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라면 끓일때요

ㅇㅇ 조회수 : 4,152
작성일 : 2022-05-18 05:18:03
라면 조리 설명을 보면
보통 끓는물에 면 스프 넣고
4분 5분 더 끓여라 이런식으로 나와있잖아요.
근데 설명서에 나와 있는 시간 맞춰서 불 딱끄면
면이 안익지 않나요?
불이 약한것도 아니고 계속 팔팔끊는데도요.
최소2분에서 3분씩은 더 추가로 익혀야
꼬들꼬들한 정도가 되는것 같아요.
IP : 175.223.xxx.158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2.5.18 5:26 AM (220.117.xxx.26)

    5분이내가 꼬들이고 더 끓이면
    푹 익지않나요
    물 정량 재서 끓여도요 ?

  • 2. ...
    '22.5.18 5:36 AM (58.120.xxx.66)

    맞아요
    진라면도 은근 안익어서 오래 끓이고
    너구리는 진짜 오래 끓여요

  • 3. ..
    '22.5.18 5:43 AM (122.151.xxx.128)

    전 라면 끓일때 시간 재 본적 한번도 없는데…

  • 4. ㅇㅇ
    '22.5.18 5:45 AM (175.223.xxx.158)

    58님 맞아요 특히 너구리요.

    물은 늘 계량컵에 재서 해요

  • 5. ㅇ__ㅇ
    '22.5.18 6:09 AM (211.217.xxx.54)

    !!!! 저는 항상 구 시간보다 30초 짧게 해요. 꼬들한 면이 좋아서요.

  • 6. ㅁㅇㅇ
    '22.5.18 6:23 AM (125.178.xxx.53)

    그렇더라구요 제조사는 화력이 훨씬센지..라면뿐만이 아니에요

  • 7. ..
    '22.5.18 6:24 AM (218.50.xxx.219)

    저는 딱 설명서대로 끓이면 퍼진 느낌이던데요.
    물은 계량컵 쓰고 시간은 타이머 갖다두고 끓이니
    정확할거에요.

  • 8. ...
    '22.5.18 6:40 AM (183.98.xxx.33) - 삭제된댓글

    저도 레시피 그대로 따라타입
    그래도 먹는 중간에 약간 퍼지는 느낌
    1분 추가도 너무너믄 퍼지던데

    무파마만 좀 더 끓이는데 그건 설명도
    다른것보다 더 길더군요

  • 9. ...
    '22.5.18 6:41 AM (183.98.xxx.33)

    저도 레시피 그대로 따라타입
    그래도 먹는 중간에 약간 퍼지는 느낌
    1분 추가도 너무너무 퍼지던데

    무파마만 좀 더 끓이는데 그건 레시피에 기재된 시간이
    다른것보다 조금 더 길더군요

  • 10. ...
    '22.5.18 6:54 AM (220.75.xxx.108)

    시간대로 끓이면 너무 익던데요.
    심지어 우리집 고딩은 권장조리시간의 반만 끓여요. 어차피 먹다보면 익는다고...

  • 11. .......
    '22.5.18 7:23 AM (121.132.xxx.187)

    저는 딱 설명서대로 끓이면 퍼진 느낌이던데요.22
    그래서 가스타이머로 30초 정도 줄여요. 그리고 계량컵으로 생수 담아 끊일 냄비에는 다 안담고 조금 남겨두었다가 다끊이고 남은 물 넣으면 너무 뜨겁지도 않고 면도 안불고 좋아요.

  • 12. 처음부터
    '22.5.18 7:26 AM (175.122.xxx.249)

    물 끓이지 않고
    처음부터 라면을 넣어서 끓여요.

  • 13. ..
    '22.5.18 7:26 AM (223.62.xxx.31) - 삭제된댓글

    헐.. 다 끓이면 퍼져서 맛없던데요. 더 끓이면 푹 퍼지는거 아닙니까?
    꼬들한 라면은 신라면 굵기 면 기준 2분 30초만 끓여도 충분..

  • 14. 면이
    '22.5.18 7:33 AM (223.55.xxx.67)

    불에서 내린 후에도
    면이 계속 불어서 그래요
    라면집에서는 대충 끓으면 불 꺼요
    너무 덜 익은 것 같으면 시간 두고 손님에게 주고요

  • 15. ..
    '22.5.18 7:42 AM (110.15.xxx.133)

    근데 물도 봉지대로 넣으면 너무 짜지 않나요?

