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군고구마,발암음식이래요

조회수 : 26,157
작성일 : 2020-05-09 22:16:05
고온에서 오래 조리하는 탄수화물.
군고구마와 빵 등에서 아크릴아마이드?발암물질 생긴대요.
빈번하게 먹지 말래요.ㅠ
튀김만 그런 줄 알았어요.
군고구마,빵은 한 끼씩 먹어요.
밥 먹어야 하는군요.
IP : 222.104.xxx.144
5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흠흠
    '20.5.9 10:17 PM (125.179.xxx.41)

    근데 밥은 고온에서 오래 조리하는게 아닌건가요?

  • 2. ...
    '20.5.9 10:18 PM (203.142.xxx.31)

    저 그냥 군고구마랑 빵 먹고 살래요

  • 3. 생식
    '20.5.9 10:22 PM (61.253.xxx.184)

    ㅋㅋㅋ
    생식해야겠군요.....

  • 4. ...
    '20.5.9 10:24 PM (61.72.xxx.45)

    오븐에 한꺼번에 구워놓고 매일 3조각씩 먹어요
    쪄먹긴 싫어요 젠장

  • 5. ...
    '20.5.9 10:25 PM (125.130.xxx.172) - 삭제된댓글

    고구마를 굽거나 튀기지 않으면 무슨 맛으로....

  • 6. ...
    '20.5.9 10:26 PM (112.140.xxx.11)

    출처를 밝혀주세요

  • 7. ...............
    '20.5.9 10:26 PM (180.174.xxx.3)

    예전에 세상에 이런일이었나 하는 프로에 생식해서 건강 찾고 살 뺀 사람 나왔었어요.
    그거 쫓아하려다가 위 다 버린 1인.. ㅠㅠ

  • 8. ???
    '20.5.9 10:29 PM (203.142.xxx.11)

    확실한 정보인가요??
    출처좀 알려주세요~~

  • 9. 먼말이에요
    '20.5.9 10:29 PM (14.40.xxx.172)

    고온이라니 고구마나 감자 원래 삶아서 먹던 음식이에요
    삶아지면 먹는건데 무슨 고온이요?
    튀긴거 말씀하시는건가요? 이세상 기름에 튀긴 음식은 다 발암물질이죠

  • 10. 여기 댓글에서
    '20.5.9 10:33 PM (222.120.xxx.44)

    120도 이상 고온에서 탄수화물을 오래 가열하는게 안좋다고 하더군요. 물 넣고 찌는게 굽는 것보단 낮은 온도 일 것 같은데, 군고구마가
    더 맛있긴하지요.

  • 11.
    '20.5.9 10:33 PM (223.33.xxx.171)

    고온에서 오래. 란게 얼마정도를 말하나요. 밥처럼 빵도 180도 15분 정도인데요.

  • 12. 그럼
    '20.5.9 10:36 PM (110.70.xxx.250) - 삭제된댓글

    에어프라이기는 발암기계인건가요

  • 13. 먼말이에요님...
    '20.5.9 10:37 PM (211.117.xxx.152) - 삭제된댓글

    글에 군고구마라고 나와요
    오븐이나 에어프라이어기로 180도 이상에서 돌리잖아요

  • 14. ...
    '20.5.9 10:39 PM (211.202.xxx.242) - 삭제된댓글

    빵이 주식인 나라에서 인정을 해야 믿을 수 있을듯

  • 15. ...
    '20.5.9 10:39 PM (211.202.xxx.242)

    빵이 주식인 나라에서 인정을 해줘야 믿을 수 있을 듯

  • 16.
    '20.5.9 10:43 PM (180.224.xxx.210)

    https://m.terms.naver.com/alikeMeaning.nhn?query=88242126
    한 번 읽어보세요.
    판단은 각자가...

  • 17.
    '20.5.9 10:43 PM (222.232.xxx.107)

    옛날에숯불에 구운 고구마는 약이랬는데 ㅜㅜ 아마도 에프문제가 아닐까요.

  • 18. 책임져요
    '20.5.9 10:50 PM (110.70.xxx.4)

    군고구마. 군밤 조합을 좋아하는데요.
    이 글읽고 쌩뚱맞게 먹고싶어졌어요ㅠ

  • 19. 에어프라이어가
    '20.5.9 10:54 PM (219.251.xxx.213) - 삭제된댓글

    문젝가 아니라 180도 이상 고온 조리 하지말라네요. 가급적 쪄드시고 굳이 구워 드실거면 175도 넘기지 말랍니다.

  • 20. 링크글
    '20.5.9 10:58 PM (222.120.xxx.44)

    감자를 175도 이하로 조리하고, 식초물에 데쳤다가 튀길때는 아크릴아미드 형성을 줄일 수 있다고 나오네요.

