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가 경험한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들

.... 조회수 : 6,951
작성일 : 2021-12-21 11:56:48
게시판 글 보고 든 생각인데요
사람이 살면서 자기 인생에 영향을 주는 몇 사람이 있는데
부모빼고는 가장 큰 영향을 주는게 첫 직장입니다,
그리고 그 첫 직장의 상사 (과장)임

왜 그런가하면 첫 직장을 제대로 구해야 합니다
직장 구성원들의 수준이 높아야 진짜 제대로 된 사회 생활을 할 수 있고 배웁니다
특히 일하는 법을 배우는것은 첫직장의 첫과장이 절대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제가 경험한거고 느낀거라 자신있게 말합니다
제 첫직장은 삼성이었는데 제가 학교에서 부모에게서 친구에게서 알게 된 모든것보다
첫 직장인 삼성에서 배우고 동료 선배들에게서 배운게 제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더군요
그만큼 대학 갓 졸업한 졸업생은 어리버리 그 자체이고 학교에서 배운것 거의 쓸 모 없더군요
첫 과장님 지금도 존경스러운게 일을 대하는 관점과 접근법을 그 분에게 다 배웠습니다
아무 직장이나 사회경험한다며 덜렁 취직했다가는 낭패 볼 수 있습니다
청소년때 일베 사이트 알거나 일베충인 친구 만나면 평생 불치병 걸리는것처럼
첫 직장의 선택이 생각보다 인생에서 저에게 준 영향이 지나고 보니 가장 크더군요
IP : 121.183.xxx.204
3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노노
    '21.12.21 11:59 AM (125.190.xxx.212)

    그게 직장이라서가 아니라 그냥 첫직장 상사가 원글님께 그런 사람이었던거에요.
    저는 첫직장에서의 사람들 별로 기억에도 없는걸요.
    어느 삶의 부분에서든 중요한 사람이 있죠.

  • 2. ㅇㅇ
    '21.12.21 11:59 AM (121.157.xxx.71) - 삭제된댓글

    꼰대
    우물 안 개구리

    이런 이야기 사석에서는 하지 마시길.

  • 3. 동감입니다
    '21.12.21 12:01 PM (203.247.xxx.210)

    저는 그 분에게 배우지는 않았는데(불명예 퇴직)
    그 회사에서 제가 만들어졌어요

  • 4. ...
    '21.12.21 12:02 PM (118.221.xxx.29) - 삭제된댓글

    저는 두번째 직장에서 인생의 롤모델을 찾았어요.
    제 직업관에 큰 영향을 미쳤고요.
    첫 직장에서는 전혀..
    원글님이 원하던 멘토가 그냥 첫 직장에 있었던 것 뿐입니다.

  • 5. 맞아요
    '21.12.21 12:03 PM (183.98.xxx.115)

    인생이 결국은
    어떤 그룹에 속해서 어떤 사람들과 영향을 주고 받느냐에 따라
    정해지더라구요.

  • 6. ...
    '21.12.21 12:03 PM (121.183.xxx.204)

    당연히 반론 많을걸로 예상합니다
    왜냐하면 나에게 맞는 약도 다른 사람에게는 독이 될 수 있으니까요
    개인차 인정하고 상황도 다 다르다는것 인정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첫 직장과 첫 과장이 자기 인생에서 영향을 주는건 사실입니다
    긍정이든 혹은 부정적이든

  • 7.
    '21.12.21 12:04 PM (211.196.xxx.94)

    첫 직장이 사회적 레벨에 영향을 많이 준다는 것에는 동의합니다
    근데 반드시 그렇다고 확정짓는 건 폭력적이기도 해요
    누군들 첫 직장을 좋은 데로 가고 싶지 않겠어요?
    그러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이런 얘기 하는 건 폭력이에요...
    마치 명문대 나와야 한국에선 사람 구실 해. 너도 알지? 그러니 너도 명문대 가라. 그래야 되지 않겠니?
    아니 그걸 몰라서 못하냐구요...

  • 8. 동감
    '21.12.21 12:06 PM (182.216.xxx.43) - 삭제된댓글

    시작이 중요.
    첫직장 꼬이면 다시 시작 해야 하는 만큼 시간낭비.근데 첫직장 그게 순 운빨.첫직장이 좋을지 나쁠지
    그걸 어찌 아나요. 단 눈치 빠르게 아니다 싶을때 바로 손절 하고 새로 찾는 현명함이 중요.