  • 16. ㄱㄴ
    '22.5.18 7:56 AM (106.102.xxx.85)

    농심, 오뚜기 등 국내 라면회사들이 연매출액 조 단위인 중견기업 이상급은 되요
    식품공학, 식품영양학 박사급 연구원들이 수백수천번 실험 끝에 얻어낸 최적화된 레시피 이지만요
    전국민 개개인 모두의 입맛을 만족 시킬수는 없겠지요
    내 입맛대로 맞게 끓여 먹는게 최고에요

  • 17. ..
    '22.5.18 7:58 AM (211.58.xxx.158)

    헐.. 다 끓이면 퍼져서 맛없던데요. 더 끓이면 푹 퍼지는거 아닙니까?
    꼬들한 라면은 신라면 굵기 면 기준 2분 30초만 끓여도 충분..
    222

  • 18. ㅇㅇ
    '22.5.18 8:02 AM (110.8.xxx.17)

    물 400ml 3분 끓여요
    5분 끓이면 먹다가 퍼져요

  • 19. 저도
    '22.5.18 8:17 AM (125.129.xxx.163)

    더 짧게 끓여요
    퍼진 거 싫어해서요.
    정말 사람마다 각양각색인 게
    전 라면발에 약간 희끗하게 심이 남아 있어야 꼬들하다고 하고
    남편은 덜 익었다해요 ㅜㅜ
    나는 그 정도 끓여야 다 먹을 때까지 안 퍼져서 맛있다하고 남편은 말캉하고 부드러워야 맛있대요.

    라면봉지 레시피대로 끓이면 속까지 다 익은 상황이 되죠 ㅎ

  • 20. 꼬돌
    '22.5.18 8:24 AM (211.234.xxx.213)

    라면은 레시피에서 오버쿡되면 죽됩니다
    치아 안좋은 어르신이나 왕창 퍼진거 좋아하는 분들 아니고서는

    레시피 대로도 살짝 퍼지고 분식집들은 일부러 짧게해요
    끓이는것보다 온기에 스프국물이 면에 잘 쓰며 든데요

  • 21. .....
    '22.5.18 8:26 AM (118.235.xxx.60)

    전 시간만큼 끓이면 너무 익어서 1번 정도 짧게 끓이는데요

  • 22. 그게
    '22.5.18 10:27 AM (121.182.xxx.73)

    사람마다 꼬들의 기준도 다른거죠.
    누구는 퍼진것 도 누구에게는 꼬들인거죠.

  • 23. ㅁㅇㅇ
    '22.5.18 11:40 AM (125.178.xxx.53)

    화력들이 다 좋으신가..

  • 24. 건강
    '22.5.18 1:15 PM (58.225.xxx.60)

    오래 끓이면 물이 쫄아서 짜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42188 시어머니도 제 생일안챙기는데요 33 ... 2022/05/18 7,635
1342187 편두통약 신경과에서 처방 5 2022/05/18 2,090
1342186 게으른자의 저녁식탁 10 베짱이 2022/05/18 4,130
1342185 코로나 걸린 사람이 만든 음식을 먹으면 코로나 걸리나요? 5 ㅁㅁ 2022/05/18 3,041
1342184 반신욕을 했더니 확 달라지네요 32 진작에할걸 2022/05/18 24,948
1342183 회사 3개월이면 적응될까요? 6 경단녀 2022/05/18 1,271
1342182 오미크론 이후로 계속 컨디션 회복 안되는 분 계세요? 14 오미크론 2022/05/18 2,202
1342181 코에 반창고 붙이면 코 안골까요? 9 여행준비중 2022/05/18 1,148
1342180 피부과 시술하신 분들이요. 5 .. 2022/05/18 2,692
1342179 라면을 먹으면 왜 배탈이 날까요 17 ... 2022/05/18 4,480
1342178 50일 넘은 파리바게트 제빵사의 단식 6 복수 노조 2022/05/18 4,162
1342177 중고딩 어머니들~책 어떤거 읽으세요? 3 2022/05/18 1,540
1342176 근종 있는 사람 경옥고 비추천이겠죠? 3 궁금 2022/05/18 3,864
1342175 신안 수국섬 도초도 어떤가요? 6 도초도 2022/05/18 1,086
1342174 음식물쓰레기 냉장고 쓰는 분 계신가요 16 .. 2022/05/18 4,032
1342173 서울 사람들 진심 15 .. 2022/05/18 5,007
1342172 한국인인척 하는 외국인들 왜 이렇게 많아요? 2 ㅇㅇ 2022/05/18 2,701
1342171 일탈청소년에게 인터넷금지 형벌 5 호주 2022/05/18 819
1342170 문재인 전 대통령이 다녀간 냉면집 24 ㅇㅇㅇ 2022/05/18 5,623
1342169 음주운전한 김새론양 무지성 지지해요 63 .... 2022/05/18 21,116
1342168 강남집 떨어지면 사겠다는 분들에게 기회가 거의 못 가요. 답답하.. 51 에고 2022/05/18 5,641
1342167 무언가를 자꾸 깨끗이 치우는 꿈은 뭘까요 4 .. 2022/05/18 2,191
1342166 반려견 보내고 또 입양해서 치유받는건 안되죠 14 2022/05/18 2,416
1342165 이사람이 저 무시하는건가요 9 훔냐리 2022/05/18 2,839
1342164 대한민국 여성전부를 적으로 삼는 윤서결이,,,서지현검사 6 ,,,,,,.. 2022/05/18 1,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