    엄청 많았고 특히 아프리카에선 1960년 대까지도 아프리카 대륙 동서남북에 식민지 갖고 착취했으니 뭐 어쩌겠어요.
    식민지 출신 빈민들이 뭐 하고 놀겠어요, 골목에서 공이나 차는거죠.
    2018년 월드컵에 특히 프랑스 팀 구성원의 인종이 눈에 띄게 달라져서 한번 크게 쓸고 간 얘기..

  • 14. 그러게요
    '22.12.19 10:21 PM (223.39.xxx.161)

    저도 보면서 흑인들이 많고 프랑스인들 특유의 그런 백인 남자들이 없어서 의아하더군요

  • 15. 인종차별
    '22.12.19 10:21 PM (37.175.xxx.208)

    인종차별 맞는데요
    피부색으로 인종차별 하시네요
    다 똑같은 프랑스 국민들이에요
    알제리는 프랑스 식민지였고 지금은 독립했어요

  • 16. 본투비 프랑스인
    '22.12.19 10:29 PM (125.132.xxx.178)

    우리가 보기엔 흑인처럼 보여도 그 선수들 본투비 프랑스인이 대부분이에요

    음바페도 파리출생 프랑스인 (카메룬? 이민자 아빠랑 알제출신 엄마때문에 이중국적) 이고 코나테도 파리출생, 바란도 카리브해에 있는 프랑스영토 마르티니끄 출신이고요… 아무래도 난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고 (카마빙가가 이런 케이스일걸요, 2살때 콩고에서 탈출한 가족이 프랑스로 이주..) 아프리카에 식민지 (세네갈 토고 기니 수단 코트디부아르 니제르 등) 도 많았으니까요.. 알제 같은 경우엔 그냥 식민지가 아닌 본토와 똑같이 취급했구요 .

  • 17. ....
    '22.12.19 10:32 PM (122.36.xxx.234) - 삭제된댓글

    벨기에인가요? 프랑스 작가 카뮈가 식민지였던 알제리에서 출생했고 소설 이방인에서도 알제리 사람들이 등장하는데요?

  • 18. 한강
    '22.12.19 10:33 PM (211.234.xxx.209)

    프랑스가 예전에 우리나라처럼 출산률이 낮아서 고육지책으로 이민을 확 늘렸어요. 출산에 돈 뿌리면서 이민자 받아들이니 출산률이 올랐죠. 근데 문제는 세금내줄 중산층이 늘어난 게 아니라 여전히 사회보장이 필요한 계층이 늘어난 게 문제죠. 여튼 그 여파로 지금 프랑스에 흑인이 많다고 합니다

  • 19. ...
    '22.12.19 10:34 PM (122.36.xxx.234)

    벨기에인가요? 프랑스 작가 카뮈가 알제리에서 출생했기에 프랑스 식민지라 생각했어요.

  • 20. 본투비 프랑스인
    '22.12.19 10:36 PM (125.132.xxx.178)

    알제 (알제리) 프랑스 영토 맞습니다. 벨기에 아닙니다

  • 21. 식민제국
    '22.12.19 10:37 PM (222.237.xxx.57) - 삭제된댓글

    알제리도 프랑스 식민지였어요
    우민화정책에 강간 학살 ......

  • 22. ...
    '22.12.19 10:38 PM (218.155.xxx.202)

    프랑스왕가 프랑스 문화등등 본토 프랑스인의 역사적 지분에 비해
    현대 프랑스는 아프리카 출신들이 많군요
    본토사람과 이민자의 출산율 차이가 큰건지도 모르겠네요

  • 23. dlf
    '22.12.19 10:39 PM (180.69.xxx.74)

    아프리카가 가까워서 이민자가 많아요

  • 24. ...
    '22.12.19 10:47 PM (110.12.xxx.155)

    소설 자기 앞의 생의 모모 풀네임이 모하메드였어요.
    아랍계 이민자의 아이가 빈민가에 맡겨져 자라는 이야기.
    프랑스가 똘레랑스 중시한다는 나라지만 사회적으로
    이민자들 문제가 없지 않고 간간히 테러 뉴스도 나오구요.
    이번에 모로코가 월드컵 결승에 올라간다면
    흥분한 사람들이 어떤 모습을 보일지 어떤 뉴스가 나올까
    궁금했어요.
    일본에도 우리 교포들 많잖아요. 그러고보면
    손기정옹은 88 서울올림픽할 때 얼마나 감개무량했을까싶어요.

