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금리와 부동산

ㅇㅇ 조회수 : 2,959
작성일 : 2022-12-07 18:33:41
아래 금리와 집값에 대한 글이 있어서 적어봐요.
최근에 부동산과 주식 커뮤니티들에서 채권분석가 배문성 씨의 삼프로 영상이 화제가 됐죠 
이분이 한국 부동산은 채권의 성격을 갖고 있다고 보고 금리를 툴로 분석했는데 
이쪽 공부 좀 한 사람들은 다들 혀를 내두를 정도로 딱딱 맞아떨어져서 대단하다고들 합니다.

요즘 부동산 유튜버 중에서 아파트사이클연구소 그분이 가장 인기인데 사실 논리에 근거는 없잖아요. 
무조건 부동산은 심리다 사이클이다 전세가다 전세가가 밀어올리면 오른다
아니 심리인 건 아는데 어떤 조건에서 그 심리가 움직이고 사이클이 움직이는지를 설명을 해줘야지
아마 현장에서 오래 굴러서 촉은 꽤 좋은 분이 맞는 거 같고
그렇지만 논리의 근거는 빈약.

배문성 씨의 논지는 이렇습니다. 한국 부동산은 전세로 움직이는데 그 전세는 채권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집주인이 전세금이라는 빚을 빌린 채무자, 세입자가 전세금이라는 빚을 준 채권자
집주인은 돈을 빌리는 대신 자신이 소유한 집의 주거서비스를 이자로 세입자에게 제공.
저금리 상황에서는 빚을 빌려주려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집주인이 갑이 되고
고금리 상황에서는 빚을 빌리려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세입자가 갑이 됨
전세를 채권모델로 이해해야 하는 이유는 채권의 시작과 끝이 금리이기 때문에, 부동산과 금리의 관계를 추적하는 데 좋은 모델임.

데이터가 확실히 나온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전국 전세가와 월세, 집값을 분석한 결과 
전국 대장주 아파트들은 10년간 월세가격이 거의 변동 없고 기준금리보다 1% 정도씩만 더 높은 가격을 유지.
이것은 마치 국고채나 한전채 AAA 채권들이 기준금리보다 쬐끔만 더 높은 금리를 유지하는 안정적인 자산인 것과 비슷함.
그보다 위험등급 회사채들이 높은 이자를 주듯이, 강남 이외 다른 지역들은 임대수익률을 더 높게 쳐서 받으려고 함.

(잠깐 강남의 아파트들은 왜 임대수익률이 그것밖에 안 되는가? 그건 집값이 너무 높기 때문.
예를 들어 10억짜리 집을 사서 월세를 매달 200만원씩 받는 사람의 임대수익률은 2.4%
그런데 50억짜리 집을 사서 월세를 매달 200만원씩 받는다면 임대수익률 0.48%. 
예를 들어 50억짜리 집의 월세를 매달 1000만원씩 받는대도 임대수익률 2.4%예요.
강남 집들은 사실 임대가 주목적은 아니죠. 주식처럼 사팔해서 시세차익을 노리든지 아니면 더 중요하게는 금처럼 가치저장 수단.) 

수도권 주요 아파트들의 집값, 월세 추이를 따라가다 보면 임대수익률이 기준금리와 아주 찰싹 붙어버리는 시기가 있는데 
그게 2019년 상반기입니다. 
그때 마포래미안푸르지오 34평이 집값 14억 월세 200, 즉 임대수익률 1.8%이고 당시 한전 기준금리1.75%
즉 이때 집값이 너무 높았다는 거죠. 그래서 배문성 씨는 이때 집을 팔아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당시 슈카도 집을 팔았댔나 그래요. 부동산 좀 아는 사람들 그때 많이 팔았을 거예요.
문제는 곧바로 코로나가 터져서 금리가 더 떨어졌다는 것인데 그거야 뭐 신만이 아는 일이었고....
어쨌건 임대수익률과 기준금리가 얼마나 벌어져 있는가를 봤다는 게 참 놀라웠네요.

