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세금 무서워 고향집 내놨습니다"…지방 부동산 '초토화'

.... 조회수 : 5,471
작성일 : 2020-11-01 19:00:15
"세금 무서워 고향집 내놨습니다"…지방 부동산 '초토화'

http://naver.me/IxvjYrPA
양도세 등 중과 여파…서울 한채 남기고 지방 집 급매물로
김천·무안·사천 등 3천만~4천만원 '뚝'…입주율까지 저조
양평 전원주택도 수천만원씩 하락…"지역경제 파탄날 지경"


IP : 125.191.xxx.148
3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0.11.1 7:03 PM (211.193.xxx.134)

    귀향하시는 분들 부담 많이 줄겠군요

  • 2. ㅇㅇ
    '20.11.1 7:05 PM (211.193.xxx.134)

    만약 서울에 내일 외국에서 천만명이 와서 집값을 올리면

    바람직한가요?

    당근 아니죠

    이제 지역은 정상화 되는겁니다

    다음은 수도권입니다

  • 3. ....
    '20.11.1 7:05 PM (125.191.xxx.148)

    계속 떨어질테니 구매말고 전세로 살아야죠.

  • 4. 부산도
    '20.11.1 7:06 PM (221.161.xxx.81)

    좀 내리자..전부 10억클럽인데..

  • 5. ㅇㅇ
    '20.11.1 7:09 PM (211.193.xxx.134)

    지금 꼭지니

    좀 있음 계속 내릴 꺼니까
    무릎 정도라고 생각이 들 때 사면 되겠네요

    바닥은 알기가 좀 어렵죠

  • 6. ....
    '20.11.1 7:09 PM (125.191.xxx.148)

    글을 안읽고 댓글 알바하시는군요.

    수도권으로 몰리고 세금때문에 똘똘한1채씩만 하느라 지방이 떨어진다는데
    수도권도 하락할거라니?
    거의 선대인 수준.

  • 7.
    '20.11.1 7:11 PM (117.111.xxx.108)

    대구 수성구도 좀 내리자

  • 8. 자~
    '20.11.1 7:13 PM (115.140.xxx.180)

    이제 서울에 사시는 정부지지자들이 서울집 팔고 지방에 내려가면 되겠네요 국토부장관 말대로 슬기롭게 이 위기를 넘겨야지 집값이 안정화 되죠

  • 9. 아직
    '20.11.1 7:23 PM (115.164.xxx.198)

    시작도 안한거 아닌감요?
    지방부터 하락할거라고 그랬잖아요.
    계속적으로 더 쎈 정책을 내놓길 비랍니다.

  • 10. 엥?
    '20.11.1 7:31 PM (85.255.xxx.138)

    서울에 집 있다잖아요.
    지방에 집 내놓는게 뭐 어쩠다고 기레기들이 또 여론몰이중인가?

  • 11. 그러니까
    '20.11.1 7:35 PM (223.38.xxx.99) - 삭제된댓글

    서울은 앞으로도 절대 안 떨어진다는 말이군요.

  • 12. ....
    '20.11.1 7:39 PM (125.191.xxx.148)

    그러게요.
    서울 수도권도 지금의 절반이하로 다운되면 무슨 상관? ㅋㅋ

  • 13. ....
    '20.11.1 7:40 PM (125.191.xxx.148)

    다들 아는 수준만큼 댓글이.

  • 14.
    '20.11.1 7:40 PM (119.67.xxx.170)

    서울은 다주택자 매물도 있을거고 세금 중과하니 조금 떨어지긴 할거 같네요. 투자수요도 그렇고 거래가 활발하진 않으니까요.

  • 15.
    '20.11.1 7:42 PM (180.224.xxx.210) - 삭제된댓글

    그런데 세금 무서워서 서울 사는 아들이 지방 부모님 집을 왜 팔죠?
    모두 아들 명의였다는 건가요?

    그리고 애초에 공급과잉이 문제였나 본데요?

  • 16.
    '20.11.1 7:47 PM (180.224.xxx.210) - 삭제된댓글

    그런데 세금 무서워서 서울 사는 아들이 지방 부모님 집을 왜 팔죠?
    모두 아들 명의였다는 건가요?

    그리고 애초에 공급과잉이 문제였나 본데요?

    예전 하락기에도 저렇게 지방부터 가라앉기 시작해서 전국이 가라앉고 그랬잖아요.
    예전이라고 속칭 서울의 똘똘한 한 채 이런 생각들 없었나요?
    에전에도 지방에서 서울집 몇 채 사놓고 하는 서울 선호현상은 늘 있어왔어요.

  • 17.
    '20.11.1 7:48 PM (180.224.xxx.210) - 삭제된댓글

    그런데 세금 무서워서 서울 사는 아들이 지방 부모님 집을 왜 팔죠?
    모두 아들 명의였다는 건가요?
    그럼 그 부모님들은 이제 어디에 사시나요?
    새로 부모님 명의로 집을 사야 하지 않나요?