  • 21. ...
    '20.5.9 11:00 PM (116.122.xxx.15)

    고구마가 아니고 감자라고 알고 있는데요.

  • 22. ??
    '20.5.9 11:08 PM (110.70.xxx.232)

    그렇게따지면 튀긴감자 군고구마
    먹을게없죠

  • 23.
    '20.5.9 11:21 PM (118.8.xxx.139)

    제발 고구마 아니라 감자라고 해주세요
    벼르다가 주문한 고구마 십킬로가 오늘 도착했단 말에요 엉엉

  • 24. bluesmile
    '20.5.10 12:11 AM (112.187.xxx.82)

    군고구마 매일 먹는데요 ㅜ

  • 25. 도토끼
    '20.5.10 1:27 AM (182.213.xxx.239)

    감자 아닌가요? 감자가 채소?중에 유일하게 발암물질 생기는 음식이라고 티비에서 봤었는데요 것도 180도 이상 가열했을때만

  • 26. ..
    '20.5.10 8:41 AM (110.10.xxx.149) - 삭제된댓글

    음식재료를 어떻게 요리하느냐에 따라 발암성, 유해물질이 생긴다네요
    특히 직화, 고온구이, 튀김방식이 발암성물질 대량유발

    가령, 돼지고기를 직화로 숯불구이, 직화구이로 구워먹는거나
    본문처럼 빵을 오븐에 구워먹는거나
    다 발암성물질 유발된대요

    그럼 안전한 요리방법은
    돼지고기를 직화구이가 아닌 찜이나 쌂은방식이면 안전함
    빵도 오븐대신 찐빵으로,


    빵은 특히나 오븐에 구울때 발암성도 문제지만
    대부분 빵집에서 사용하는 수입밀가루가 더 문제래요

    지인이 무역업에 종사하는데 미국에서 밀가루 선적할때 방부제나 살충제같은거
    엄청 살포한다고 빵은 그냥 향기에만 취하고 패스하라고..,

  • 27. qwerasdf
    '20.5.10 8:50 AM (175.213.xxx.221) - 삭제된댓글

    삶아드세요.

  • 28.
    '20.5.10 8:51 AM (175.213.xxx.221)

    다들 왜그러실까. 삶아드시면 될 일을.

  • 29. 찐 고구마
    '20.5.10 8:55 AM (222.234.xxx.3)

    찐 고구마 맛있잖아요? 쪄 드세요

  • 30. 맞는데요...
    '20.5.10 9:06 AM (73.97.xxx.114)

    무슨 음식이든 고온가열하면 다 나와요... 아쉽게도 탄수화물이 단백질...고기보다 더 나온대요.
    커피도 그렇고요... 그런 면에서 스벅에 태운 커피가 쪼금 더 나아요... 다크로스팅이 미디엄보다 그게 적대요... 커피를 어느정도 볶으면 나오기 시작하는데 계속볶으면 다 날아가서 더 적게 남아있다고...ㅎㅎ
    인절미 겨울에 구워먹던건... 한쪽이 탄거가 더 맛났던거... 이제 맘편히 먹지도 못하고...ㅠ.ㅠ

  • 31. ...
    '20.5.10 9:32 AM (175.113.xxx.252)

    그럼 그냥 감자나 고구마나 다 쪄서 먹어야겠네요

  • 32. 다 있어요.
    '20.5.10 9:34 AM (172.119.xxx.155) - 삭제된댓글

    단무지에 사카린도 발암물질 아닌가요?
    미국코스코에서 팔리는 한국 조미김사면 포장지에
    이식품은 캘리포냐주에서 발임물질로 알려진 ×××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하고 나온다고 들었어요.
    캔 안쪽에도 발암물질있고....

  • 33. 배고파
    '20.5.10 10:01 AM (39.121.xxx.71)

    생식이 더 위험하다는 ㅠ
    며칠전에 82에 어떤 분이 오이 기생충 찍은 유투브 올린거 봤어요
    그분 유투브에 오이뿐 아니라 여러 야채가 아무리 깨끗이 씻어도 기생충 살아있는거 확인시켜 줬어요
    절대 미생물이 아니래요
    저 그거 본뒤로 샐러드 못먹겠다는 ㅠ

  • 34. 윗분
    '20.5.10 10:06 AM (175.213.xxx.221) - 삭제된댓글

    그렇게 치면 생선회는 정말 못드실듯.....

    그냥 구충제를 드세요.

    과일은 또 어떻게 하시려고..

  • 35. 윗분
    '20.5.10 10:06 AM (175.213.xxx.221)

    그렇게 치면 생선회는 정말 못드실듯.....