그리고 또 한 가지 중요한 거.
채권은 금리와 반대로 움직이죠. 금리가 오르면 채권가격은 떨어지고 금리가 떨어지면 채권 오르고
그래서 가격을 세로축 금리를 가로축으로 우하향하는 그래프인데  
그게 직선이 아니라 곡선으로 아래쪽으로 휜 그래프입니다. 
즉 금리가 0프로에서 2프로로 오르거나 내릴 때, 가격은 아주 많이 내리거나 오르고
금리가 2프로에서 4프로로 오르거나 내릴 때, 가격은 그것보다 훨씬 적게 내리거나 오릅니다.
그래프 그려서 확인해보시면 금방 아실 거예요.

이번에 금리가 0.25에서 1.5%로 올랐을 때와
이명박 시절 2010년대 초 2%에서 3.25%로 올랐을 때 
똑같이 1.25%씩 올랐다 해도 집값 변동분이 아주 다릅니다. 이번에 변동이 훨씬 급격하잖아요?
그게 채권 가격 그래프가 휘어 있어서 그렇습니다. 그걸 컨벡시티라고 하는데 
저금리에서 변동하는 가격의 폭과 고금리에서 변동하는 가격의 폭이 다르다는 겁니다.
가격변동이 클수록 안 좋은 일이니 지금이 훨씬 위기상황인 거죠.

아무튼 금리는 부동산 가격결정에 아주아주 중요하다는 거
단기적으로 금리는 무적입니다.
공급도 중요하지 않은 건 아니지만 그건 중장기적인 요소고요.














IP : 211.196.xxx.99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2.12.7 6:34 PM (211.196.xxx.99)

    https://www.youtube.com/watch?v=GwBwBnyXI_k
    왜 공급보다 금리가 집값에 더 중요한지 가장 경제학적 설명

  • 2. ㅇㅇ
    '22.12.7 6:34 PM (211.196.xxx.99)

    https://www.youtube.com/watch?v=9qq5n2k6C2Y&t=3018s
    전세 하락에서 시작되는 부동산 대학살 시나리오 (이스트스프링스자산운용 배문성 크레딧 애널리스트)

  • 3. ..
    '22.12.7 6:55 PM (112.146.xxx.66)

    좋은글 고맙습니다.

  • 4. i오오
    '22.12.7 6:58 PM (134.147.xxx.2)

    이해가 되요 감사해요

  • 5. 그렀죠
    '22.12.7 7:12 PM (218.39.xxx.130)

    채권 개념이란 말이 딱!!! 금리와부동산..

  • 6. ...
    '22.12.7 7:20 PM (219.255.xxx.153)

    문재인과 김현미는 이걸 몰랐구나.
    당시에 정책 목적이 집값 하락이라며 금리를 내려서 너무 의아했음

  • 7. 전정부때
    '22.12.7 7:36 PM (211.211.xxx.134)

    이런사실을 가르쳐주지
    아니면 지나고 나서보니깐 알게된건지

  • 8. ...
    '22.12.7 7:38 PM (221.140.xxx.205)

    이분 강추...

  • 9.
    '22.12.7 7:57 PM (116.33.xxx.19)

    그렇네요 근데 전정권때 안알려준 이유는 뭘까요 너무 예측 불가능한일이 생겨 그런거 아닐까요?

  • 10. ..
    '22.12.7 8:07 PM (118.221.xxx.98)

    금리와 부동산 참고할게요.
    감사합니다

  • 11. ...
    '22.12.7 8:56 PM (221.140.xxx.68)

    금리와 부동산

  • 12. .....
    '22.12.7 9:06 PM (211.109.xxx.127) - 삭제된댓글

    문통 시절의
    좌충우돌 누더기 주택정책 중 일부가 한눈에 쏙
    https://v.daum.net/v/20221207070503322

  • 13. 저도 봤음
    '22.12.7 10:38 PM (112.154.xxx.145) - 삭제된댓글

    지난 10년간을 쭈욱 되돌려 봤을때 그렇단 얘기죠
    그리고, 저금리일때와 고금리일때는 부동산은 바닥과 천정 차이죠
    전 정부때 전 세계 기조가 저금리인데 울 나라만 금리를 올리나요?? 무식하긴....