    그리고 애초에 공급과잉이 문제였나 본데요?

    예전 하락기에도 저렇게 지방부터 가라앉기 시작해서 전국이 가라앉고 그랬잖아요.
    예전이라고 속칭 서울의 똘똘한 한 채 이런 생각들 없었나요?
    에전에도 지방에서 서울집 몇 채 사놓고 하는 서울 선호현상은 늘 있어왔어요.

  • 18.
    '20.11.1 7:49 PM (180.224.xxx.210) - 삭제된댓글

    그런데 세금 무서워서 서울 사는 아들이 지방 부모님 집을 왜 팔죠?
    모두 아들 명의였다는 건가요?
    그럼 그 부모님들은 이제 어디에 사시나요?
    새로 부모님 명의로 집을 사야 하지 않나요?

    그리고 애초에 공급과잉이 문제였나 본데요?

    예전 하락기에도 저렇게 지방부터 가라앉기 시작해서 전국이 가라앉고 그랬잖아요.
    예전이라고 속칭 서울의 똘똘한 한 채 이런 생각들 없었나요?
    예전에도 지방에서 서울집 몇 채 사놓고 하는 서울 선호현상은 늘 있어왔어요.

  • 19.
    '20.11.1 7:57 PM (180.224.xxx.210)

    그런데 세금 무서워서 서울 사는 아들이 지방 부모님 집을 왜 팔죠?
    모두 아들 명의였다는 건가요?
    그럼 그 부모님들은 이제 어디에 사시나요?
    새로 부모님 명의로 집을 사야 하지 않나요?

    그리고 애초에 공급과잉이 문제였나 본데요?

    예전 하락기에도 저렇게 지방부터 가라앉기 시작해서 전국이 가라앉고 그랬잖아요.
    예전이라고 속칭 서울의 똘똘한 한 채 이런 생각들 없었나요?
    예전에도 지방에서 서울집 몇 채 사놓고 하는 서울 선호현상은 늘 있어왔어요.

    뭔가 목적을 가지고 잘못된 분석을 하고 있는 기사같아요.

  • 20. 너트메그
    '20.11.1 8:03 PM (220.76.xxx.250)

    정부가 다주택자 중과세하면서 실거주의무조항 집어 넣으면
    결론은 지방이나 서울변두리 집부터 팔거고
    지방출신 집주인이 실거주목적으로 서울로 입주할거
    다 계산하고 있어요.
    강남구나 일부 지역에서 거래허가제까지 들이밀고
    임대물량 늘려주겠다
    중대형평수 임대도 만들어 주겠다.

    정부의 시그널.....

  • 21. 첫댓은진짜 ㅋ
    '20.11.1 8:08 PM (118.235.xxx.28)

    귀향하시는분들 부담이 줄거라니..이 기사를 보고 저 생각이 먼저 드는건 정말 공감능력 부족이에요

  • 22.
    '20.11.1 8:10 PM (39.7.xxx.217) - 삭제된댓글

    지방집값내리면 지방실수요자 좋은거아닌가요?

  • 23.
    '20.11.1 8:12 PM (125.176.xxx.8)

    1가구 실거주 요건이 강화되니 다 팔고 한채만 남겨 세금 혜택 받을려고 한것

  • 24. ㅇㅇ
    '20.11.1 8:17 PM (39.117.xxx.200) - 삭제된댓글

    서울집은 아무도 팔려고 하지 않고
    지방집만 자꾸 팔려고 들면 어떻게 될까요?
    정부가 알아서 진입장벽 만들어 주시네요
    똘똘한 1채의 부작용은 수퍼 초양극화겠죠

  • 25. ㅁㅁㅁㅁ
    '20.11.1 8:20 PM (119.70.xxx.213)

    지방에 별장처럼 쓰려고 한채 더 사놓는 사람도 있고 했겠죠..
    또는 은퇴후에 내려가 살려고.
    다주택 중과세때문에 그런걸 판다는 얘기겠죠.

    저도 멀지않은 시골에 농가주택같은거 하나 사서 주말에가서보내고싶은데 중과세땜에 접었어요.

  • 26. 아마
    '20.11.1 8:25 PM (210.178.xxx.44)

    서울 집값 높아서 부동산 카페, 경매 카페 우루루 내려가서 메뚜기떼처럼 이 단지 저 단지 집값 올리던 인간들이 정리하는 거구만... 무슨 고향집을 팔아요?

    이제 정상화 수순에 들어간 거...

  • 27. 아직도
    '20.11.1 8:30 PM (210.96.xxx.164)

    모르네..쯧쯧
    양극화라는거죠.
    수도권집 지키려고 지방 파는것임

  • 28. ..
    '20.11.1 8:37 PM (223.38.xxx.96)

    언제는 지방도 폭등이라고 ㅈㄹ하더니 이제는 지방부동산 초토화라고 ㅈㄹ

    알바들아 한가지만 하세요.

