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재난 지원금 100프로 정부 계산법

here 조회수 : 4,355
작성일 : 2020-04-23 23:45:14
다들 논란이 많으신데요
1. 100프로가 아닐경우 누구에게 몇프로 줄건지..계획하는것 부터 그 경계가 명확치 않아서 시간은 흘러도 답내기가 어려운 사안입니다
2.100프로 모두에게 주는 경우
사안도 빨리 처리되지만

저소득층은 어차피 이 보조금으로 도움될것이고

부자인 경우 100만원 지원 받나 안받나 세금 많이 내니 큰 관계없음요

다들 시물레이션 돌려보고 100프로 지급이 제일 처리 빠르고 깔끔하고.. 크게 손해없어 분란의 여지가 없음으로 진행하는거라네요

부자들에게 왜 주나 이해안되시는분들...
시물레이션으로 돌려보면 나중에 큰 문제 없다네요
부자도 세금많이 내니 크게 상관없지만 이런 세금 혜택 누릴수 있으면 좋구요

100프로 지급이 아닐경우
누구에게 몇프로 얼마나 지급하나 그 경계를 짓기가 애매해서 탁상공론만 하기 쉽다네요

부족한 설명이지만 도움 되시길

저보다 전문적으로 더 자세히 솔명하실수 있는분들 보충설명 부탁드려요 ㅎㅎ
IP : 80.225.xxx.210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0.4.23 11:49 PM (121.125.xxx.71)

    그래서 인당얼마에요?

  • 2. ㅇㅇㅇ
    '20.4.23 11:51 PM (61.82.xxx.84) - 삭제된댓글

    재난지윈금에 대하여는 소득세 부과 못한다고 뉴스 나오던데요? 아닌가요?

  • 3. ..
    '20.4.23 11:52 PM (115.140.xxx.145)

    재난지원금에 세금 부과하기 힘들어서 나온 대안이 기부방법입니다

  • 4. ㅇㅇㅇ
    '20.4.23 11:55 PM (61.82.xxx.84) - 삭제된댓글

    소득세법을 고쳐야 하는데, 복지수당을 과세하는 것으로 소득세를 개정한다면, 반대할 저소득층 사람들 어마어마할 것 같은데요? 못 고치지 싶네요. 그래서 궁여지책으로 받아가지 말거나, 그냥 정부에 기부한 것으로 처리하라고 권유하는 거쟎아요. 기부금공제나 받으라고...

  • 5. Here
    '20.4.23 11:56 PM (80.225.xxx.210)

    아 소득세 부과 못한다해도
    어차피 부자들은 세금 많이 내니 지원 일정 받아도 크게 상관 없다네요


    100로가 아닐경우
    누구에게 얼마나 합리적으로 줄수 있을지 ...분란의 여지가 많기 때문에 이게 더 합리적 결정이라네요

    저도 설명만 들은거예요

  • 6. ㅇㅇㅇ
    '20.4.23 11:57 PM (61.82.xxx.84) - 삭제된댓글

    시뮬레이션 누가 돌린걸까요? 이렇게 빨리 돌릴 능력이나 되나?

  • 7. ㅇㅇㅇ
    '20.4.23 11:59 PM (61.82.xxx.84) - 삭제된댓글

    원글 쓴 분, 출처나 제대로 밝혀주세요.
    누가 대체 소득세 운운하며 시뮬레이션 돌리고 문제없다고 하는건지?

  • 8. ㅇㅇㅇ
    '20.4.24 12:04 AM (61.82.xxx.84) - 삭제된댓글

    소득세 부과 못한다해도 
    어차피 부자들은 세금 많이 내니 지원 일정 받아도 크게 상관 없다네요 ㅡㅡㅡㅡ> 이게 무슨 소리래요?
    부자들은 세금 많이 내니, 재난지원금 받아도 크게 상관없다니요? 재난지원금 성격조차 모르고 말하는 듯 ㅎㅎㅎ 이러니 자꾸만 혼란만 부추기죠. 이런글 성급히 왜 자꾸 쓰시는 거예요? 100프로 지급의 당위성을 피력하기에도, 이해해주기도 힘든 준비안된 글이네요. 차라리 지우시던가...

