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211116175128376?x_trkm=t
인플레 장기화 가능성에
금값 5개월만에 최고치
"기준금리 3~4% 금방 도달"
시장 가파른 금리인상 점쳐
"자산매입 축소에 속도내고
금리 더 일찍 올려야" 주장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미국이 3~4%면 우리 기준금리는 5프로는 되어야지요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금값 급등에..美 '조기 금리인상론' 등판
... 조회수 : 2,045
작성일 : 2021-11-16 18:08:09
IP : 218.147.xxx.5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
'21.11.16 6:14 PM (182.226.xxx.224) - 삭제된댓글한다는줄...
안하고 있어요
금리인상 안하고 버티니까 의견 나오는거고
금리인상 해야할 일이지만 인플레 속도 높아서 실물자산 덩달아 뛰네요
금이건 부동산이건 실물 들고 있어야 안위험함2. ......
'21.11.16 6:23 PM (183.98.xxx.115)경제는 심리라더니,
여러 지표에서 위축 심리가 보여지는 듯 해요.3. ....
'21.11.16 6:32 PM (182.209.xxx.171)유동성의 힘으로 올라간 실물자산은 금리 오르면
타격이 크죠.
유동성이란 대출인데 버는돈의 상당부분을 이자로 내는데
부동산이 올라가지 않는다면
굉장히 고통스러워요.4. 경제무식쟁이
'21.11.16 6:45 PM (223.38.xxx.240)일반인 생각이지만 정부로서는 인플레로 가는게 좋을 듯
금리 올리면 민생경제 곤란해지지만
인플레 용인하면 국가부채도 줄거든요
금리 시늉만 하고 인플레로 갈 듯5. 시국
'21.11.16 6:56 PM (121.170.xxx.199)인플레로가고있지않나요?
6. ㅡㅡㅡㅡ
'21.11.16 9:48 PM (61.98.xxx.233) - 삭제된댓글미국 물가인상률이 6프로가 넘었어요.
호시탐탐 기회 보고 있을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