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공부 좀 열심히 할걸

ㅇㅇ 조회수 : 6,452
작성일 : 2022-12-17 18:58:21
학벌 컴플렉스까지는 아니지만
똑똑한 사람들을 보면 참 부러워요.

어쩌면 그렇게 진작 공부들을 다 해서
영어도 잘하고 수학도 잘하고 상식도 많고
다들 그렇게 똑똑한지
무슨 대화를 해도 막힘이 없고
그냥 한마디 툭 내뱉는 말에도 교양이 묻어나고
참 부럽습니다.

이제와서 열심히 하려고해도
아침에 외운거 돌아서면 잊어버리고
지금 내 나이에 똑똑함이 갖춰져 있는 상태라면
얼마나 좋을까.

어릴때 찢어지게 가난한 집에서
허구헌날 부모님 부부싸움에 시끌벅적하고
맨날 혼나고 맞고, 공부 보다는 뭐 먹고 살아야 되나
오늘또 부모님 싸우면 어떡하지 이런 생각에 살고
참고서도 사고 싶고 행복한 부모님 아래에서
걱정없이 공부하고 싶고 부잣집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으로
보낸 어린시절이 생각나네요.

이제라도 해도 되는거 알고 지금부터 해도 되는거
알지만 그냥 현재 나란 사람이 좀 많이 배우고
똑똑해서 돈이 없어도 뭔가 내세울만한게 하나라도
있으면 좋겠네요.
IP : 121.139.xxx.72
2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2.12.17 7:04 PM (61.78.xxx.139)

    어쩌겠어요.
    세월은 흘렀고 지금의 내가 난데..
    지금부터라도 작은거 하나씩이라도 개선해가며 나은 인간 되려 노력해서 좋은 어른이 되도록 노력해야죠

  • 2. ㅇㅇ
    '22.12.17 7:04 PM (221.150.xxx.98)

    오늘부터 문학책을 부지런히 보시면
    1년도 안지나
    님이 지금 말씀하신 그 내세울만한 것이
    별것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아시게 될겁니다

  • 3.
    '22.12.17 7:17 PM (221.140.xxx.34) - 삭제된댓글

    여기는 왜 이렇게 문학책, 인문학 타령하는 비현실적인 허세꾼들이 많아요?
    매일 일간신문 1년 이상 보세요. 인터넷으로 보지 말고 종이신문으로 펼쳐서 한눈에 전체 기사가 눈에 들어오도록. 주간 경제지(해외 번역판) 하나 선택해서 1년만 기사 선별해서 읽어보세요. 누구랑 대화해도 못 알아듣거나 뒤처져 보이는 상황 없어질 거예요.

  • 4. 문학이든
    '22.12.17 7:21 PM (118.235.xxx.96)

    뭐든 관심가는 분야를 공부하세요 책을 읽던 유투브를 보던.. 어느분야건 전문가가 되면 멋진것 같아요 여기서 얼마전에 차(tea)에 대해 얘기할때도 그렇고 증여나 상속에 대해 얘기할때나 임대차법에 대해 얘기할때 전문적인 지식 가진 사람들의 댓글 읽다보면 참으로 멋지다..하는 말이 절로 나오잖아요.
    지금 님이 바라는건 그냥 저절로 그렇게 되어 있었으면..하는 수준이에요.지금도 늦지않은걸 잘 아시니 차근차근 공부하시자구요

  • 5. 인문학으로
    '22.12.17 7:31 PM (175.193.xxx.206)

    인문학 책을 위주로 한달에 한권씩만 봐도 사람이 달라져요. 내가 달라지는건 그렇다 쳐도 그렇게 책을 읽는 사람을 대하다보면 느껴져요. 대학은 나왔지만 책 가까이 안하는 사람보다 대학 안나와도 꾸준히 책을 보는 사람이 더 똑똑해 보이긴 해요.

  • 6. ㅁㅁ
    '22.12.17 7:35 PM (211.244.xxx.70)

    원글님과 댓글님 모두 지나가는 제게도 깨달음을 주시네요.
    사는게 바쁘다는 핑계, 피곤하다는 이유
    반성하게 됩니다.