  • 25. 가보셨나요
    '22.12.19 10:48 PM (223.38.xxx.33)

    실제 여행가보니 프랑스에 흑인이 엄청 많더군요

  • 26.
    '22.12.19 11:04 PM (211.224.xxx.56)

    인도인들도 영국으로들 많이 간대요. 인도서 성공하면 영국으로 가는게 꿈.

    최근 이민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아프리카 식민지서 이민 많이 와서 자리잡았나본데 프랑스인들도 그런 흑인들(최근 이민자들이 아닌)에 대해 차별이 있다고 하더군요. 프랑스라고 해도. 그래도 다른 국가들에 비하면 덜하긴 하지만.

  • 27. ㅁㅁㅁ
    '22.12.19 11:08 PM (1.243.xxx.162)

    프랑스에 가보면 흑인들 진짜 많아요

  • 28. ...
    '22.12.19 11:08 PM (218.155.xxx.202)

    37.125님 눈에 띄는 단순한 사회현상에 대해 어떤 이유가 있는가 알아보는것에 인종차별을 붙이는건 너무하시네요

  • 29. ...님
    '22.12.19 11:09 PM (125.130.xxx.23)

    재밌어요.
    프랑스에서 모로코 얘기까지~
    그런데
    모로코 얘기에서 이해가 안돼요.ㅠ

  • 30. ,,,
    '22.12.19 11:12 PM (116.44.xxx.201)

    영국에는 인도인들이 많고
    프랑스에는 흑인들이 많더라구요
    언어도 아프리카가 불어 많이 쓰고 인도는 영어 많이 쓰니 더욱 그렇겠죠

  • 31. 아직도
    '22.12.19 11:25 PM (198.90.xxx.30)

    아직도 백인 프랑스인이 대부분이예요. 흑인들이 워낙에 체력적으로 뛰어나니 운동선수에는 많이 보이죠
    프랑스 테니스 선수도 흑인 비율이 높은 거 보면 생활체육도 잘 되어있어 인종에 상관없이 뛰어나면 선수가 되는 것 같아요

    그런데 흑인 운동선수 부모들 보면 운동선수 출신이 많긴 해요

  • 32. 도시
    '22.12.19 11:25 PM (124.111.xxx.108)

    프랑스 도시에 흑인들 많아요. 진짜 까만 피부가진 사람들도 많이 보이고요. 백인들 기대하고 갔다가 오히려 흑인이 많아서 프랑스의 정체성이 다시 생각되던데요.

  • 33. 많아요
    '22.12.19 11:26 PM (116.33.xxx.19)

    흑인 출산률이 더 높고
    집시 (비하아님) 외모 백인이랑 헷갈리는 사람들도 많아요

  • 34. 프랑스 영화
    '22.12.19 11:58 PM (198.90.xxx.30)

    프랑스 영화 Serial Bad Wedding 보면 4명의 딸을 가진 전문직 부유한 프랑스인 부모가 사위를 아랍인, 유태인, 중국인 맞이한후 막내 딸이 기독교인 남자랑 교제한다고 하니 너무 기뻐했는데 아프리카 출신 흑인 이민자

    10년 정도 된 영화이니 프랑스 사회를 잘 보여주는 영화였다고 생각하고 영화도 히트 쳤어요.
    그 흑인 남자 부모님이 프랑스 와서 과거에 프랑스인들이 약탈해 갔다고 우리도 좀 누려야 한다는 뻐있는 농담도 재밌구요. 결국 해피엔딩

