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동생이 41세정도 됐는데 일은 아이 키우는 동안에도 일을 못했고
한해 쉬다 일하고 이런식으로 월급이 많은편도 아닌데
국민연금은 쭉 넣어서 자기는 월 150만원을 받는다고 하네요.
월급여 250만원 받는 사람이 30년간 부어야 70만원이 나온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 국민연금 100만원 이상 수급자는 5%이고
200만원 이상 수급자는 22명 뿐이라 합니다.
이게 가능한 액수일까요?
아는 동생이 41세정도 됐는데 일은 아이 키우는 동안에도 일을 못했고
한해 쉬다 일하고 이런식으로 월급이 많은편도 아닌데
국민연금은 쭉 넣어서 자기는 월 150만원을 받는다고 하네요.
월급여 250만원 받는 사람이 30년간 부어야 70만원이 나온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 국민연금 100만원 이상 수급자는 5%이고
200만원 이상 수급자는 22명 뿐이라 합니다.
이게 가능한 액수일까요?
최고액으로 계속 60세까지 납입하면 가능할걸요
가능합니다. 추납 열심히 하면 되어요.
한달에 얼마씩넣어야할까요?
저
최고가액(42~45만원) 정도 65세까지 내면 그정도 받는거 아닌가요?
직장인은 회사에서 반 내주고 월급에서 반 내니까 21~23정도 납입.
자영업자나 주부는 개인이 다 납부해야하구요.
현재 가치로 150?
내가 수령할 때 가치로150?
최저 9만원이라도 장기간 넣는것이 이익입니다.
제가 월급 500만원 일 때도 있었지만 중간 몇년 쉰적도 있었어요. 얼마전에 연금을 이리저리 계산해봤더니
길게 최저 9만원 넣는게 효율이 좋았어요.
요즘 쉬는분 계시면 한달에 9만원은 부담없는 금액이니 최저금액 넣으면서 쉬시길 ... (누가 알려줬으면 ... 9만원 넣으면서 쉬었을꺼예요)
사회보장제도의 취지에 맞게
최저액을 내는 사람이 제일 이익이라고 들었어요
저도 9만 내고 있어요
외벌이 41세 연하신랑 총 들어간 금액 7천 조금 안되고..현재가치 140, 미래가치 400 이예요.
2년후에 받는데 2년동안 9만원씩 계속해서
불입하는게 더 나을까요?
나이 41세에 7천만원이면 대학졸업후 15년간 일하셨다는 가정하에도 그럼 매달 40만원 가까이를 국민연금으로 부어야 되는거 아닌가요?
고지서 나오는대로 걍 내고 있는데 5년후 140만원 받는대요.
참고로 1988년 직장인 가입. 쭉 내왔고 지금은 프리랜서예요.
네. 그렇게 평균 계산이 되네요.
현재가치,미래가치 이건 뭘 말하는건가요?
그냥 지급액 떠나서
돈 가치로 보는 기준일뿐인건가요?
딱 몇세에 내가 받을 금액만
통지해주면 되지
미래가치 얼마 현재 얼마
그러니까 저같은 모지랑이는 정확히
내가 받을 금액을 모릅니다.
좀 알려주셔요...ㅠㅠ
국민연금은 물가상승률 반영이돼요
오늘 천원이 십년뒤에도 천원의 가치가 있는건 아니죠.
은행에 예치하면 이자가 붙듯이.
물가가 오르면 연금액도 조금씩 올라요...
30세인 사람이 60세에 얼마. 이런건 은행 고정금리상품이나 정확히 나오는거고.
백만원 넘는데 납입금총액이 8천정도로 기억해요
남편은 저보다 좀 많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