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등 1학년 국어 내신 공부에 대해….
일반고 기준 수시에서 의미가 있는 내신 성적은 1-2등급 구간입니다. 인서울 및 지거국 상위과가 지원 가능한 성적 구간입니다.
내신은 습관입니다. 중학교 2-3학년 때 교과우수상에 대한 경험치가 중요합니다. 중학교 국어 교과우수상이 쉬어 보이지만,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그런데 고등 국어 내신 1등급은 이보다 더 어렵습니다.
보통 일반고 기준 1학년 국어 내신은 문법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1학기에 음운, 문법 요소. 2학기에 중세국어가 들어갑니다. 등급이 4-5등급인 경우는 일단 문법이 문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외우고, 이해하고, 외우는 과정이 반복되야 하고, 상당히 많은 문제를 풀어봐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요즘 고등 내신 문법 문제 수준이 높은 편이라 중학교 때처럼 자습서 수준의 문제 수준과 양으로는 어렵습니다.
고등 1학년 내신 1-2등급 구간은 일단 문법이 완벽해야 합니다.
문학은 선택지를 읽어내는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통상 1번-5번. 선택지에 있는 개념을 작품에 적용할 능력이 없어서 틀려옵니다. 에를 든다면, ~ 관습적 상징을 드러내는 자연물을 활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이라는 선택지가 있다고 한다면, 관습적 상징이라는 말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고등 1학년 내신 1-2등급 구간은 수능 모의고사 성적과 겹칩니다. 평상시에 수능 국어 능력이 있어야 학년이 올라갈 수록 감당이 됩니다.
쓰기-읽기. 국어 교과서 상에 토론이나, 작문 같은 내용들입니다. 보기에는 대단히 쉽고, 공부 할게 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그래서 틀려옵니다. 중학교와 다르게 고등 국어 내신은 지문 생략이 많습니다. 그래서 자습서를 볼 때는 쉬운 내용이 시험에서는 어렵습니다. 이런 파트는 모조리 외운다는 마인드로 접근해야 합니다. 그런데 성적 구간이 낮은 학생들은 이게 안됩니다.
요약.
1. 문법은 완벽하게 이해하고, 암기하고, 많이 풀어본다.
2.문학은 폭 넓게, 시험 범위에 얽매이지 말고 통크게 공부한다.
3.읽기 쓰기는 주석까지 외운다는 마인드로.
일반고 기준 1등급이 보통 틀린 갯수로 보면 0-1 사이가 많습니다. 200명 기준 8명 안에 들어간다는 것부터 어려운 일입니다. 통상 시험 보기 2주 전쯤 내신 범위가 통보되고, 진도도 시험 직전까지 나갑니다. 구조가 이러하다 보니, 내용별로 미리 준비가 되어있지 않으면 2-3주 내신 공부 열심히 한다고 해서 성적에 큰 변화가 있기 어렵습니다. 더욱이 수학 공부 하고, 영어 하고… 남는 시간에 국어를 할려고 하니…. 더욱 그렇겠죠.
짧은 경험. 짧은 생각 도움 되길 바랍니다.
1. 모ah
'22.5.12 7:58 PM (61.98.xxx.8) - 삭제된댓글선생님, 혹시 메일로 연락좀 주시겠어요? mrpak0206@naver,com
2. 나는나
'22.5.12 8:02 PM (39.118.xxx.220)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3. 고1맘
'22.5.12 8:03 PM (210.100.xxx.239)어렵게 쓰신 글에 메일연락 요구는 좀ㅜ
감사합니다
국어가 참 힘들더라구요
문법과 문학은 열심히한만큼 나오는데
비문학은 대비도 어렵구요
아이에게 보여주겠습니다4. 이것도
'22.5.12 8:07 PM (117.111.xxx.129)상식적으로 교과서 진도 나가고 그 범위 포함에 수능형 문제 내는 학교의 경우 방어책.
교과서도 제외하고 자율로 모고 범위 숙제내주면서 유사 외부지문이 시험범위인 대책없는 학교들은 대비가 잘 안되죠.
그냥 평소 잘본 애들이 잘봐라 개념.5. T
'22.5.12 8:25 PM (220.117.xxx.65) - 삭제된댓글오~~ 아이 없는 제가 다 감사하네요. ^^;;
전 화학강산데 올해 고1 통과 학생이 어마무쌍하게 많아요.
이 국어강사님처럼 멋지게 정리해드리고 싶지만 통과는 딱히 어렵지 않아서.. ㅎㅎ
학교 주변 내신관리 잘해주는 과학전문 학원을 보내시는게 답입니다. ^^6. 고1
'22.5.12 8:29 PM (175.223.xxx.72)국어 정보 찾던 중이었어요!
감사합니다 ~7. 선생님들
'22.5.12 8:32 PM (112.140.xxx.215)국어 학원에서 내신하고 있습니다.그리고..집에서 혼자 푼다고 매삼비를 사줬는데 너무 어렵답니다.어떤 문제지를 사면 될까요>?