  • 9. ..
    '21.12.21 12:06 PM (211.36.xxx.232) - 삭제된댓글

    매우 동의합니다.

    더불어서 대학이름 서울대 보낼 거 아님
    너무 대입에 돈 들이붇지 마시고 인서울 왠만한 데 가면
    그 때부터 본격적으로 취업 준비에 돈 아 끼지 말고 지원하세요
    제가 아래에도 적었는데 서울대 나온 거 아니면
    부모가 취업 얼마나 지원해주느냐 여부에 따라
    성대 나오나 건대 나오나 충분히 똑같은 직장 갈 수 있어요.

    중요한 건 “양질의 사람”들이 모인 직장에 “제 나이에”
    들어가 “제대로된 사수” 만나 사회생활 시작해야 인생이 안 꼬여요.

    대학은 삼수 사수 할 수 있지만
    취업은 그게 안 됩니다. 반드시 이십대 후반 안에 승부 봐야돼요
    대학이 아니라 첫 직장이 사회 지위 인생 결혼 사회인으로서의 세계관
    그 모든 걸 좌우합니다.

    명심하세요.

  • 10. ㅎㅎㅎ
    '21.12.21 12:07 PM (121.157.xxx.71) - 삭제된댓글

    개인차 인정하고 상황도 다 다르다는것 인정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첫 직장과 첫 과장이 자기 인생에서 영향을 주는건 사실입니다

    ——

    아니라고요.
    제발 강요하지 말아요.

  • 11. ..
    '21.12.21 12:10 PM (211.36.xxx.232) - 삭제된댓글

    매우 동의합니다.

    더불어서 서울대 보낼 거 아니면
    너무 대입에 돈 들이붇지 마시고 인서울 왠만한 데 가면
    그 때부터 본격적으로 취업 준비에 돈 아 끼지 말고 지원하세요.

    제가 아래에도 적었는데 서울대 나온 거 아니면
    부모가 취업 얼마나 지원해주느냐 여부에 따라
    성대 나오나 건대 나오나 똑같은 직장가게 돼요.

    중요한 건 “양질의 사람”들이 모인 직장에 “제 나이에”
    들어가 “제대로된 사수” 만나 사회생활 시작해야 인생이 안 꼬여요.

    대학은 삼수 사수 할 수 있지만
    취업은 그게 안 됩니다. 반드시 이십대 후반 안에 승부 봐야돼요
    대학이 아니라 첫 직장이 사회적 지위, 결혼, 사회인으로서의 세계관과 향후 발전 가능성, 그 모든 걸 좌우합니다.

    대입이 아니라 “취업”이 인생을 가르고 그게 진검 승부이니
    대입에 힘 빼지 말고 일단 대학 들어간 후 취업에 모든 승부수와
    지원을 본격적으로 아끼지 말아야 돼요.

    명심하세요.

  • 12.
    '21.12.21 12:14 PM (1.245.xxx.138)

    저도 생애처름 첫직장이, 동아제약이었어요^^ 상고 졸업하기전 여름방학끝나고 곧 취업추천받아 나가게 되어서
    그길로 사회생활을 하게 되었어요.
    참 어리숙하고~~ 실수투성이였는데도 그런 저를 참 많이 감싸주고..
    나이가 많으신분이셨어요, 가끔 생각나긴해요, 괜찮을까? 혹시 실수한것에 대해서? 가끔, 스스로 제게 물어봐요.그럼 늘 그랬듯이 괜찮아 라고 하셨던 그 과장님모습 떠올라요.
    네,,그런 경험 저도 있네요 한번 더 있으면 좋겠어요.

  • 13. ㅇㅇ
    '21.12.21 12:17 PM (223.39.xxx.9)

    첫 직장 상사가 누군지 기억도 안나는데..