  • 14. ,,,
    '22.12.8 12:27 AM (116.44.xxx.201)

    문통때는 전세계의 집값이 미친듯이 올랐어요
    제 형제도 미국에서 1년만에 딱 두배가 오른 집을 꼭지에 샀는데
    다행이 이자율이 고공행진하기전에 고정이율로 대출을 받아서
    나름 위안으로 삼고 있습니다

  • 15. 우와
    '22.12.8 12:50 AM (91.74.xxx.3)

    저도 유투브 보고 감명(?) 받아서 좋은 내용이라고 게시판에 올렸었어요. 그래도 님처럼 정리해서 적진 못했는데 님은 배운 분이군요!!

  • 16. 저도감사!
    '22.12.8 5:39 PM (175.208.xxx.235)

    이해하기 쉽게 잘 적어주셨네요.
    저도 감사해요.
    종종 자주 글 올려주세요.

  • 17. 000
    '22.12.10 11:44 AM (58.148.xxx.236)

    금리와 부동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1500 백화점 의류매장 2 ㅠㅠ 2022/12/07 2,362
1411499 물 하루 섭취량 2리터 권고는 80년 전 나온 이야기…".. 6 ..... 2022/12/07 3,499
1411498 (스포있어요)재벌집 막내아들 원작 웹툰 내용에서.. 14 ... 2022/12/07 4,937
1411497 1월생이면 띠가 다른가요??? 12 dd 2022/12/07 3,601
1411496 40초반 미혼이고 결혼에 미련은 없는데요 14 ㅇㅇ 2022/12/07 6,592
1411495 아버지가 치매 같아요. 13 ... 2022/12/07 5,039
1411494 한달동안 먹어야지하고 5 .... 2022/12/07 2,218
1411493 신생코인에 1 .. 2022/12/07 674
1411492 옆으로 꽈당 넘어졌는데 골절이면 못 걷겠죠? 13 흑흑 2022/12/07 2,196
1411491 외국에서 간호조무사 공부할수 있을까요? 6 .. 2022/12/07 1,587
1411490 폐경이 언제쯤 오셨나요 22 ㅇㅇ 2022/12/07 4,987
1411489 진짜 노태우가 sk한테 이동통신 준거 맞나요? 16 열받 2022/12/07 3,873
1411488 만나이?같은학년이라도 나이가 다를수 있겠네요 ? 7 ㅇㅇ 2022/12/07 1,904
1411487 애들이 좋아하는 냉동반찬 좀 알려주세요 6 시장보기 2022/12/07 1,573
1411486 재벌집 진화영역 배우 13 가을 2022/12/07 4,980
1411485 2002년 월드컵 한국전 패배후 벤투감독 인터뷰 ㅇㅇ 2022/12/07 1,018
1411484 요즘30평대 인테리어비용.. 7 .... 2022/12/07 3,728
1411483 방탄 정국 입문했더니 끝이 없네요 13 .. 2022/12/07 3,465
1411482 영화 탄생 보고 왔습니다 7 .. 2022/12/07 1,833
1411481 교회 고민..지혜를 주세요 12 ㅇㅇ 2022/12/07 1,887
1411480 사업은 대출을 잘 쓰는.. 5 2022/12/07 1,321
1411479 과자는 어디서 사는 게 제일 싸요? 5 과자 2022/12/07 2,288
1411478 전원일기 쌍봉댁 넘 성격좋아요. 2 전원일기 2022/12/07 2,528
1411477 금리와 부동산 15 ㅇㅇ 2022/12/07 2,959
1411476 국가대표팀 귀국현장에서 꽃다발도 하나 없어요 13 .. 2022/12/07 4,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