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금리인상 부동산 정말 상관 있을까요,

삐용 조회수 : 2,994
작성일 : 2022-04-21 09:41:06
금리가 예전 부모님 세대처럼 10% 이렇게 되는것도 아니고 많이 올라봤자 1% 씩만 오르는데 상관 있나요,,?
IP : 116.33.xxx.19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일부
    '22.4.21 9:45 AM (211.201.xxx.144)

    대출없이 산사람은 버티면 되는거지만, 영끌해서 산 사람들이 월수입은 한정된 상태에서 원리금 상환액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 문제가 생기지요. 던지는 사람이 하나둘 생기면 그게 하락한 집값이 되는거고, kb부동산에서 하락한 집값을 반영하면 은행이 대출금 상환을 요구하고, 상환 못하면 경매가고..그러면서 집값이 떨어지겠죠.
    나는 대출없이 샀으니까 버틸꺼야 하는 사람은 버티면 되요.

  • 2. 굉장함
    '22.4.21 9:47 AM (119.203.xxx.70)

    계산해보세요.

    1억에 1%씩 오르면 어느정도 감당할 수 있는지....

    지금까지 팬데믹으로 유동성 장세 엄청 키워놨는거 거품 꺼뜨릴려고 벼르고 있는데 부동산은 작년 10월이

    고점 거기서부터 서서히 내려오고 있는 중임다......

    부동산이야말로 금리 영향 가장 많이 받죠.

    우리나라 전세제도 자체가 금리를 이용한 제도인거 모르시는건 아니시죠?

  • 3. 굉장함
    '22.4.21 9:48 AM (119.203.xxx.70)

    그리고 대출이자2번이상 연체하면 100% 은행에서 경매가능합니다.

  • 4. 야야야
    '22.4.21 9:51 AM (116.32.xxx.191) - 삭제된댓글

    이게 이론상으로 댓글처럼 되야 하는데 실제 그동안 거례와 금리를 비교해 보면 반비례였더라고요. 누가 맞을지 지켜 보는 중이에요.

  • 5. 야야야
    '22.4.21 9:52 AM (116.32.xxx.191) - 삭제된댓글

    이게 이론상으로 댓글처럼 되야 하는데 실제 그동안 거래와 금리를 비교해 보면 반비례였더라고요. 누가 맞을지 지켜 보는 중이에요.

  • 6. 예전
    '22.4.21 9:56 AM (183.98.xxx.25) - 삭제된댓글

    리먼여파로 우리나라 금리가 갑자기 오른 적이 있어요.
    그때가 08년도말 ~09년도초반..
    이때 변동금리(신용) 갑자기 7프로(일부 8프로까지)가 되었어요.
    (그전에는 5~6프로였었거든요.)
    그 기간동안 강남도 수억 하락한 급매 나와서
    그때 정확히 제 지인이 압구정 현대 수억 하락한 급매 잡았어요.
    본인것도 하락했지만 그 전에 꿈꿀수 없었던 최상급지 고가 급매중 더 많이 떨어진거 보이니까
    본인거 싸게 던지고 압구정 현대 잡은거죠.
    물론 이 사람은 그만큼 차액을 어디선가 빌려온거에요.
    대부분은 최상급지 급매가 나와도 내것도 안 팔리고 차액도 더 이상 안 구해지고
    (왜냐면 이미 영끌로 빼도 박도 못하는 상황이라)
    마냥 바라만 보고 있는거에요.
    그래서 영끌이 나쁜겁니다.
    투기꾼들이 무조건 영끌영끌 이거 아주 나빠요.