8. ㅇㅇㅇ
'22.5.12 8:45 PM (125.176.xxx.133) - 삭제된댓글고1 기말시험 준비에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9. ..
'22.5.12 8:49 PM (58.121.xxx.222)고1국어 공부법조언 감사합니다.
10. …
'22.5.12 8:58 PM (106.241.xxx.90)교과서를 사용하지 않는 전사고나 몇몇 튀는 학교는 중학교 때 고3 수준까지 일정 수준 학습이 이루어져야 성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현 중2 애들 중에도 수능 기출 문제를 주고 이게 왜 답인지 설명하라고 하면 설명하는 애들이 꽤 있습니다. 이런 애들이 그런 학교에 갔을 때 경쟁력이 있겠죠.
그리고 교과서를 쓰지 않는 학교는 사교육이 수업보다는 자료적 측면에서 중요합니다. 아니러니하죠.11. …
'22.5.12 9:00 PM (106.241.xxx.90)고1 기준. 모의고사 성적이 4-5등급은 고1 기출 수준에서 모의고사 연습. 3등급 수준은 고1-2 수준. 1-2등급은 고3 수준을 풀어야 뇌에 자극이 옵니다. 다만, 3등급 이하는 혼자서는 수능 공부가 어렵습니다.
12. ...
'22.5.12 9:05 PM (110.13.xxx.200)나름의 방법이 다 있는데 애가 공부를 안하는게 문제네요.. ㅠ
13. 나무늘보
'22.5.12 9:10 PM (122.35.xxx.230)어렵네요...
좋은 정보주셔서 감사해요14. 고1맘
'22.5.12 9:15 PM (210.100.xxx.239)고3 수준을 풀어야한다더니
진짜네요
이번 중간고사도 교과서랑은 아무 상관없이 나왔습니다
일반고예요15. 고1
'22.5.12 9:17 PM (210.96.xxx.10)지금 고1이에요...당장 기말고사 준비에 가장 효과적인게 뭘까요?
학군지에서 중간고사는 3등급 입니다.
다른 과목은 수학 과학 1등급
한국사 사회 영어 2등급 입니다
국어가 힘드네요16. 매니큐어
'22.5.12 9:17 PM (124.49.xxx.36)이번 국어를 정말 못봐서 저나 아이나 충격받았네요. 두고두고 보면서 읽고 아이에게도 알려줄꺼예요. 감사합니다.
17. …
'22.5.12 9:23 PM (106.241.xxx.90)잘하는 애들이 많은 학교는 틀린 갯수가 같아도 배점에서 등급이 나뉘기도 합니다. 보통 이런 학교는 중상 난이도 수준으로 문제가 나오면, 틀린 문항 수가 등급이 되죠. 이런 경우 공부가 문제라기 보다는 시험을 보는 과정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적지 않게 있습니다. 중간 고사 시험 문항 중 틀렸던 사고 과정을 복기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정답이 아닌 오답을 고른 이유와 과정을 찾아봐야 같은 실수를 줄일수 있다고 봅니다.
18. 국어공부법
'22.5.12 9:33 PM (125.182.xxx.65)저장합니다.
19. 레몬
'22.5.12 9:43 PM (1.250.xxx.226)국어공부법 감사합니다.
20. 알리사
'22.5.12 10:09 PM (119.194.xxx.130)감사합니다~
21. ㄱㄱ
'22.5.12 10:13 PM (125.178.xxx.39)고1이 모고 1~2등급 나오면 고3수준 문제를 풀어야 하다고 하셨는데고3모고랑 수능기출 문제로 공부해야 한다는 거죠?
근데 그렇게 하면 나중엔 풀 문제가 없어진다 그런말도 있던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22. …
'22.5.12 10:53 PM (59.27.xxx.244)고3 기출이. 1년이면, 교육청 4회. 평가원 3회. 총 7회분이 생산됩니다. 2007-8년 시기 기출들도 좋은 문제들이 있어서…. 대충 15년*7회만 잡아도 100회가 넘습니다. 여기에 사설 모의고사, ebs시리즈, leet 등등 문제가 부족한 학생은 소수입니다.
고1 - 고2 내신을 전제로 기출들 중 문학 중심으로 공부하길 권합니다. 기출 문제와 해설지 구하는 곳 많고, 인터넷에 작품 치면 작품 해설 찾는 것도 어렵지 않습니다. 아울러 고2 문학 기출도 문제 난이도만 보면 고 3과 큰 차이가 안납니다.23. …
'22.5.12 11:01 PM (59.27.xxx.244)아울러 우리가 수능 기출을 풀어본다는 건. 시험의 구조와 유형에 맞게 공부를 하기 위함입니다. 준비가 된 학생이라면 수능 기출 공부를 뒤로 미룰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되려 수능 직전에 기출을 풀어보는 것이 도움된다는 이야기가 괴담? 이라고 봅니다. n수생이 고득점인 이유와도 모순되지요.