  • 35. ...
    '22.12.20 12:08 AM (221.151.xxx.109)

    윗님, 그 영화 재밌죠 ㅎㅎ

  • 36. 유달시리
    '22.12.20 7:17 AM (118.235.xxx.137)

    인종차별이 아니라 저도 독일이나 영국 네데란드 이런나라
    보면 거의 백인들 위주인데 프랑스만 죄다 흑인이니 궁금하기는 했는데 그 이유를 여기서 알게되네요
    안그래도 프랑스 경기할때 선수중에 백인이 있는지 찾아볼정도 였으니까요
    겨우 두명인가 있던데 그것도 벤치선수

  • 37. 많음
    '22.12.20 9:13 PM (112.155.xxx.61)

    받아들이는 것도 많았고 식민지도 많았고..
    어찌보면 업보 같기도 하고..
    운동쪽 부터 점점 흑인들이 주로 뛸 것 같긴 하네요.

    프랑스가 축구 잘 하기 시작한 것도 앙리 뛰고
    지단 같은 혼혈 선수가 주축이 되면서에요..

  • 38. ....
    '22.12.20 9:15 PM (180.71.xxx.228)

    저도 파리 갔을 때 흑인들이 많이 보여서 깜놀!
    30년 전인데 말이죠.

  • 39.
    '22.12.20 9:22 PM (182.229.xxx.215)

    일단 프랑스에 흑인 많고요
    신체조건도 좋은데다가
    이민자 출신은 아무래도 능력만 된다면 예체능계로 진출을 많이 하겠죠
    다른 분야에 비해 출신보다는 자기 몸과 능력만으로 승부를 걸어볼 수 있으니까요

  • 40. 프랑스
    '22.12.20 9:50 PM (121.143.xxx.250)

    인종차별이 가장 없는 나라가 프랑스고요
    전세계에서 가장 다문화가 완전히 자리잡은 국가입니다,
    제가 업무차 출장을 많이 다니는데 가장 많이 간 나라인 미국은 거의 30번 정도 간것 같음.
    그런데 미국은 진짜 인종차별국가입니다.
    지인중에 우리나라 교민이 미국 대기업에 근무하는데 발음은 원어민 수준이래도
    따 시킬때 어릴때 쓰던 은어를 써서 자기들끼리 의사소통하는것 보면서 진심으로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다하더군요
    그 다음에 많이 간 나라가 유럽은 프랑스입니다
    거의 20번 근처 간 나라인데 내가 느낀 프랑스는 자유와 다문화 딱 2가지입니다
    그만큼 인종차별이 없고 특히 파리는 거의 전세계 인종백화점 수준임에도 편견이나 차별 이런것 전혀 느끼지 못했어요.
    프랑스에 특히 아프리카 출신들이 많이 있는건 역사적인 배경도 있지만 이민정책때문입니다
    다른 얘기지만 우리나라도 20년뒤면 프랑스보다 더 적극적인 이민정책을 쓰지 않으면 나라 망합니다
    남의 나라 일이 아니예요.
    우선적으로 동남아에 가서 한국 국적 줄테니 제발 와 달라고 광고해도 통할지 의문입니다
    그만큼 심각합니다

  • 41. ....
    '22.12.20 9:52 PM (218.156.xxx.164)

    흑인들의 운동 능력이 뛰어난데 프랑스는 아프리카쪽 식민지가
    많아서 흑인이민자들이 많아요.
    프랑스가 아프리카의 35프로를 식민지로 가졌고 영국도 많았지만
    아프리카에서 프랑스가 더 가깝잖아요.
    다른 유럽국가들은 아프리카 식민지 면적이 넓지 않았구요.
    영국은 대신 인도 출신이 많고 독일은 중동사람들 많아요.
    남미도 아르헨티나 백인 선수가 많고 브라질은 흑인 혼혈이 많은데
    역사적 배경이 국가 구성원을 결정짖는 거 같아요.
    한세대가 지나면 독일엔 아랍계 선수들이 많이 나오기 않을까합니다.