    그냥 구충제를 드세요.

    과일은 또 어떻게 하시려구요.

  • 36. 원글
    '20.5.10 10:26 AM (222.104.xxx.144)

    찌거나 데쳐 먹는건 좋아요.
    근데 빵,군고구마를 어쩌다 먹는거면 몰라도
    매일 드시면 건강에 안좋답니다.
    탄수화물을 고온에 장~~시간.
    식영과교수님 말씀이셨어요.
    군고구마도 장~~시간 고온에 구워 꿀나오게 하고.
    빵도 180도에서 장시간 굽잖아요.
    밥은 장시간 아니죠.

  • 37. 주식으로
    '20.5.10 11:09 AM (115.140.xxx.66) - 삭제된댓글

    빵을 사는 다른 나라 사람들은
    아 암 걸려 죽었겠네요

  • 38. 다른나라 사람들
    '20.5.10 11:10 AM (115.140.xxx.66)

    빵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은
    다 암 걸려 죽었겠네요

  • 39. 내비도
    '20.5.10 11:16 AM (175.192.xxx.44)

    문제가 되는 아크릴 아마이드는, 아스파라긴과 포도당을 가진 물질을 120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필수적으로 발생한다 고 하네요.
    그리고 175도를 넘기게되면 그 양이 현저히 많아지나봐요.
    반대로 175도를 넘기지 않게 되면 어느정도 양을 줄일 수 있고요.
    더불어, 아크릴 아마이드의 암 발생 수치는 아직 밝혀진 바 없고, 생활속 정삭적인 양의 섭취는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 40. ㅠㅠ
    '20.5.10 11:29 AM (39.115.xxx.200)

    고구마는 구워먹는게 꿀맛인데... 삶은 건 맛없고. 왜 맛있는건 다 몸에 나쁠까요

  • 41.
    '20.5.10 11:42 AM (218.146.xxx.219)

    맛있는건 다 발암이래ㅠㅠ
    에프 발암기계 웃프구요 ㅠㅠ

  • 42. 반 쪼개서
    '20.5.10 11:44 AM (223.33.xxx.55)

    굽는시간을 반으로 줄이면 되겠군요

  • 43.
    '20.5.10 11:55 AM (115.23.xxx.156)

    군고구마 좋아하는데 ㅠㅠ

  • 44. ㅡㅡㅡ
    '20.5.10 11:59 AM (175.223.xxx.73)

    탄수화물 120이상 열로가열하면 다 발암물질 생기는거라
    감자 고구마 빵.. 다그런거죠.
    특히 군고구마는 구웠을때 더 달아져서 다여트의 적이구요

  • 45. ..
    '20.5.10 12:00 PM (116.39.xxx.81)

    내 군고구마에게 왜그랭...ㅠㅠㅠㅠ

  • 46.
    '20.5.10 2:46 PM (110.70.xxx.180)

    만약에 빵 혹은 과자도 굽는 온도를 높이고, 재료에 아스파라긴과 포도당이 존재한다면 최종 제품에는 반드시 아크릴아마이드가 발견될 것이다. 단, 삶아서 음식을 만드는 경우에는 아크릴아마이드가 형성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끓는 물의 온도가 100oC 이상 올라가지 않기 때문이다.

    아크릴아마이드가 문제가 되자 사람들은 온도를 조절하여 맛을 잃지 않으면서 아크릴아마이드 형성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아 냈다. 그 결과 175oC 이하의 온도에서 튀기거나 구우면 아크릴아마이드의 형성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묽은 식초 용액에서 살짝 데친 후에 감자 튀김을 하면 아크릴아마이드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조리법도 발표되었다.

    감자에는 아스파라긴이 많이 있으므로 환원당이 많이 포함된 감자 재료를 사용할 때는 굽거나 튀기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감자의 경우 4oC 이하에서 보관을 하면 환원당이 증가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감자의 보관 방법과 요리 방법에 따라 감자 요리에 포함될 아크릴아마이드의 양도 많이 달라질 것으로 생각된다.


    삶아서 음식을 만들면 끓는 물의 온도가 100oC 이상 올라가지 않기 때문에 아크릴아마이드가 형성되지 않는다.


    감자의 경우 4oC 이하에서 보관을 하면 환원당이 증가하므로 상온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4먹지 않을 수는 없을까?
    감자 튀김, 빵, 과자, 커피 등에 포함되어 있을 지도 모르는 아크릴아마이드 때문에 좋아하는 기호식품을 멀리하기란 쉽지 않다. 또한 본래의 향과 맛을 유지하면서 아크릴아마이드의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획기적인 조리법을 개발하는 것도 어려워 보인다.