24. ㄱㄱ
'22.5.12 11:17 PM (125.178.xxx.39)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25. ...
'22.5.12 11:41 PM (123.213.xxx.7)국어내신공부법 감사합니다
26. 신
'22.5.13 12:17 AM (122.35.xxx.78)지금 중3인데요
여름방학부터 고등국어준비반 수업을 들어두는게 좋을까요?
문법부터시작하면 내년3월에 마치는 커리큘럼이던데..
중등내신위주 국어학원도 이미 다니고 있는데 이걸그만두고 고등준비를 하는게 맞을까요?27. 선생님
'22.5.13 12:51 AM (118.235.xxx.100)국어공부법 큰 도움이 되네요.고3수준 모의고사 풀 능력까지 학원 다니고 자사고 들어가서 학원 이용할 수 없다면 선생님이 말씀하신 기출 들을 혼자 풀어도 도움이 될까요?혼자 공부할때 팁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그리고 최근 기출 외에 다른 기출들은 ebs외에 책이나 다른 자료로 어떻게 구할수 있을까요?
28. ㅇㅇ
'22.5.13 2:10 AM (125.185.xxx.252)원글님 글 정말 잘 쓰시네요
지금껏 봐온 국어공부법 중에 가장 이해가 잘 됩니다
----
118님 모의고사기출 마더텅 생각나네요29. 위에
'22.5.13 2:16 AM (211.206.xxx.180)중3부터 고등국어 대비하면 당연히 좋습니다.
막상 고등 가면 1학기에 문법만 음운, 맞춤법이 나오는데
이것만 내신 따라잡기도 만만찮아요.
모의고사 각 영역별 독해법은 또 다른 문제라, 은근 배울 게 많습니다.30. ㅇㅇ님
'22.5.13 7:12 AM (118.235.xxx.100)마더텅 다 풀면 다른 기출은 어떤책이 있을까요?
31. …
'22.5.13 8:06 AM (112.166.xxx.184)소위 서울대 많이 보내는 상위 랭킹 학교에 진학해서 잘하는 애들은…. 일단 수학이 많이 탄탄하고, 영어에 부담을 느끼지 않고, 과학 선행이 되어 있는 애들이 많더군요. 저 정도 수준의 애들은 국어의 경우도 문학 일부를 제외하고는 혼자서도 매우 잘 합니다. 내신 범위에 해당하는 문제와 자료. 약간의 질문 정도만 필요한 학생들이죠.
32. …
'22.5.13 8:20 AM (112.166.xxx.184)기출 공부는 예를 들어 고2 독서 기출 중 독서 지문을 공부한다면..
1. 시간을 재고 문제를 푼다. 2. 정답 확인 후 지문에 대한 문단 요약이 가능한지, 글을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3. 문제 정답과 오답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확인한다.
저렇게 하면 능력에 따라 지문 당 2-30분 정도 소요되는 아이부터 1시간 넘게 걸리는 아이도 있습니다. 전자라면 단계를 마치고 고3으로 넘어가는 것이고. 후자라면 고1로 내려와야죠. 다만 후자는 혼자 공부할 능력이 없다고 봐야 합니다.
이해가 되면 설명이 가능해야 합니다. 설명이 가능하면 기출 공부를 잘하고 있다고 봅니다.33. …
'22.5.13 8:27 AM (112.166.xxx.184)서울시 교육청. 네이버 카페 등등 자료를 무료로 구할 수 있는 곳은 많습니다. 다만, 자료가 너무 많다보니 선별이 어려운 것이죠. ebs 수특이나 수완이 혼공하기에 해설이 좋은 편이라 생각합니다. 가격도 저렴하고. 인터넷 서핑 해보시면 지난 ebs 교재 pdf 파일 찾을 수 있습니다.
34. 수특 수완
'22.5.13 8:40 AM (118.235.xxx.100) - 삭제된댓글이번 년도꺼 다 풀었으면 이전 년도꺼 계속 구해서 풀면 된다는 말씀이시죠?
35. 수특 수완
'22.5.13 8:42 AM (118.235.xxx.100)이번 해꺼 다 풀었으면 이전 년도분 수특 수완 구해서 풀면 된다는 말씀이시죠? 리트미트 문제도 그냥 문제 구해서 풀어도 될까요? 아님 수업이 필요한가요? 한달에 한번 나오는 기숙학교라 걱정이 되어서요.ㅜㅜ
36. 국어
'22.5.13 9:35 AM (211.250.xxx.65)도움 많이 됩니다. 감사히 정보 얻어가요~
37. 늦게
'22.6.9 7:43 PM (39.112.xxx.54)읽고 도움 받아갑니다. 감사합니다.
38. 봄소풍
'22.7.27 4:44 AM (223.38.xxx.80)국어 비법 감사합니다
39. ㅎㅇ
'23.7.16 6:46 PM (222.239.xxx.45)❤국어공부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