  • 7. ㅇㅇ
    '22.12.17 7:35 PM (221.150.xxx.98)

    문학은 다른 분야와 좀 많이 다릅니다

    왜냐면 문학은 인생을 거의 다 포함하고 있고
    다른 분야는 대부분 그 한가지 뿐입니다

    그래서 문학또 문학을 사람들이 말하죠

    세상이 눈 아래 보이는 순간이 오면
    화목한 가정을 빼면 이세상에 부러운 것이 거의 없습니다
    그러니
    그 내세울만한것은 별게 아니게 되는겁니다

  • 8. 원글님
    '22.12.17 7:41 PM (1.227.xxx.55)

    어차피 그때도 핑계, 지금도 핑계예요.
    저도 원글님과 비슷한 환경에 살았지만 열심히 공부해서 명문대 갔고
    제 동생은 못했어요.
    그런데 꼭 제가 제 동생보다 행복한 건 아니예요.
    지나간 건 잊으시고 지금이라도 책 읽고 공부하면 돼요.

  • 9. 원글
    '22.12.17 7:42 PM (121.139.xxx.72)

    그냥 지나치지 않고 댓글로 도움 주셔서
    감사해요.
    내친김에 인문학 책 주문 하려고 하는데
    쉽게 읽을 수 있을만한 책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나이가 들어도 사람이 아는게 없으면
    초라해지는것 같아서 매일 더 나은 사람이
    되는 공부를 시작해볼까합니다.

  • 10. 핑계라고 하신 분
    '22.12.17 7:45 PM (121.139.xxx.72)

    핑계일 수도 있겠죠.
    어느 상황에서든 할 사람은 했을테구요.
    하지만 비슷한 상황이어도 그 상황이 같을 수는
    없어요.
    짧은 글 안에 모든 상황을 다 설명할 수도 없는
    거구요.
    그래서 내 경험을 비춰 판단하고 조언하는 일은
    참 위험한것 같습니다.
    다른 사람에겐 상처가 될 수도 있거든요.

  • 11. 결국
    '22.12.17 7:53 PM (1.227.xxx.55)

    님도 님 경험에 비춰 글 쓴 거 아닌가요?
    어떤 답을 원하시나요 그럼?
    여러 각도에서 보는 다양한 답을 원하는 거 아니셨어요?
    아이구 힘드셨구나...지금도 힘들고 그러니 공부하지 마세요...
    라는 답을 원하시는 건가요 혹시?
    끊임없이 핑계를 찾는 사람이 발전하기 원하면 반칙이죠.
    짧은 답글 안에 모든 걸 다 설명할 수 없겠죠?

  • 12. ㅇㅇ
    '22.12.17 7:59 PM (221.150.xxx.98)

    토지로 시작해보세요
    누가 뭐라고해도 끝까지 갈 수 있습니다

    일단 끝까지 가보세요
    님은 쉽게 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구입하셔도 되고
    형편이 별로면
    도서관이나
    광역시도 전자도서관에 가시면 무료입니다

  • 13. 원글
    '22.12.17 8:01 PM (121.139.xxx.72)

    님 말씀대로 다양한 각도의 조언을 듣기 위한 글이지
    내 과거의 일을 본인의 잣대로 평가해달란
    글이 아님을 모르시네요.

  • 14. 원글
    '22.12.17 8:01 PM (121.139.xxx.72)

    아...네 토지 한번 읽어볼게요.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15. ㅇㅇ
    '22.12.17 8:02 PM (221.150.xxx.98)

    원글님 핑계글은 그냥 무시하고 지나가시면 됩니다

  • 16. 원글
    '22.12.17 8:08 PM (121.139.xxx.72)

    221님, 네 감사합니다

  • 17. 네네
    '22.12.17 8:15 PM (1.227.xxx.55)

    그래서 저는 제 관점에서의 조언을 했어요.
    지금이라도 책 읽고 공부하면 된다구요.
    과거는 잊으라구요.
    이 정도 조언에도 심사가 뒤틀릴 정도면
    이런 글을 올리면 안 되겠죠?