  • 14. ..
    '21.12.21 12:24 PM (223.62.xxx.142)

    원글 말씀 다 맞는데~

  • 15. ㅇㅇ
    '21.12.21 12:24 PM (175.208.xxx.191)

    그래서 첫끝발이 개끗발이라고 하잖아요. 첫단추 잘끼우면 좋아요. 아닌경우도 있지만 이건 스카이 가면 좋은거랑 같은 이치지요

  • 16. ..
    '21.12.21 12:27 PM (117.111.xxx.95) - 삭제된댓글

    그래서 학벌, 명문 특목고, 명문 일류대 입학하는거에 많이들 밤새고 목숨걸죠

    고급진 학벌, 주변환경 중요해요

  • 17. ㅇㅇ
    '21.12.21 12:31 PM (175.195.xxx.6)

    저는 첫직장에서의 사람들 별로 기억에도 없는걸요..' 2222

  • 18. ㅋㅋ
    '21.12.21 12:31 PM (110.70.xxx.61)

    님의 경우는 그러하고
    다른 사람의 경우는 또 다르죠

  • 19. ..
    '21.12.21 12:32 PM (49.172.xxx.227) - 삭제된댓글

    학교다닐때 배웠잖아요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라고
    딱 그거네요
    저도 첫 직장이 삼성이었는데 본문에 하나도 동의 못하겠습니다.
    상사가 영향 준것도 없고

  • 20. ㅎㅎ
    '21.12.21 12:35 PM (1.126.xxx.64)

    저도 동감해요. 전 막 고졸이였지만 부장 과장 다 고대 성대 이랬나.. 세계적인 기업이였는 지금도 거기서 배운 걸로 잘나가요. 부장님이 가르켜준 거 - 다른 사람들 다 바보라고 생각하고 검토 잘 하라고..

  • 21. ...
    '21.12.21 12:36 PM (1.241.xxx.220)

    인생이 결국은
    어떤 그룹에 속해서 어떤 사람들과 영향을 주고 받느냐에 따라
    정해지더라구요.
    ------

    이 말에 동의요. 인생 지나고보니 그래요.
    그래서 학교도 명문대, 직장도 좋은 곳...
    물론 확률상 그렇다는 거에요~

  • 22. 결국 자기가
    '21.12.21 12:43 PM (114.206.xxx.196) - 삭제된댓글

    속한 그룹이 자기 스펙인거죠
    명문대 좋은 직장...사람들이 원하는 곳
    인성을 떠나 대부분 성실하게 살아온 사람들이 속하잖아요
    내가 어떤 그룹에 속하느냐가
    당연히 크게 영향을 주는건 사실이죠

  • 23. ......
    '21.12.21 12:47 PM (121.125.xxx.26)

    좋은 인연을 만나거죠. 꼭 직장상사가 아니여도~

  • 24. 211.36님
    '21.12.21 12:50 PM (118.235.xxx.42)

    매우 동의합니다.

    더불어서 서울대 보낼 거 아니면
    너무 대입에 돈 들이붇지 마시고 인서울 왠만한 데 가면
    그 때부터 본격적으로 취업 준비에 돈 아 끼지 말고 지원하세요.

    제가 아래에도 적었는데 서울대 나온 거 아니면
    부모가 취업 얼마나 지원해주느냐 여부에 따라
    성대 나오나 건대 나오나 똑같은 직장가게 돼요.

    중요한 건 “양질의 사람”들이 모인 직장에 “제 나이에”
    들어가 “제대로된 사수” 만나 사회생활 시작해야 인생이 안 꼬여요.

    대학은 삼수 사수 할 수 있지만
    취업은 그게 안 됩니다. 반드시 이십대 후반 안에 승부 봐야돼요
    대학이 아니라 첫 직장이 사회적 지위, 결혼, 사회인으로서의 세계관과 향후 발전 가능성, 그 모든 걸 좌우합니다.

    대입이 아니라 “취업”이 인생을 가르고 그게 진검 승부이니
    대입에 힘 빼지 말고 일단 대학 들어간 후 취업에 모든 승부수와
    지원을 본격적으로 아끼지 말아야 돼요.

    ---‐-----------222222222222222
    인데요..
    취업에 돈을 아끼지말고 쓰는 방법이 뭐가있을까요?
    부모로서 어떤방법으로 취업에 지원할수있는지 방법
    대략이라도 꼭부탁드려요..

  • 25. ...
    '21.12.21 12:55 PM (59.8.xxx.133)

    동의해요
    직장 다녀도 기본적인 일처리 태도를 모르는 사람 있더군요

  • 26.
    '21.12.21 12:58 PM (39.7.xxx.248)

    저도 매우 동의합니다.

