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의학의 발전이 인류종말을 앞당긴거 같아요

조회수 : 2,101
작성일 : 2021-07-18 10:44:38
저도 나이먹었지만
사람이 때되면 죽어야하는데 죽지를않고

암걸리거나 병에 걸려도 살려내고
죽고싶어도 죽지못하는세상...

지구가 좀 자정작용하려고
지진 해일 홍수가 일어나고 전염병등이 창궐해도
꾸역꾸역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해서 살아남고
하다보니 이지경까지 온거같아요

인간의 노화는 35살부터 진행되고
계속 어디하나씩 고장나는걸 고쳐가면서 죽지않고 살고있으니
계속 인간이 늘어가는것 같습니다

죽는것은 무섭지만 언젠가는 사람은 죽으니까요
저조차도 죽음이 무섭고 두렵지만
옛날같으면 저또한 난산으로 죽었을텐데
살아있으니까요
의학의 발전이 곧 지구에는 재앙같이 느껴지네요

이또한 삶이므로 탓할수는 없을테죠
저는 사람의 삶자체가 각종 쓰레기... 플라스틱을 양산한다고 생각해요
당장 삶을 영위하는 집에있는 모든것들이 재활용 안되는 쓰레기아니던가요

하지만 누구나 죽고싶어하지않고 나만 죽을수없다고 생각하므로
결국 언젠간 어떤사건에 의해 인간이 대량으로 죽을수밖에없겠죠
IP : 118.43.xxx.97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82스
    '21.7.18 10:48 AM (220.118.xxx.229)

    동갑합니다
    그동안 제가 살면서 얼마나 많은 쓰레기
    샴푸 퐁퐁 거품을 만들어냈을까 생각하면 끔찍하네요
    강아지 19년간 키우면서 배변패드로 쓰레기 많이도 버렸구요
    이제 지구가 서서히 스탑하려 하는것 같아 두렵네요

  • 2. ㅜㅜ
    '21.7.18 10:54 AM (39.7.xxx.186) - 삭제된댓글

    장수가 재앙인 시대가 ..
    환경의 역습도..

  • 3. 평균수명
    '21.7.18 10:56 AM (108.18.xxx.6)

    인류의 평균 수명은 근대 의학 발전 전에는 40대였습니다. 간단한 감염에도 그냥 죽는거죠. 수술도 못하고 맹장만 걸려도 죽고. 단점은 있지만 의학발전이 재앙인것보다 지금 하는 이 모든 현재의 기술과 지식이 불완전하니 계속 잘 바꿔나가야죠. 플라스틱이 만들어진게 불과 100년이니 앞으로 100년동안 지구에 문제 안되는 플라스틱도 만들수 있는거고 버려진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기술도 만들어야되고. 자동차가 처음 나왔을 때 그렇게 많이 치어죽었다 합니다. 자동차가 멈출줄알고 그 앞에 서있어가지고요. 멀리보면 다 마찬가지 현상이죠. 다 자기 아는 만큼 당시에는 이렇게 해도 문제없겠지라고 생각해서. 그치만 사람은 배우고 발전해 나가죠. 모든사람이 회의적으로 생각하면 토굴에서 살다가 오염된 물먹고 앓아서 바로 죽는 삶에 만족해야죠.

  • 4.
    '21.7.18 11:02 AM (67.70.xxx.226)

    그래서 코로나 바이러스는 인간이 인구조절 목적으로 만들어 뿌린거라는 소문도 있잖아요.
    솔직히 저는 소문이 아니라 그럴 확률이 아주 높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수명이 너무 길어져서 선진국에서는 노인들에게 들어가는 돈을 계속 지불하다보면
    나라가 거덜날 지경입니다. 그리고 노인인가는 계속 늘어나는 반면에 출산율은 현저히 낮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어린애들에게는 전혀 문제가 없고 노인들 특히 양로원에서 마지막 날을 기다리는
    노인들에게 치명적이라고 하네요.

  • 5. 윗님
    '21.7.18 11:04 AM (67.70.xxx.226)

    "인류의 평균 수명은 근대 의학 발전 전에는 40대였습니다."

    그러니 그때는 암이라는게 없었죠 왜냐면 암 걸리기 전에 다 죽었으니까 ㅎㅎ.