  • 7. 예전
    '22.4.21 9:56 AM (223.38.xxx.150)

    리먼여파로 우리나라 금리가 갑자기 오른 적이 있어요.
    그때가 08년도말 ~09년도초반..
    이때 변동금리(신용) 갑자기 7프로(일부 8프로까지)가 되었어요.
    (그전에는 5~6프로였었거든요.)
    그 기간동안 강남도 수억 하락한 급매 나와서
    그때 정확히 제 지인이 압구정 현대 수억 하락한 급매 잡았어요.
    본인것도 하락했지만 그 전에 꿈꿀수 없었던 최상급지 고가 급매중 더 많이 떨어진거 보이니까
    본인거 싸게 던지고 압구정 현대 잡은거죠.
    물론 이 사람은 그만큼 차액을 어디선가 빌려온거에요.
    대부분은 최상급지 급매가 나와도 내것도 안 팔리고 차액도 더 이상 안 구해지고
    (왜냐면 이미 영끌로 빼도 박도 못하는 상황이라)
    마냥 바라만 보고 있는거에요.
    그래서 영끌이 나쁜겁니다.
    투기꾼들이 무조건 영끌영끌 이거 아주 나빠요.

  • 8. ...
    '22.4.21 10:02 AM (175.112.xxx.167)

    기준금리 0.5프로일때 다들 3억~6억씩 받았어요
    예전과는 대출 총액수가 다릅니다
    지금 기준금리 1.5프로..
    이것만 해도 세배에요
    2.5프로 되면 다섯배입니다
    감당 가능할까요?

  • 9. 예전
    '22.4.21 10:08 AM (223.38.xxx.150) - 삭제된댓글

    영끌이 빛이 나는건 저런 폭락이 와서 일생일대의 급매를 잡을때 필요한거지 분위기에 편승해서 영끌하는건 결국 거기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족쇄가 되요.
    무조건 1주택은 옳고 영끌이 옳다?
    그건 영끌한 내 집이 다른곳보다 더 많이 올랐을때 이야기죠.
    하지만 무주택 1주택자가 영끌한 곳이 그런것이 아니잖아요?
    그래서 무주택자들더러 영끌 부추기는 투기꾼도 자칭 전문가들이 사쁜거에요.
    영끌은 폭등기때 따라 히는게 아니라, 폭락기때 모두가 바라만 볼때 하는거에요.
    물론 저런 사기꾼들이 설치도록 판 깔아준 정치인들이 제일 나빠요

  • 10. 역사적으르
    '22.4.21 10:11 AM (211.234.xxx.42)

    미국이 자국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빅스텝으로 올릴때마다 IMF가 터졌어요.
    지금..이집트, 스리랑카도 IMF 구제금융 신처했지요.
    우리나라는 그 수준까지는 아니겠지만..타격은 분명히 있어요.

  • 11. 예전
    '22.4.21 10:13 AM (223.38.xxx.150)

    영끌이 빛이 나는건 저런 폭락이 와서 일생일대의 급매를 잡을때 필요한거지, 분위기에 편승해서 영끌하는건 결국 거기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평생의 족쇄가 되요.
    무조건 1주택은 옳고 영끌이 옳다?
    그건 영끌한 내 집이 다른곳보다 더 많이 올랐을때 해당되는 이야기죠.
    왜냐면 무주택 1주택자가 영끌한 곳이 그런곳일리가 없잖아요?
    그래서 무주택자들더러 영끌 부추기는 투기꾼도 자칭 전문가들이 사쁜거에요.
    경험상 영끌은 폭등기때 따라 히는게 아니라, 폭락기때 모두가 바라만 볼때 들어가는게 의미있는 영끌이에요.

    물론 저런 사기꾼들이 설치도록 판 깔아준 정치인들이 제일 나빠요

  • 12. ......
    '22.4.21 10:16 AM (117.111.xxx.9)

    여태 1프로대 저금리고 유동성이 너무 풀려서
    전세계가 부동산에 몰린거거든요
    이제 금리오르면 부동산으로 돈이 안가요.
    그걸 버티고 투자한사람은 10년 넘게 존버하다보면
    이번같은 대박을 맞이하는거긴한데
    대부분은 못버팁니다.
    심지어 지금 경매도 사람들이 안가요.....
    경매보다 급매가더싸니까....