  • 29.
    '20.11.1 8:40 PM (223.62.xxx.84)

    팔려면 적당한 가격에 내놓던가...
    어이없는 가격도 많아요
    무슨 강화도 전원주택이 5억이상이고
    경기도 끝자락들도 4~5억.
    아직 멀었음. 더 센 정책 내놓으삼ㅋ

  • 30. 아이고
    '20.11.1 9:02 PM (210.96.xxx.164)

    지방도 부산 울산 창원 경남 천안 대전 광주 등등 불장이고요
    오산평택 시동걸었어요
    대기업 있는곳 위주로 불장이에요..

    시골은 초토화죠

  • 31. ㅇㅇ
    '20.11.1 9:44 PM (116.121.xxx.18)

    그런데 세금 무서워서 서울 사는 아들이 지방 부모님 집을 왜 팔죠?
    모두 아들 명의였다는 건가요?
    그럼 그 부모님들은 이제 어디에 사시나요?
    새로 부모님 명의로 집을 사야 하지 않나요?

    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


    예전이라고 속칭 서울의 똘똘한 한 채 이런 생각들 없었나요?
    예전에도 지방에서 서울집 몇 채 사놓고 하는 서울 선호현상은 늘 있어왔어요.

    뭔가 목적을 가지고 잘못된 분석을 하고 있는 기사같아요.
    22222222222222222222222222222

  • 32. ㅡㅡ
    '20.11.1 11:09 PM (211.108.xxx.250)

    양평 전원주택 사고 싶네요 싸지면요.

  • 33. .....
    '20.11.2 9:34 PM (125.191.xxx.148)

    별장이든 뭐든, 지방 집도 적당한 외지 수요층이 거래를 해주고 또 주말이든 한달이든
    가서 그 지역에서 소비도 하고 여러가지로 경제활동이 일어나는게 시골이든 지방이든 지역적으로
    도움이 되는게 맞죠.
    하지만 이렇게 되면 말 그대로 양극화, 지방은 그 지역 노인층만 소수 남고, 외지인들의 발길조차 안닿게 되는데.... 지방 집값 내려가면 그 지역분들이 투자 하면 되는건가요?ㅎㅎㅎ

    잘못된 분석인지 어떤지,... 다 정치적으로 보실분들은 그렇게 보시고
    경제적으로 분석할 사람들은 그렇게 볼테고.

    같은 기사로 정반대의 의견들이 나오니까 세상은 다양하게 굴러가겠죠. 부자도 있고 가난한 사람들도 있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32625 미국서 김치 알린 교포 청년사업가, 괴한에 피살 3 ... 2020/11/01 3,427
1132624 이낙연, 승부수 띄웠지만…서울 중도층 민심 악화에 고심 41 열세 2020/11/01 4,570
1132623 치킨 시켰어요 4 ㅇㅇ 2020/11/01 1,761
1132622 속리산대추빵 보은 2020/11/01 1,256
1132621 약국에서 파는 몸살약 잘듣는거 사려고요 24 ㄴㄴ 2020/11/01 5,759
1132620 GS마트에서 경상도 김치 발견했어요 2 ... 2020/11/01 2,052
1132619 어제 오늘 마트쇼핑 많이했어요 ㅋㅋ 10 ... 2020/11/01 4,332
1132618 수지도 멤버들하고 문제 있었나요? 35 궁금 2020/11/01 31,815
1132617 아이 내년 유치원으로 조언구해요 6 조언 2020/11/01 1,282
1132616 맥주 좋아하시는 분들만요^^(딴지 정중히 사양) 7 뱃살 2020/11/01 2,516
1132615 제육 주문해 먹으려 하는데 맛있는곳... 7 ryumin.. 2020/11/01 1,201
1132614 광화문 주차 어디에.... 4 광화문 2020/11/01 1,697
1132613 1500만뷰 결혼식 축가 보셨나요? 신부가 웃다 쓰러져요 9 ᆞᆞ 2020/11/01 6,402
1132612 가벼운 식탁의자 세 개 옮기려는데... 7 용달 2020/11/01 1,682
1132611 미스터 트롯 6형제는.. 7 ㅇoo 2020/11/01 3,736
1132610 인스턴트팟 크기 7 주부 2020/11/01 1,760
1132609 전화 한통없네요 53 외롭네요 2020/11/01 25,700
1132608 한달에 200정도 벌면 세금은 얼마인가요? 11 ,,, 2020/11/01 3,998
1132607 넷플릭스 더크라운 재미있네요. 4 마요 2020/11/01 3,149
1132606 얘 정말 왜 이래. 5 얘 왜 이래.. 2020/11/01 2,729
1132605 하네스 거부 강아지 8 시츄 2020/11/01 1,599
1132604 육아는 언제 끝나나요 17 ㅇㅇ 2020/11/01 4,070
1132603 김선수 대법관 "검사 집단행동 하면 개혁방안 올바른 것.. 5 5계절 2020/11/01 1,575
1132602 이명박이 3 다시 2020/11/01 854
1132601 김두관, 기본자산제 도입 추진 23 ... 2020/11/01 2,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