  • 6.
    '21.7.18 11:23 AM (121.159.xxx.222)

    있는 사람더러 죽으랠수는 없죠
    피임기술 더 발전시키고
    저출산 분위기 더 확대되어서
    진짜 사랑으로 잘키울사람만 낳아야한다고봐요

  • 7. 맞아요
    '21.7.18 11:31 AM (119.69.xxx.110)

    재수없으면 100살까지 산다는 말도 있죠
    솔직히 요즘 평균수명 늘어나 100세 보험 들어야한다지만
    80까지 살고 죽는게 딱 맞는것같아요
    공평하게 80세 생일에 죽는 칩을 몸에 장착했으면 좋겠네요

  • 8. ..
    '21.7.18 11:48 AM (211.36.xxx.35) - 삭제된댓글

    인간 dna에 새겨진 본래 수명이 38세였나?
    그렇다네요. 사람 욕심이 끝이 없죠.
    불노장생 약도 개발 중이던데요..

  • 9. 그냥
    '21.7.18 11:48 AM (118.43.xxx.97)

    진짜있는 사람더러 죽으라고 할순없으니까
    복잡하죠뭐....부모님도 당장에 너무슬프잖아요...


    다같이 떼 로 죽는거면 몰라도

    그럼 코로나는 실패한거네요
    인구가 73억이라하든데 1억명도 못죽였으니까....

  • 10. ..
    '21.7.18 1:28 PM (118.235.xxx.98)

    내부모님 나자신 생각하면 오래오래 건강하게 사는게 좋은 일이지만 인류 전체로 보면 재앙이 맞는것 같아요. 인구 줄어야하고 쓰레기가 덜 나와야하는게 맞아요..

  • 11. ..
    '21.7.18 3:26 PM (118.32.xxx.104)

    진짜 있는 사람더러 죽으라고 할순없으니까 222222
    그니까 인간 스스로 자정해야죠.
    출산도 좀 줄이고..인구수 조절해야죠.

  • 12.
    '21.7.18 9:23 PM (67.70.xxx.226)

    죽은사람들 대다수가 매달 나가는 정부보조금과 의료혜택을 받는 노인들이라면 코로나가 실패한건 아니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51077 긴급 지금 갯마을 차차차 보시는 분 8 ... 2021/09/25 4,306
1251076 마약계란 첨 해보는데요... 10 질문 2021/09/25 3,573
1251075 오징어게임 봤는데 전 버닝썬이 생각나더라구요. 4 ... 2021/09/25 3,148
1251074 민주당, 호남경선 투표는 의심스러운 그림자가 있어요 25 무조건 승복.. 2021/09/25 1,894
1251073 이낙연tv 3 ^^ 2021/09/25 454
1251072 해방타운 이혜정님 쇼핑카트? 1 카트 2021/09/25 2,824
1251071 많이 읽은글 잘난 바람둥이의 최종 여자 글 보고 아마도 2021/09/25 1,570
1251070 지현우가 아빠역 하네요 12 강아쥐 2021/09/25 5,720
1251069 차차차요~~ 4 얼음 2021/09/25 2,436
1251068 호주랑 뉴질랜드는 국경을 언제 열까요 3 ㅇㅇ 2021/09/25 1,684
1251067 정청래가요... 12 ㅋㅋ 2021/09/25 3,003
1251066 이민석변호사가 보는 이재명의 변명 15 풀잎사귀 2021/09/25 1,542
1251065 내가 아는 화천대유 간략하게 설명 16 ‘’’’ 2021/09/25 2,363
1251064 광주에서 오영환의원 울었대요. 22 감사해요. 2021/09/25 4,525
1251063 복숭아는 가고 밤이 왔어요. 29 또한번 2021/09/25 4,885
1251062 코인하시는 분들만. 428 Bitcoi.. 2021/09/25 5,368
1251061 이혼하고 나서요 3 apple 2021/09/25 5,196
1251060 돌잔치 음식준비 도와주세요 7 생일 2021/09/25 1,632
1251059 우유500을 한번에 마셨어요 1 ㅁㅁ 2021/09/25 1,575
1251058 호남분들이 그래도 역전의 서사는 쓰게 해주셨네요. 11 ㅇㅇ 2021/09/25 1,120
1251057 이재명박그네 지지자들은.. 2 .... 2021/09/25 407
1251056 지금 원더우먼 왜 재방송으로 하나요? 6 티비 2021/09/25 3,060
1251055 80대 어머니 가방 추천 6 푸들이 2021/09/25 2,328
1251054 실화탐사대보니 영탁이 어머님이 욕심이 과하네요 43 ㅇㅇ 2021/09/25 18,420
1251053 '대장동 개발' 실무자 증언 "부동산 호황 경우의 수 .. 2 샬랄라 2021/09/25 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