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주식관련 메리츠증권 존리...

궁금 조회수 : 4,025
작성일 : 2020-06-07 10:16:03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요
유튜브에 엄청 나와서
애들 사교육 시킬 돈으로 주식 사놓으라고 하는데...

하는 얘기 절반은 납득이 되고
절반은 납득이 안되요
우리나라 주식시장 변동성이
미국과 다른데 미국을 롤모델로
경제관념을 키우라는 부분이 좀...

남편은 이미 주식하고 있고
저는 관심만 있는 상태라
이것저것 보는데...존 리의 주장
어떻게 생각하세요?

// 아...또 경매분야 '송사무장' 이란 블로거이자
부동산 재테크 전문가(?) 아시는 분 있나요?

이제야 돈 불리는 법에 관심 갖다니
한심하지만 돈 공부 안 할 수 없네요
IP : 121.190.xxx.138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
    '20.6.7 10:19 AM (211.202.xxx.106) - 삭제된댓글

    존리펀드 투자했다가 망한 1인입니다
    그때도 얼마나 설레발을치던지

  • 2. ...
    '20.6.7 10:21 AM (106.101.xxx.109) - 삭제된댓글

    저도 찬성입니다.
    사교육도 흡수력 있는 아이들에게나 소용있지 아무나 결과가 좋은건 아닙니다.
    저는 상위 5프로 이내가 아니면 사교육 시킬 돈으로 다른 재능을 키워주라고 하고 싶습니다.
    의대스카이 갈 아이들은 이미 거의 정해져 있습니다.

  • 3. ...
    '20.6.7 10:22 AM (106.101.xxx.109) - 삭제된댓글

    그러나 주식은 공부를 하고 뛰어들어야 합니다.
    누구 말을 듣고 투자하는것은 필패입니다.
    전문가랍시고 추천하는 종목은 대개 상투입니다.

  • 4. ㅋㅋ
    '20.6.7 10:25 AM (210.178.xxx.44)

    수많은 주식, 부동산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이 책을 내고 유투브를 하죠.
    진짜 그걸로 수익을 크게 보는 사람은 본인 주식, 부동산 관리하느라 바빠서 겨우 책값의 10프로 인세나 강연료 따위 벌려고 시간을 내지 않아요.

    존리에 대해 조금만 더 찾아보세요.
    메리츠증권이라는 회사도요.
    요즘 소소한 유투브, tv... 정말 많이 나오잖아요.

    부자아빠 가난한아빠의 기요사키가 떠오르지 않나요?
    기요사키가 돈을 번건 책과 강연회를 통해서라고...

  • 5. ㅇㅇ
    '20.6.7 10:25 AM (175.207.xxx.116)

    배당금 있는 주식 사라고 해서
    기업은행 7천원일 때 샀어요
    소폭 내려가니 쌩초보인 저는 그냥 팔았고
    그 다음주 6천원대로 내려가서 가슴 쓸었죠
    지금은 9천원대.
    주식 아무나 하는 게 아니네요

  • 6. ......
    '20.6.7 10:26 AM (1.227.xxx.251) - 삭제된댓글

    뭘 하지말고 뭘 해라. 는 좀 그렇더라구요
    스무살이 되면 투자통장을 만들어주고 주식이나 채권 투자 알려주는건 맞대요
    적은돈으로 세계흐름 따라가며 20년쯤 연습하다 마흔무렵 소득이 많아지면 자기자산관리 능력이 생기도록요
    3,40대에 큰돈으로 시작해 공부없이 투자하다 망하는거니까요.
    미국과는 다르다기보다 미국의 영향을 안받는 나라는 없어요. 미국에 투자도 어렵지 않구요.

  • 7. 의대스카이
    '20.6.7 10:27 AM (124.54.xxx.37)

    가는 애들만 공부하나요 그건 아닌듯.. 아이마다 그냥 다 잘받아들이는 아이가 있고 누가 옆에서 조목조목 짚어주면 잘 따라가는 아이가 있고 다 다르더이다.. 공부 물론 결국 혼자 하는거지만 도와주면 잘 할 애를 그냥 내버려둘수도 없는거 아닌가요 과도한 사교육은 문제라도 사교육 필요한 아이가 있다는것까지 무시할수는 없는듯

  • 8. ..
    '20.6.7 10:27 AM (112.151.xxx.59) - 삭제된댓글

    저도 사교육비로 월 10주씩이라도 사서 아이에게 뭐라도 해 주고 싶긴 해요. 현실은 사교육 해야하고 그렇다고 주식 사줄 여윳돈이 없다는 점 ㅎㅎ
    남편은 증권사점장도 했어서 많이 망해봤고 주식은 빠삭하니 어느정도는 알지만요.
    웃픈건 남편 몰래 제 용돈 주식 넣어놔서 수익이 어마어마한점..
    살아보니 우량주 묻어놓으면 다 벌었더군요.

  • 9.
    '20.6.7 10:37 AM (66.27.xxx.96)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때
    미국인들 401k에 묶인 펀드 폭락으로
    퇴직나이 지난 노인들 퇴직도 못했죠
    존리가 말한 투자방법으로.
    존리도 미국물 선진문물 먹은 컨셉 잡아서 한국에 충고하며
    유명세 타려는 사람일 뿐입니다
    유명 경제 유튜버들 다 그사람보다 낫다고 봄
    단 주식투자에 관심 가져야 한다는건 동감

  • 10. ㅇㅇ
    '20.6.7 10:47 AM (223.62.xxx.155)

    존리는 주식은 한 번 사면 파는게 아니라고 하죠
    그게 투자고
    단기로 사고팔고 하는 건 투기라고요.
    잘 고른 주식을 사서 팔지않고 몇 십년 가지고 있으면
    오를 확률이 높으니 그렇게 하라고 하는거죠
    근데 일반인이 그렇게 오래 돈을 묵힐 수가 있냐 이거죠

