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윈터타이어 쓰시나요?...

로즈땅 조회수 : 778
작성일 : 2022-12-06 10:20:38
눈길에 운전을 처음 해봤는데
브레이크 밟을 때 밀리는 느낌이 나서 깜짝 놀랐어요..

혹시 윈터타이어 쓰시는 분들 있으실까요?
IP : 124.57.xxx.206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윈터
    '22.12.6 10:24 AM (121.190.xxx.152)

    이거 제가 다른 커뮤니티에 오래전에 쓴 글인데 윈터 고민하시는 분들 참고하세요. 결론은 윈터 강추입니다.
    ---

    윈터타이어 교체의 시기입니다. 저는 이것 저것 찾아보기 귀찮아서 그냥 카페 공동구매 이용했습니다. 저는 그동안 4계절용만 사용해왔기 때문에 윈터타이어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않고 살아왔는데 5초간 검색후 5분간 자료 검색해본 결과 꽤 의미있는 결과를 알게 되어 공유하려고 합니다. 다들 바쁘시고 귀차니즘 때문에 이렇게 제가 날림으로 얻은 초보적인 지식도 필요하신 분이 있을수도 있을 것 같아서요. ㅎㅎ

    제 판단에 결정적 도움이 되었던 자료는 주로,
    http://www.autoview.co.kr/content/article.asp?num_code=57982

    간단내용 요약해 봅니다.

    1. 서울이고 4륜인데 필요할까?
    제가 서울에 살고 주요도로만 운행하며 4matic 입니다만 저 자료 읽어보고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기본으로 장착되어 나온게 런플랫 썸머. 여름용 타이어는 온도가 내려가면 제동거리가 무척 길어진다고 합니다. 유럽에서는 겨울철에 여름용 타이어로 운행하는 것이 불법이며 만일 겨울에 윈터타이어 이용하지 않고 운행하다가 사고날 경우 보험처리를 해주지 않을 정도로 필수적이라고 하네요. 우리나라 도로교통법과 보험약관은 어떠한지 모르겠지만 겨울철이 긴 유럽에서는 불법이며 보험처리 불가라는 내용이 임팩트가 있네요.

    2. 국산 vs. 수입산
    위 동영상에 실제 실험한 결과가 잘 나와 있습니다. 1) 빙판에서 특정 속도에 이르는데 걸리는 시간 2) 눈길에서 얼마의 속도로 달리다가 제동하는데 걸리는 시간/거리 3) 저온 마른길에서 제동거리/시간 4) 저온 젖은길에서 제동거리/시간, 그리고 슬라럼 또는 간단한 코너링 주행능력등을 비교해 놓아서 결정하기 좋았습니다. 국산으로는 한국타이어, 금호, 넥센, 수입산으로는 미쉐린, 브릿지스톤 등을 사용했습니다.

    가격은 1개당 대략 10만원 차이.
    국산은 거의 대부분 알파인 계열, 수입산은 노르딕.

    알파인계 (국산) 윈터 타이어는 빙판/눈길 주행/제동 능력은 떨어지나 마른길/젖은길 주행/제동 능력이 더 뛰어나다고 합니다. 노르딕(수입산)은 반대이구요. 가격은 당연히 노르딕이 더 비쌈. 만일 겨울철 스키여행을 즐기시고 강원도 설산 여행을 즐기신다면 수입산 노르딕 타이어를 사용하시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저처럼 서울시내 일반적인 도로주행을 하시는 경우라면 눈길/빙판길이 아닌 일반도로 상황에서 운행할 일이 더 많을 것이므로 알파인계열이 더 안전합니다.

    노르딕(수입산)이 개당 10만원 가량 더 비싸니까 항상 더 좋고 안전한 것이 아니라
    눈길/빙판길에서만 더 안전하고 일반도로 환경에서는 알파인이 더 안전한 것이 포인트라서 저는 금호타이어 윈터크래프트로 결정하였습니다. 제차는 W213 E220d 4m EX 입니다.

    5초 검색후 5분간 자료 읽어서 결정한 허접한 내용이므로 잘못된 내용이나 추가할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보충해 주세요. 저는 이미 예약까지 완료해서 결정을 번복할 수 없습니다만 지금 알아보고 계신 다른 분들에게는 도움이 되겠지요. 1년에 2차례씩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보관료+장착비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지만 주기적으로 타이어의 상태 점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으니 그정도 시간과 경비는 투자할 가치가 있을 것 같습니다. 건전한 소비는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여 내수경기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 같구요. ㅎㅎ

  • 2. ㄹㄹㄹㄹ
    '22.12.6 11:13 AM (125.178.xxx.53)

    타이어보관할데가 없어서 그냥4계절써요 ㅠ

  • 3. 비용
    '22.12.6 11:21 AM (210.205.xxx.46)

    타이어샵에서 비용내고 보관하는거지요
    안전을 위해서 지불한만 하다고 봐요

  • 4. 11월에
    '22.12.6 11:30 AM (112.150.xxx.87)

    윈터로 교체했어요.
    보관은 타이어가게에서 해줘요.
    요즘 같은 기온에 든든하고 안심되네요.
    금호로 많이들 하시는 것 같고,
    미쉐린은 10만원 정도 더 비싼게 아니라 아주 많이 비싸요.
    금호로 4짝 70만원대인데 미쉐린은 170만원 넘게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수입차 타는 사람들도 윈터는 국산으로 많이들 해요.