  • 18. 지금
    '22.12.17 8:22 PM (1.246.xxx.87) - 삭제된댓글

    지금부터라도 공부하심 좋겠네요.
    제가 올해부터 방송대 다니는 50대인데요
    대학도 나왔고
    남들에게 무식하다 소리는 안듣고 살았고
    책도 좀 읽은듯 보여졌는데
    방송대가 온라인이라도 중간과제하고 시험보고 학점 나오고 하니까
    훨씬 뭘 배운다ㅡ알아간다는 느낌 들어요.
    실제 많은 재학생들이 본인의 환경에 맞게 1과목도 하고 2과목도 하고 해요.
    방송대 추천합니다.

  • 19. ..
    '22.12.17 8:28 PM (223.62.xxx.159) - 삭제된댓글

    일단 서점에 가셔서. 둘러보시고 손에 잡히는 쉬운 책부터 시작하세요
    아니면 도서관 가셔서요. 수필도 좋고. 뭐라도 쉽고 얇고 글자 큰 걸로요. 공부 잘한것과 상식 등 많이 아는 것은 관계가 별로 없어요

  • 20. 원글
    '22.12.17 8:39 PM (121.139.xxx.72)

    방통대 추천해주신 분 감사해요.
    지금 제가 하는 일이 많아서 당장 방통대는
    어렵지만 님 말씀 들으니 우선 공부할 수 있는
    강좌를 찾아봐야겠어요.
    한참 유튭으로 이런저런 영상 보면서 공부 했었는데
    다시 도전해봐야겠어요.

    223님 그러고보니 제가 서점 나간지 한참
    됐었네요.
    오늘은 토지 주문 해놓고 인문학도 유튭으로
    검색하고 내일은 오래간만에 서점도 다녀와야겠어요.
    감사해요.

  • 21. ㅇㅇ
    '22.12.17 9:01 PM (221.150.xxx.98)

    나이 들어서 전공 살려 취직할 것도 아니면서 대학공부하는 것 거의 의미 없습니다
    단지 가보지 못한 길에 대한 아쉬움이죠

    대학은 크게 지식을 얻어 취직하는것
    둘째 교양적인 공부를 할 기회가 많아지는 것
    셋째 다양한 사람들을 쉽게 만날 수 있는 것
    네째 다양한 취미에 쉽게 접할 수 있는 것
    대충 이정도인데
    나이 들어 대학 공부해서 뭘 할 수 있을까요?

    인생이 길지않으니
    그 나이에는 문사철 인문 공부하는 것이 가성비 최고죠
    투자한 시간에 대해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는 것은 인문공부 라는 거죠

    서점 자주 가는 것 좋습니다
    그런데 님은 토지 끝내고 가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왜 그럴까요?
    다음에 또 이야기할 기회가 있겠죠

  • 22. ....
    '22.12.17 9:10 PM (122.35.xxx.179)

    핑계라고 해도 누구나 그 상황에 처하면 원글님과 똑같이 행동했을 수 있죠.
    그러므로 함부로 판단하면 안 되는 거겠죠

  • 23. 아니요
    '22.12.17 9:17 PM (1.126.xxx.129)

    문학은 됬.. 오디오북으로 기술 서적 들으면서 운동 합니다

  • 24. 지나가다
    '22.12.17 10:47 PM (115.139.xxx.169)

    기술 서적이라하면 어떤 책들을 말씀하시는걸까요?
    지나가다 저도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25.
    '22.12.17 11:19 PM (121.159.xxx.222)

    몽테크리스토 백작 한번 읽어보세요
    무지하고 순박해서 모든것을 빼앗긴 에드몽 당테스란 남자가 지혜를 얻고 운명과 싸워 이기는 과정.
    문학 연애소설 백날읽는것보다 재밌고 각성효과가 큽니다
    첨부터 민음사 엄청 두꺼운완역본 힘드시면 중고학년 세계명작편으로 장황한 주절주절 독백 그런거 걷어내고 봐도 좋아요. 옛날 프랑스에선 글자수대로 원고료 책정이라 작가들 부피늘리기 너무많았던것도 사실이거든요.