  • 11. 누가
    '20.6.7 10:53 AM (223.38.xxx.15)

    칼들고 안하면 죽는다고 위협하는것도 아니고 자기한테 맞으면 하면 되는거고 거기에 대한 책임은 선택한 개인이 지면 됩니아.
    제 삶의 방향성과 맞아서 계속 하고 있네요.
    미니멀리즘으로 자산으로 30프로는 살집 제외하고 70프로 주식 투자 10년후 배당금으로 은퇴 생활예정입니다.
    없는 돈 끌어 모아서 하거나 주식 대박 꿈꾸시는 분들은 안맞아요. 한국인들 자산의 76%는 평균적으로 부동산 들어있다하니 영끌 집사서 평생 값고 그 집값올라 노후 준비하는 분들 한테는 절대 안 맞는 전략이죠.
    대출없이 여유돈 꾸준히 사모으실 분들은 오르건 내리건 스트레스 안받고 평생할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 12. ㅇㅇ
    '20.6.7 11:00 AM (223.38.xxx.175)

    주식은 안해서 투자관련은 모르겠는데
    부자가 되지못하는 3가지 이유를 말하면서

    1.사고육비/2.부자처럼 보이려하는 라이프스타일

    이거 꼽더라고요. 백만번 동감이요.

  • 13. 주린이
    '20.6.7 11:13 AM (110.10.xxx.202)

    작년에 주린이 후배가 존리 강연 한번 듣고 와서 주식 15년한 저에게 주식강의를 하더라고요 ㅋㅋㅋ
    유튜브에만 봐도 널린게 존리 컨텐츠구요. 존리의 말씀을 해석을 잘 해야 해요. 주식 공부 재테크 공부 해야 하는거 맞아요. 그런데 존리는 미국인이잖아요. 존리의 말을 비판하자면
    1. 장기 우상향인 미국 시장을 가지고 한국 시장을 말하면 안된다.
    2. 개인이 장기 우상향 종목을 찾아 내는게 어렵다
    3. 결국 존리 강연의 결론은 개인이 종목 찾기 힘들면 펀드 가입해라 이거예요.
    존리의 선의를 폄하하지는 않아요. 그러나 그 분은 기관투자자 라는걸 명심하세요.

    제가 주식하면서 느끼는 것은 시장은 논리적이지도 합리적이지도 이성적이지도 않다
    라는거예요. 이번 폭락장에 들어온 주린이 분들 이번에 돈 벌었다고 자만하지 마시고 최소 5년 이상 해보고 그때가서도 벌었는지 그때 얘기해요.

  • 14. 우리남편
    '20.6.7 11:37 AM (223.38.xxx.251)

    존리 선생님 말 듣고 이번에 시작했다가 수익 좋아요.
    이번 장은 누구나 먹는 장이라고 하지만
    안 팔아서 수익 더 좋았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83072 당장 내일이 개학인데. 아들이 교과서를 못 찾네요. 9 아이고.. 2020/06/07 2,097
1083071 90년대에는 홍콩영화들이 왜 인기가 있었을까요..?? 14 ... 2020/06/07 3,425
1083070 복강경 수술하고 배꼽에서 진물이 나요 2 이 더위에 2020/06/07 3,509
1083069 시스템에어컨작동이 안돼요. 5 헤라 2020/06/07 1,614
1083068 면세점보다 온라인이 더 싸요 10 가방선물 2020/06/07 4,038
1083067 남편 회갑 12 2020/06/07 4,040
1083066 롯데월드 어드벤처, 코로나19 확진자 방문으로 7일 영업종료…입.. 11 ㅇㅇㅇ 2020/06/07 3,826
1083065 올 12월에도 마스크 쓰고 다녀야할까요? 10 ... 2020/06/07 3,128
1083064 감사합니다. 54 참... 2020/06/07 24,590
1083063 청약 질문 있어요. 남편명의로 집이 있으면 5 .. 2020/06/07 3,130
1083062 50대 중반후 일자리 5 희망 2020/06/07 5,069
1083061 풍수기운 좋은 아파트도 단지내에서 다 다른가요? 1 2020/06/07 2,537
1083060 코로나 검사 아침에 하면 결과가 언제쯤 나오나요?? 7 ..... 2020/06/07 14,692
1083059 게시판 정독하다보니 다들 집 사라고하시네요 20 힘들다 2020/06/07 4,335
1083058 코스트코 가보고 싶어요 14 코스트코 2020/06/07 4,788
1083057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뭐하는 곳인가요? 1 어렵다 2020/06/07 744
1083056 3,4천 예산으로 어떤 차를 사면 좋을까요? 18 . . . 2020/06/07 3,236
1083055 연어회 사왔는데 소스는 어떤 게 좋을까요? 13 연어회 2020/06/07 2,963
1083054 벽제갈비와 봉피양 고기 맛이 다른가요? 11 2020/06/07 2,761
1083053 대한민국 발전은 당연히 보수정당 덕이죠. 13 ㅁㅁㅁ 2020/06/07 1,385
1083052 자꾸 1층에 살고싶은게 심리불안 일까요? 8 ... 2020/06/07 2,690
1083051 언니네랑 같은 나홀로 아파트 이사가면 안되겠죠? 8 이사가고싶다.. 2020/06/07 3,961
1083050 이용수할머니 또 위안부 관련 시민단체 비난 29 세월이 2020/06/07 2,502
1083049 흑사병 때 많은 사람이 무신론자가 됐다면서요? 27 .. 2020/06/07 4,437
1083048 단종된 가방 중에서 아직도 사고 싶은 것들... 5 예전에 2020/06/07 2,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