  • 27. ...
    '21.12.21 1:03 PM (110.13.xxx.200)

    직장도 중요하고 윗사수가 정말 중요.
    결국 사람을 잘만나야..

  • 28. ??
    '21.12.21 1:11 PM (211.209.xxx.224) - 삭제된댓글

    ㅇㅇ
    '21.12.21 12:24 PM (175.208.xxx.191)
    그래서 첫끝발이 개끗발이라고 하잖아요. 첫단추 잘끼우면 좋아요. 아닌경우도 있지만 이건 스카이 가면 좋은거랑 같은 이치지요

    ————————

    첫끝발이 개끗발?? 여기나 님이 말씀하신 문맥에 전혀 안맞는 말인데요 ㅎㅎ
    첫단추 잘끼우면 좋다더니 첫끝발이 개끝발은 처음에 좋다가 마지막이 망한거자나요 ㅋㅋㅋ

  • 29. ..
    '21.12.21 1:13 PM (222.233.xxx.215)

    첫 직장의 중요성~~~

  • 30. 케바케
    '21.12.21 1:16 PM (106.101.xxx.108)

    명문대도 좋은사람있고 나쁜사람있고
    길가노전장사에도 좋은사람있고 나쁜사람있어요
    중요한건 나고 내행동이지
    직장이 영원한것도 아니고
    끊임없이 배워서 발전하는게 중요하지요

  • 31. 00
    '21.12.21 1:28 PM (113.198.xxx.42)

    더불어서 서울대 보낼 거 아니면
    너무 대입에 돈 들이붇지 마시고 인서울 왠만한 데 가면
    그 때부터 본격적으로 취업 준비에 돈 아 끼지 말고 지원하세요.

    제가 아래에도 적었는데 서울대 나온 거 아니면
    부모가 취업 얼마나 지원해주느냐 여부에 따라
    성대 나오나 건대 나오나 똑같은 직장가게 돼요.

    중요한 건 “양질의 사람”들이 모인 직장에 “제 나이에”
    들어가 “제대로된 사수” 만나 사회생활 시작해야 인생이 안 꼬여요.

    대학은 삼수 사수 할 수 있지만
    취업은 그게 안 됩니다. 반드시 이십대 후반 안에 승부 봐야돼요
    대학이 아니라 첫 직장이 사회적 지위, 결혼, 사회인으로서의 세계관과 향후 발전 가능성, 그 모든 걸 좌우합니다.

    대입이 아니라 “취업”이 인생을 가르고 그게 진검 승부이니
    대입에 힘 빼지 말고 일단 대학 들어간 후 취업에 모든 승부수와
    지원을 본격적으로 아끼지 말아야 돼요.
    33333

  • 32. 00
    '21.12.21 1:29 PM (113.198.xxx.42)

    다른 사람들 다 바보라고 생각하고 검토 잘 하라고..22222

  • 33. ...
    '21.12.21 1:39 PM (114.124.xxx.249)

    정말 동감합니다. 저도 지나고 보니 그렇더라구요.

  • 34. 글쎄요
    '21.12.21 2:01 PM (220.73.xxx.71) - 삭제된댓글

    전 대학에서도 느꼈어요
    y대 나왔는데 균질의 똑똑한 사람들 사이에서 배울점 많았고요
    특목고 나왔는데 거기서도 배울점 많았어요

    직장도 물론 삼성 갔으니 거기서 배울게 많았겠죠

    그냥 똑똑한 사람들이 많은 집단에서 배울게 많은것 뿐입니다

  • 35. 글쎄요
    '21.12.21 2:04 PM (220.73.xxx.71) - 삭제된댓글

    전 대학에서도 느꼈어요
    서울대 밑에 y대 나왔는데 균질의 똑똑한 사람들 사이에서 배울점 많았고요
    특목고 나왔는데 거기서도 배울점 많았어요

    서울대 이하는 다 똑같다는데 전 똑같은지 모르겠네요
    제 친구들 보면 다들 한자리 잘하고 잘나가고 있거든요
    하버드간애들도 있고 외국에서 자리잡거나 등등 여튼 서울대 이하는
    다 똑같으니 의미 없다고요?
    연대 나와서 서울대보다 더 좋은 미국 하버드 프린스턴등 다 유학갔어요 ㅎㅎ
    뭐가 의미없는지는 잘 모르겠고
    여튼 똑똑한 집단이 도움되는건 사실입니다