    갈매기의 꿈도 추천드리고
    가벼우면서 삶에 대한 통찰을 기르는걸로는
    오헨리 단편선도 좋고요

  • 26.
    '22.12.17 11:25 PM (121.159.xxx.222)

    토지는 개인적으로 개인차가 있다 생각돼요.
    전 오헨리 단편선, 갈매기의 꿈, 몽테크리스토백작
    만화 고우영 십팔사략, 펄벅의 대지 추천드리구요 이외에 호불호는 갈리는데 강신주의 다상담, 법륜스님 정토회 법문 들어보심 좋을것같아요.

  • 27. ㅇㅇ
    '22.12.18 6:57 AM (221.150.xxx.98)

    개인차가 없어 이세상 모든 사람이 좋아하는 책이 이세상에 있을까요?
    토지
    제가 책을 많이 보았는데 아주 좋은 책입니다
    전 두번 본 책이 많이 안되는데 토지는 세번 보았습니다
    그 다음에 몽테크리스토백작도 보시면 되겠군요

  • 28.
    '22.12.18 12:23 PM (121.159.xxx.222) - 삭제된댓글

    안좋단건 아닌데 너무길어서요ㅜㅜ그래서 청소년토지도 나왔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4882 쓰레기봉투뜯던 냥이 동네에 데려왔어요 40 으쌰 2022/12/17 4,977
1414881 박보검 광고 찾는데 아시는 분~^^; 5 happy 2022/12/17 1,072
1414880 이 다운점퍼 살까 말까 고민 중이에요~ 26 살까말까 2022/12/17 4,970
1414879 부모들이 자녀를 기를 쓰고 대학보내려는 이유가 27 ㅇㅇ 2022/12/17 7,584
1414878 아빠가 핸드폰을바꾸고싶어하는데요 7 저기 2022/12/17 1,499
1414877 현미차를 다르게 부르는 말이 있나요? 2 ... 2022/12/17 1,313
1414876 깍두기 담글 때 생강가루 넣으면 안될까요 9 ... 2022/12/17 2,364
1414875 피자 시켰는데 배달이 80분 넘게 걸린다고 뜨네요. 9 세상에 2022/12/17 2,904
1414874 여행 가격이 코로나 이전보다 2배 이상이네요 6 해외여행 2022/12/17 4,012
1414873 공부 좀 열심히 할걸 24 ㅇㅇ 2022/12/17 6,452
1414872 유기농계란 3 ... 2022/12/17 1,319
1414871 82는 시부모 암걸려 서울와도 호텔 잡아라 49 .. 2022/12/17 17,820
1414870 유리로 된 전기 포트 어떤가요? 3 ㅇㅇ 2022/12/17 1,939
1414869 혼자서 명태조림 배달해서 먹었어요 3 2022/12/17 2,086
1414868 여기 언니들 부자들 많으시죠 21 Flgkhf.. 2022/12/17 7,128
1414867 전 NTJ들에 둘러쌓여 살아요 14 2022/12/17 3,352
1414866 뉴욕타임즈 선정 올해 10대 영화 11 ㅇㅇ 2022/12/17 4,296
1414865 김냉에 전기구이 4일됐는데 먹어도 될까요? 3 .. 2022/12/17 677
1414864 메니에르 의증이래요ㅜ 5 ... 2022/12/17 4,559
1414863 한식 배달이 제일 만족도가 떨어지네요 18 이건아냐 2022/12/17 4,663
1414862 경희대 전자공학 vs 부산대 전자공학 39 고민요 2022/12/17 5,139
1414861 이준구 서울대 경제학교수님 - 친부자 정책을 친서민 정책으로 .. 3 ... 2022/12/17 1,995
1414860 40대 후반에 첫 3D 영화는 무리일까요? 10 아바타 2022/12/17 1,482
1414859 어느 품종 단감이 더 맛있나요? 5 이든 2022/12/17 1,039
1414858 아기 돌보는 봉사 해보신 분 2 봉사 2022/12/17 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