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민하
장겨울
도재학
용석민
안치홍
또 누가 있죠?
이 인물들로 생각하면 안 잊을듯요.
그리고 교수는 의사를 얼마나 해야 되는 거예요?
슬의 40세라는데 현실에서도 교수 가능한 나이인가요?
참, 추민하 옆에 나이든 여자는 수간호사인가요?
추민하
장겨울
도재학
용석민
안치홍
또 누가 있죠?
이 인물들로 생각하면 안 잊을듯요.
그리고 교수는 의사를 얼마나 해야 되는 거예요?
슬의 40세라는데 현실에서도 교수 가능한 나이인가요?
참, 추민하 옆에 나이든 여자는 수간호사인가요?
추민하---산부인과 2년차
장겨울---일반외과 3년차
도재학---흉부외과 4년차
용석민---신경외과 4년차
안치홍---신경외과 3년차
허선빈---신경외과 3년차
명은원---산부인과2년차
배준희---응급의학과 펠로우
추민하 옆의 간호사는 분만실 전담 간호사.
15년차 베테랑입니다
근데 교수직함은 대학에서.가르치지않아도
받을수있는건가요
추민하 옆의 간호사는 분만실 전담 간호사.
15년차 베테랑입니다.
호칭은 교수님입니다만 채송화만 부교수고
남자 넷은 조교수에요.
인턴, 레지던트, 전공의 좀 설명해주세요.
위 몇 년차 의사들은 전부 레지던트인 건가요.
인턴은 의대나 의전 졸업 후 의사면허를 받아서
전공을 정하기 전 1년동안 한달에 한 과씩 여러과를 다니며
수련하는 과정이고요.
레지던트는 전공과를 정해 4년 과정으로 수련하는 과정입니다.
전공의가 곧 레지던트에요.
레지던트 과정을 다 하고 전문의 면허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의가 되는거에요.
인턴은 의대나 의전 졸업 후 의사면허를 받아서
전공을 정하기 전 1년동안 한달에 한 과씩 여러과를 다니며
수련하는 과정이고요.
레지던트는 인턴과정 마치고 전공과를 정해 4년 과정으로 수련하는 과정입니다.
전공의가 곧 레지던트에요.
레지던트 과정을 다 하고 전문의 면허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의가 되는거에요.
전공의가 레지던트군요. 4년 과정이고요.
4년 수련하고 면허시험 합격하면 전문의요.
슬의에 인턴으로 나오는 사람은 없는 거죠?
윤복. 홍도는 그냥 실습생이고요?
아래털 대신 머리 민 의사가 인턴 이었던 듯요.
아~ 그렇군요.
님들 덕분에 잘 알았습니다.^^
의대 6년
인턴 1년
레지던트 과에 따라서 3 또는 4년
레지던트 끝나면서 전문의 시험
통과하면 전문의
전문의 딴 후에는 대학에 남을 수도 있고
나가서 개원 또는 페이닥으로 일할 수도 있고요
대학에 남을 경우:
페이닥인 봉직의 - 계약직을 할 수도 있고
세부전공 할거면 펠로우 2년에서 3년
팰로우 끝나면 조교수
조교수에서 교수가 되는데
보통 병원에선 조교수도 그냥 교수님이라고 불러요
대학병원 교수는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다른 과목) 교수들이랑 달라요
의대생들 렉쳐 하기도 하고 리서치도 하기도 하지만
꼭 그렇진 않구요 그건 교수마다 각자 관심분야가 다름..
쉽게 생각하면
한 팀의 리더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환자가 입원 하면 교수 밑으로 입원함..
배준희가 펠로우면 다른 어린 의사들보다 하나 높군요. 몰랐..
네~
의대 6년
인턴 1년
레지던트 3~4년
전문의 시험 - 통과 시 전문의, 개원 또는 페이닥터
대학에 남을 시 :
페이닥터(봉직의)
펠로우 2~3년 - 세부전공 시
조교수
부교수
교수
알려주신 것 적어봤는데
채송화가 부교수면 교수도 있는 것 맞나요~
맞다면 교수는 원장이고요?
조교수, 부교수도 정해진 햇수가 있나요~
조교수/부교수 부터는 다 교수 인정이에요
다 자기 환자 리스트가 생기고 클리닉 리스트가 있죠
교수로 승진하는건 자기 능력따라 / TO 따라
근데 크게 의미 없어요 시간 지나면 웬만하면 뭐..
덧 붙이자면..
대학병원에서 교수급들은 - 외국에서는 professor 라고 하지 않고 consultant 라고 해요
그 말 즉, 대학병원 교수들은 우리가 흔히 하는 일반 대학의 교수들이랑 다르다는 거..
덕분에 잘 알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