  • 42. 아르헨티나는
    '22.12.20 10:02 PM (223.62.xxx.146)

    또 보면 다 백인이죠.
    원주민, 흑인 다 정책적으로 없애고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계 백인으로 유지하면서 자칭 유럽이라고 하잖아요. 우루과이도 옆에 붙어서 똑같은 헛소리.
    월드컵 보면서 다른 나라들 역사 공부가 절로 됩니다.

  • 43. ㅇㅇㅇ
    '22.12.20 10:03 PM (211.247.xxx.42)

    저는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음바페 부모가 한국으로 이민 왔다면
    음바페는 축구선수로
    성장할 수 있었을까???

    아주 어렸을때 부터
    구단주들이 재능을 감지했다는 데
    우리는???

  • 44. ...
    '22.12.20 10:40 PM (218.156.xxx.164)

    ㅇㅇㅇ님 그건 편견이에요.
    음바페 정도의 재능이면 전세계 어디서든 알아봅니다.
    우리나라 육상계에 비웨사도 있고 가나 출신 고교축구선수도
    있고 이미 프로팀에서 뛰는 선수도 있어요.
    음바페라면 당연히 알아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5751 미국 vs 호주 둘다 가보신분 있나요 9 aa 2022/12/20 2,316
1415750 영국 주 4일제 근무 실험 22 결과. 2022/12/20 2,795
1415749 폭설 속 실종 광주 중학생, 소재 확인돼 가족 품으로 8 2022/12/20 3,843
1415748 고등과외 알바하는데 요즘 과외비가 10 대학생딸 2022/12/20 3,456
1415747 면세점 픽업 못 하면 바로 취소되나요 ㄴㅇㄹ 2022/12/20 2,578
1415746 소떡소떡 식은거 어떻게 살리나요 2 소떡 2022/12/20 2,188
1415745 시립대 5 시립대 2022/12/20 1,461
1415744 친정어머니 사드리고 싶은데 6 로봇 2022/12/20 1,915
1415743 오늘 점심은 또 뭐 먹나? 6 뭐먹지 2022/12/20 1,058
1415742 위암 수술받은 친구에게 필요한 선물 11 친구 2022/12/20 3,660
1415741 스테이크 고기 사용 4일전에 사면 어떤가요. 6 ..... 2022/12/20 787
1415740 2년 별거중 8 . 2022/12/20 3,976
1415739 아 정말 고달프네요.. 4 b.b 2022/12/20 1,312
1415738 중학교 졸업 축하금 어느 정도? 5 궁금 2022/12/20 2,150
1415737 해외여행이고, 머고, 다 귀찮은 거 정상일까요 20 w 2022/12/20 3,731
1415736 닥터카 탑승후 현장서 15분 머물다 보복부 관용차 타고 이동 9 ㅇㅇ 2022/12/20 1,682
1415735 화상 후 굳은 껍질 벗겨지면 어떻게 하나요 4 ㅇㅇ 2022/12/20 2,051
1415734 세탁기가 안 돌아요 얼었나봐요 13 2022/12/20 2,481
1415733 물걸레 청소.. 뭘 살지 고민이에요 18 ㅇㅁ 2022/12/20 2,217
1415732 초 2 여아 산타 선물 뭐할까요? 2 .. 2022/12/20 405
1415731 부산 당일여행 3 부산최고 2022/12/20 947
1415730 토닝과 글리에보? 궁금 2022/12/20 381
1415729 부산 경남 쪽에 노천온천 있나요?(허심청 제외) 1 경상도 2022/12/20 816
1415728 건조기에 돌린 오리털패딩 다 숨이 죽었는데 어찌해야하나요 15 ... 2022/12/20 2,797
1415727 난방을 24도로 유지하는데 가스요금이 얼마나 나올지.... 6 무섭 2022/12/20 2,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