  • 36. 글쎄요
    '21.12.21 2:05 PM (220.73.xxx.71)

    전 대학에서도 느꼈어요
    서울대 밑에 y대 나왔는데 균질의 똑똑한 사람들 사이에서 배울점 많았고요
    특목고 나왔는데 거기서도 배울점 많았어요

    서울대 이하는 다 똑같다는데 전 똑같은지 모르겠네요
    제 친구들 보면 다들 한자리 잘하고 잘나가고 있거든요
    하버드간애들도 있고 외국에서 자리잡거나 등등 여튼 서울대 이하는
    다 똑같으니 의미 없다고요?
    연대 나와서 서울대보다 더 좋은 미국 하버드 스탠포드등 다 유학갔어요 ㅎㅎ
    뭐가 의미없는지는 잘 모르겠고
    여튼 똑똑한 집단이 도움되는건 사실입니다

    그리고 직장도 요즘은 첫직장이 뭐 그리 중요한 평생직장시대 아니에요
    3-4년별로 직장 바꾸기도 하고 스타트업도 가고
    직장보다 자기 개인 브랜드를 키우는게 요즘 트렌드입니다

  • 37. .........
    '21.12.21 2:34 PM (175.207.xxx.70)

    사수 중요하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84567 수능이 진짜 폐지될수 있을까요 21 ㅇㅇ 2021/12/21 2,876
1284566 시누이가 제 탓을 해요 16 .. 2021/12/21 5,182
1284565 우장산 롯데캐슬 어때요? 10 이사예정 2021/12/21 2,374
1284564 별 ㅁㅊㄴ 다 본다 - 펌 19 헤어시스터즈.. 2021/12/21 3,329
1284563 궁중팬 또는 웍추천바랍니다 12 뭘 사야될지.. 2021/12/21 2,272
1284562 이수정, ‘김건희 이력의혹 대학 잘 못일 수’ 9 ㅇㅇ 2021/12/21 1,330
1284561 점심 뭐드실건가요? 12 my 2021/12/21 1,812
1284560 이준석 조수진 때문에 김건희 기사가 4 비단주머니 2021/12/21 1,182
1284559 친구 모임 6 만나 2021/12/21 1,789
1284558 크리스마스에 눈이올까요? 드라마 보고 있어요 7 들마 2021/12/21 971
1284557 "윤석열 장모, 60평대 고급아파트 차명보유 의심&q.. 3 2021/12/21 875
1284556 아사리판 국민의힘 근황.ㅋㅋㅋㅋ 16 준석VS수진.. 2021/12/21 2,433
1284555 마이클 샌델, 이재명 후보를 존경하는 마음에 무보수 대담 참여 34 샌델 2021/12/21 2,250
1284554 동성친구는 매일 보고 매일 연락? 6 .. 2021/12/21 2,097
1284553 백신주사는 왜 의사가 놓는건가요? 23 ㅇㅇ 2021/12/21 5,246
1284552 울 아이가 드디어 산타의 비밀을 알았대요. 25 동심 2021/12/21 3,709
1284551 저체중 대딩아들에게 하이뮨 도움될까요?? 4 답변절실 2021/12/21 1,482
1284550 7~12세 지난주 코로나환자 4325명 9 나옹 2021/12/21 1,207
1284549 파워어브도그 보는데요 7 영화 2021/12/21 837
1284548 윤석열....군인아파트 60평은 없나요??? 15 .... 2021/12/21 2,711
1284547 김진국 민정수석의 형님이 올린 글, 제 조카는 조현병입니다.ㅠㅠ.. 23 애고세상에 2021/12/21 3,174
1284546 아침 평지 걷기에 덜 미끄러운 건 등산화가 답인가요? 3 등산화 2021/12/21 1,340
1284545 전직 서울대(?) 교수가 본 김건희 경력 8 ㅎㅎ 2021/12/21 2,493
1284544 메가스터디 1년으로 끊어서 잘 들을까요?? 5 예비고1 2021/12/21 1,868
1284543 결혼식...부모이혼하고 사이 나쁜 분들은 어떻게 하시나요? 12 부모이혼 2021/12/21 3,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