    그렇지만 감자를 포함해서 많은 종류의 음식에는 적은 양의 아크릴아마이드 정도는 감수를 하고 먹어도 좋을 만큼 몸에 좋은 화학물질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온통 화학물질 투성이다. 우리 역시 화학물질과 더불어 살 수 밖에 없는 운명을 타고 난 것이다

  • 47. ....
    '20.5.10 3:58 PM (59.14.xxx.232)

    고구마 쪄먹어야겠네요. 감사. 좋은 정보.
    오늘 에어프라이어에 구웠는데 얘만 먹고 쪄 먹어야겠어요.

  • 48.
    '20.5.10 7:06 PM (222.118.xxx.175) - 삭제된댓글

    군고구마 안먹으면 그만이지 했는데
    빵도요?
    하루 한끼이상 빵으로 뗴우는데..

  • 49. 배고파
    '20.5.10 7:43 PM (39.121.xxx.71)

    175.213 한번 유투브 가서 보고 오세요~
    저도 설마했다가 가서 보고 그뒤로 오이 못먹어요
    익혀 먹음 괜찮다는데 오이를 어케 익혀먹나요 ㅠ

  • 50. ..
    '20.5.10 8:06 PM (125.177.xxx.43)

    그런거 다 가리면 먹을게 있을지..
    발암물질이라고 숯불구이 안먹는 지인
    인스턴트 외식 다 해요

  • 51. 에잇
    '20.5.10 9:49 PM (112.167.xxx.92)

    걍 먹을랍니다 고기도 구워 태우면 발암이고 참기름도 발암이에요 살짝 볶는 수준이 아니고 태우다시피 까맣게 해서 짜거든요 에휴 그러니 뭐 이거저거 다 따지면 정말 먹을게 없어요

    더구나 커피와 빵은 포기 못하겠네요 뭐 고구마야 자주 먹는게 아니라서 어쩌다 먹는거니 솔직히 안먹어도 그만이고 그러나 커피와 빵은ㄷㄷㄷ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76927 서울 시내버스 공공 와이파이인데 어떻게 운영되나요? 1 신기해서 2020/05/18 609
1076926 저 검정바탕에 꽃무늬 스커트샀어요. 7 고민하다가 2020/05/18 2,405
1076925 재개발 지구 내에 20년 안된 아파트는 어떻게 되나요? 3 재개발 재건.. 2020/05/18 1,505
1076924 이 치료 후 교합이 안맞아 아파요 1 겁남 2020/05/18 1,344
1076923 염색약 제일 밝은색과 제일 어두운색 섞어서 하면 어찌되나요? 4 ... 2020/05/18 2,229
1076922 저는 학창시절 걱정 한번 안끼치던 딸이였어요... 23 레이니 2020/05/18 7,595
1076921 엄마가 불안증 우울증 환자인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6 ㅜㅜ 2020/05/18 2,672
1076920 지금 천둥번개와 비가 내려요. 5 초여름 2020/05/18 1,097
1076919 세컨드 자식은 아버지 재산에만 권리가 있나요? 9 재벌보니 2020/05/18 3,092
1076918 이제야 방탄에 관심생기는데 누구 좋아하세요? 38 .. 2020/05/18 2,796
1076917 코로나 집콕에 집 상태가 어떠세요? 6 홈블라인드 2020/05/18 1,905
1076916 스트레스풀리는 음식 추천요 7 스트레스 2020/05/18 1,403
1076915 나도 이제 토왜 되는 거임? 16 에라2 2020/05/18 1,506
1076914 구운 자반고등어로 1 00 2020/05/18 786
107691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 조선총독부 박물관 자료 7 .. 2020/05/18 929
1076912 맛없는 생선 조림 어떻게 살리죠? 5 망했음 2020/05/18 769
1076911 아.. 알바 구하기가 힘드네요 3 ... 2020/05/18 3,106
1076910 대통령이 189조 먹튀한 건 어떻게 생각하세요? 61 댓글 만선 .. 2020/05/18 6,484
1076909 비 오는 날 신발 뭐 신으시나요~? 9 신발 2020/05/18 2,661
1076908 욕실은 어떻게 정리하나요? 10 2020/05/18 2,654
1076907 생선살 튀김하려고 하는데요~ 전분으로만 해도괜찮을까요? 4 음마 2020/05/18 769
1076906 임영웅 이분 트롯만 잘하는게 아니군요 20 ... 2020/05/18 5,299
1076905 개별난방 전환공사하면서 분배기교환까지 하는게 나을까요? 3 보일러 2020/05/18 1,032
1076904 30년동안 외면하던 6 비온다 2020/05/18 2,636
1076903 국가재난기금으로 경기도 이천시에서 샤오미 로봇청소기 2세대 도와주세요... 2020/05/18 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