  • 13. 제일
    '22.4.21 10:17 AM (223.38.xxx.150)

    역겨운게 투기꾼들이 자칭 전문갸라는 인간들이 무주택자 걱정하듯이 어서 영끌해라, 또 대출 왜 막느냐, 사다리 왜 끊냐.

    하는거 진짜 너희들 몇살이니? 책으로만 부동산 경험했니?
    묻고 싶더군요.

    진짜 무주택자들을 위한다면 연고도 먼 지역 영끌하라고 선동할게 아니라 영끌 안 해도 될 만큼 분양가 낮춰서 싸게 분양하도록 많이 짓도록 나라에 푸쉬를 했어야죠.
    에라이 사기꾼들!
    요새는 목소리도 없구나

  • 14. 여유11
    '22.4.21 10:20 AM (14.49.xxx.90) - 삭제된댓글

    몇억 대출 받은
    사람들은 1프로 오르는 것도 커요 근데
    1프로만 오르는게 아니니까요

  • 15. ...
    '22.4.21 10:23 A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미국이 연말 기준금리 3% 이상 잡고 있어요.
    그럼 우리는 최소 4% 이상 가야하고....

    기준금리가 이러면 대출금리는 최소 6% 이상이예요. 신용대출은 더 하겠죠.

    과거 금리가 올라도 부동산 올랐다 하는 주장은요.....초고도 경제성장기 단계였기 때문에 가능한 일 입니다.

    지금 경제성장률 3% 찍기도 어려운 선진국 진입국가에서, 게다가 미국이 긴축한다는데, 무슨 수로 한국만 나홀로 고도 성장해서 금리인상으로 이자 팍팍 부담해서 부동산 막 사들이겠습니까??

  • 16. ...
    '22.4.21 10:24 A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아참....내년에도 금리인상 추세는 계속이예요......올해만 그러는게 아닙니다.

  • 17. ....
    '22.4.21 10:25 AM (61.254.xxx.83) - 삭제된댓글

    부동산 가격 임계점을 주담대 평균 6.5% 정도로 본다네요.
    투기 관점에서 접근한 영끌 수요자들에게는 금리 인상이 대타격 수준이겠죠.

    신임 한은총재의 소신 발언들
    그리고 요즘 나오는 뉴스들 관심 있게 살펴보세요.

    자영업자 폐업율 최고치, 파산율 최고치, 기업들 절반 가까이는 벌어서 이자도 못 갚는다..
    인터넷은행, 중·저신용자 대출 가속화
    가계대출 몸집 키우는 인터넷은행, 부실 뇌관 되나
    회수 포기한 대출 9000억, 저축銀 “부실 터질라” 속앓이

    그리고 상호금융권도 건전성 1등급에서 2등급으로 내려간 곳도 유의미하게 눈에 띄고
    회수 포기 대출과 연체율 ... 몇 년 전에도 우려라는 글 본 적 있는데
    지금은 그 보다 두 배 넘는 수치도 제법 눈에 띄더라구요.

    그게 뭘 의미하는지는 말씀 안 드려도 이해하시리라 믿어요.

  • 18. .....
    '22.4.21 10:27 A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아참....

    내년에도 금리인상 추세는 계속이예요......올해만 그러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앞에 누가 쓰신 것처럼, 과거에는 영끌해봤자 2~3억 이었어요.
    근데 이번은 변두리 아파트도 기본이 최소 5억 이상 대출이죠.
    기준금리 0.5~1% 일 때 대출들 받았으니, 버티기 어렵습니다. 특히, 전세대출 연쇄적으로 끼고 다주택 매매한 사람들 중 아직도 들고 있는 경우에는 더더욱요.

  • 19. 많이
    '22.4.21 10:31 AM (124.5.xxx.197)

    많이 있지 않나요?
    5억에 5%면 한달 얼마예요.