  • 5. ...
    '22.12.6 12:22 PM (218.155.xxx.202)

    타이어 바꿔야하는데 고맙습니다

  • 6. 맑은숲
    '22.12.6 12:26 PM (14.54.xxx.92) - 삭제된댓글

    첫댓글님, 감사합니다.
    저는 강원도 사는데 봄가을에 두번 타이어 교체 하는게 귀찮아서 사계절용으로 바꿔볼까 하다 지난번 올려주신 영상보고 귀찮아도 겨울에는 스노우 타이어 쓰기로 결정했습니다.
    영상보고 제동력에 차이가 많이 나서 놀럈습니다.
    기후변화 때문에 여기도 눈이 많이 오진 않지만 안전을 위해 당분간은 교체해 가면서 쓸려고요.
    하절기든 동절기든 타이어가 소모되면 저는 인터넷 주문하고 단골 공업사로 배송지를 하고 거기서 바로 교체해요.(허락받고)
    보관은 단독에 살아 저희집 창고에 넣어 놓습니다.
    원글님 눈길에 브레이크 밟으면 차가 360도 회전 합니다.
    강원도 살면서 빙판길 운전도 종종 해 봤는데요. 가능하다면 폭설이나 기후 안좋을때는 차가지고 나가지 않는게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아랫지방은 오전에 눈오면 오후에 다 녹는다고 안한다고 하네요. (친정오빠).

  • 7. 강원도
    '22.12.6 12:38 PM (175.122.xxx.249)

    는 필수입니다.
    눈이 오면 차를 잘 이용하지 않지만
    외출했는데 또는 장거리로 갔는데
    눈이 오면
    귀가해야 하잖아요.
    한 번만 사고 안나도 스노우타이어값 나오는거지요.

  • 8. dd
    '22.12.6 1:21 PM (218.156.xxx.121)

    타이어 가게 보관해두고 해마다 바꿔서 타요
    올해 11월말에 바꿨고
    보통 3월쯤에 또 바꿔서 탑니다

  • 9. 윈터
    '22.12.6 4:48 PM (121.190.xxx.152)

    아무튼 번거롭고 비용도 많이 들지만 겨울철에는 윈터 타이어 장착하는게 좋습니다.
    꼭 눈길, 빙판길 아니더라도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일반 타이어는 제동거리가 매우 늘어나게 되니까요.
    비용을 감당한 여력이 되시는 분들은 번거롭더라도 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사고가 나면 내 차만 망가지는게 아니라 아무 잘못없는 주변 차량과 탑승자에게도 큰 손실이 가니까 가급적 도로에 윈터 타이어 장착한 차량들이 많아지면 그만큼 우리 사회 교통사고가 줄어들 수 있을거에요. 돈 많아서 좋은 차 모시는 분들이 조금 더 쓰세요. 돈 없어서 다마스로 자영업하면서 타는 분들에게는 차마 윈터 타이어 해야 한다고 권하지 못할테니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1202 건강 자랑하는 노인들 보면 짜증나지 않나요? 26 ㅇㅇ 2022/12/06 5,880
1411201 나의 아저씨 오나라 대사에서 16 오늘은 오늘.. 2022/12/06 4,995
1411200 남편한테 감사해야 하나요? 14 그럼 2022/12/06 4,412
1411199 축구 국내파 차기감독 암울하네요 20 .. 2022/12/06 6,351
1411198 공공도서관에서는 프로그램 다운로드했다가 재부팅하면 사라지나요? 2 dfs 2022/12/06 1,116
1411197 대기업 오래 다니면 배우느거 2 ㅇㅇ 2022/12/06 3,853
1411196 이태원참사 기사에 악플러들은 왜 그러는건가요? 7 ㅇㅇ 2022/12/06 792
1411195 이혼 해주지마라는 이유는 뭘까요 19 2022/12/06 5,421
1411194 온천 추천 부탁합니다 53 온천 2022/12/06 4,240
1411193 사춘기 아들 둔 엄마들 서로 얘기나누어요. 30 수양중 2022/12/06 5,912
1411192 명신이가 실물 보고싶으면 바로 불러내는 국가시스템 1 지긋지긋 2022/12/06 2,373
1411191 대통령실 "靑 영빈관, 실용적 재활용...숙박시설 신축.. 5 00 2022/12/06 1,686
1411190 재벌집 막내아들 질문이요!!! 7 ㅡㅡ 2022/12/06 2,343
1411189 손흥민 팬됨..epl은 주로 새벽에 하나요? 5 ㅇㅇ 2022/12/06 1,686
1411188 이번주 나를 위해 돈 펑펑 씁니다 7 허무 2022/12/06 3,913
1411187 남자 갱년기? 잘 토라지고 짜중 느나요? 6 ... 2022/12/06 1,633
1411186 이 빵 이름 아시면 좀 알려주세요 41 빵을끊어야해.. 2022/12/06 5,573
1411185 다음 월드컵때부터는 본선이 48팀이래요 6 ㅇㅇ 2022/12/06 3,356
1411184 남자들 원래 와이프 사업해도 외조 할 생각 없나요? 24 Dd 2022/12/06 2,554
1411183 아줌마 3명 만남에 조금 삐그덕거리네요. 조언부탁드려요~ 26 베리 2022/12/06 6,866
1411182 시어머님께 상속재산을 모두 드리는 경우(상속재산분할협의) 14 .. 2022/12/06 4,856
1411181 우리집은 새우볶음밥했어요 2 ㅇㅇ 2022/12/06 1,621
1411180 회사에서 별 얘길 다듣네요 2 wetttt.. 2022/12/06 2,979
1411179 치킨 좀 아신다 하는분들~~~ 3 @@ 2022/12/06 1,824
1411178 샤대 의대 입학한 학생보니까 17 ㅇㅇ 2022/12/06 7,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