  • 20. 7프로
    '22.4.21 10:37 AM (14.49.xxx.90)

    올해 7프로 까지 오를거리 보던데요

  • 21. ...
    '22.4.21 10:49 AM (49.167.xxx.50) - 삭제된댓글

    영끌이야 어렵겠죠 5억대출받아 집 샀는데 주담대금리가 7%면 350만원 아닌가요?
    한달 이자만요
    웬만한 수입으론 그거 내고 생활비하고 그러기 어렵죠

  • 22. ..
    '22.4.21 10:56 AM (59.13.xxx.182)

    역전세난 공포가 온다!
    https://www.youtube.com/watch?v=lByqPsK3nkk

  • 23. dd
    '22.4.21 11:09 AM (61.252.xxx.83)

    금리인상과 부동산,,,참고합니다.

  • 24. 뮤즈
    '22.4.21 12:12 PM (175.207.xxx.161)

    참고해요 부동산~~

  • 25. ..
    '22.4.21 11:58 PM (211.117.xxx.234)

    위의 시나리오대로 집값 좀 떨어지면 좋겠네요.

  • 26. ...
    '22.4.23 5:44 AM (182.215.xxx.37)

    집값 정상화되었음 합니다
    급등전으로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33087 '정호영 동기' 경북대병원장은 딸을 직원으로 채용.. '아빠 찬.. 11 잠짬 2022/04/21 2,731
1333086 꿈이 그냥 일상이에요 2 ㅇㅇㅇ 2022/04/21 1,618
1333085 유퀴즈에서 문통 출연을 거부했단 건가요? 21 ........ 2022/04/21 5,280
1333084 윤석열이 했던 말.. 5 예화니 2022/04/21 2,780
1333083 보험 설계사 3 …. 2022/04/21 1,621
1333082 관장 이틀 연속해도 될까요? 1 ㅇㅇ 2022/04/21 1,972
1333081 유투브 최강욱 의원 얘기 들으니 검찰들 진짜 깡패네요 18 oo 2022/04/21 3,368
1333080 오늘 코로나 확진나온 사람과 어제 마주보고 커피한잔 마셨으.. 5 코코 2022/04/21 2,561
1333079 통영에 팬션 또는 숙소 추천해주셔요~ 4 여행 2022/04/21 1,557
1333078 김건희 사비로 명품 구입한다는글 13 이런걸 2022/04/21 4,214
1333077 CJ ENM 대표가 명세빈 전남편이네요 40 ..... 2022/04/21 30,228
1333076 한은 자기가 완전무결하다고 생각했나봐요. 7 상상 2022/04/21 2,025
1333075 윤석열)상호주의 원칙 적용 중국인들 한국집 쇼핑 제동 6 .... 2022/04/21 1,673
1333074 ,, 66 야,야 빼라.. 2022/04/21 20,332
1333073 요즘 한라봉맛있나요? 요즘어떤 감귤류가 맛있어요? 5 .. 2022/04/21 1,961
1333072 근데 자녀가 공부안한다고 하소연 하시는 부모님들은 28 애플이 2022/04/21 6,167
1333071 퇴임식은 없나요? 5 살루 2022/04/21 1,577
1333070 제왕적대통령에서 나랏일일꾼으로 5 공무 2022/04/21 855
1333069 주말부부 남편 코로나인데 집으로 온다네요 26 두부 2022/04/21 6,027
1333068 역시 기레기는 쓰레기 - 안 산 선수에게 한다는 질문 9 zzz 2022/04/21 1,758
1333067 생일을 어떻게 보내면 좋을까요? 3 고민 2022/04/21 922
1333066 해방일지 행복팀장의 과거ㅎㅎ 8 이사람임 2022/04/21 3,967
1333065 품격 갖춘 사람 어떻게 될 수 있을까요? 5 ㅇㅇ 2022/04/21 2,689
1333064 고3 딸..너무 힘듭니다. 31 징글징글 2022/04/21 18,885
1333063 민주당 검찰정상화를 위한 유투브 라이브 진행중입니다. 7 어제 2022/04/21 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