  • 9. ...
    '20.4.24 12:06 AM (119.64.xxx.92)

    가구당 10만 원씩 줄이고 10%는 안 받는다고 생각하면
    국채 발행 하지 않고 딱 맞을 텐데 참
    기본 20만 원에 1인당 20만 원씩 추가하는데
    가구구성원이 많은 사람들한테 불공평함
    나같은 1인가구에 40만원이나 왜 준다는건지 ㅋㅋ

  • 10. Here
    '20.4.24 12:06 AM (80.225.xxx.210) - 삭제된댓글

    출처는 아시는 경제학자분이 설명한거라

    지운금은 소득세 책정 안되어도 결국 부자들 세금 많이 내기때문에 지원금 받든 안받든 크게 문제 안되구요
    정부의 관건은 받야야 될 사람들이 못받을 경우가 생기니 109프로 대상 하는거래요

    복지는 말 그대로 전 국민 대상이고

    부자들 이거 받아도 여전히 세금 많이 내니 큰 상관 없대요

    그래서 기부제 말도 나오는거구요

  • 11. here
    '20.4.24 12:09 AM (80.225.xxx.210)

    저도 짧은 소견이라 잘 몰라요
    경제학자분이 설명 한걸 전문가가 아니라서 대충설명하니 논란이 있는듯요 죄송요

    지원금은 소득세 책정 안되어도 결국 부자들 세금 많이 내기때문에 지원금 받든 안받든 크게 문제 안되구요
    정부의 관건은 받야야 될 사람들이 못받을 경우가 생기니 100프로 대상 하는거래요

    복지는 말 그대로 세금내는 전 국민 대상이고

    부자들 이거 받아도 여전히 세금 많이 내니 조금 받는다 해도 큰 상관 없대요
    저소득층은 물론 이 지원금이 도움되구요

    그래서 기부제 말도 나오는거구요

    더 자세히 전문적으로 설명할수 있으면 좋을텐데.. 저도 주워들은거라 ㅠㅠ

  • 12. ㅇㅇㅇ
    '20.4.24 12:12 AM (61.82.xxx.84) - 삭제된댓글

    니들 혹시 82자게의 '100프로 지급 30프로 이상의 자발적 기부' 관련 글과 댓글들 보고 옳타쿠나 하고 발표한거니? 그래서 자꾸 자게 와서 이제 근거와 시뮬레이션까지 구체적으로 알려달라고 운을 띄우는 거니? 설마 진짜로 그러는 건 아니지?

  • 13. ㅇㅇㅇ
    '20.4.24 12:15 AM (61.82.xxx.84) - 삭제된댓글

    능력안되면 귀라도 열고 전문가 말을 따르는거다. 기재부 전문가. 질본 중심의 방역대응 성공하는 것 보고도 느끼는 것 없었나 보네.

  • 14. .. .
    '20.4.24 12:21 AM (223.39.xxx.158)

    아무리그래도 이재명은 안 됨.

  • 15. ..
    '20.4.24 12:22 AM (115.140.xxx.145)

    사실관계 틀린 글이고 본인도 제대로 못 옮겼다하시니 지우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런 글로 잘못 알려지면 바로잡기가 더 힘들거든요

  • 16. 암튼
    '20.4.24 12:28 AM (218.238.xxx.34)

    지난에 퇴직금으로 인해 30프로인 3인 가족인에
    딸몫만 빼고 기부합니다.

  • 17. 초승달님
    '20.4.24 12:29 AM (39.115.xxx.14)

    희망사항끼워넣은 이런저런 글 올려서 헷갈리게 하지말고
    기다려봅시다.
    기재부의 정확한 설명과 정부의 발표가 곧나오겠죠.

  • 18. 저도
    '20.4.24 12:56 AM (89.241.xxx.84)

    정부가 알아성 잘 대책 마련할 것 같아요. 70프로만 주면 1프로 차이로 누군 받고 누군 못받았다고 오히려 더 많은 말이 나오니 세금 많이 내는 사람까지 100프로 일괄적으로 다 주고 그런 다음에 많이 받은 분들이 기부를 하든 어차피 많이 받으면 세금에서 더 나가는 것도 있지 않을까요?
    영국에서도 부자든 가난하든 자녀양육비 다 공평하게 받거든요. 물론 딩크족은 부당하다고 불평불만하지만 어쨌든 모든 사람들이 다 100프로 만족하는 사회정책을 없을 것이지만 그 갭을 조금이라도 줄이고 불평을 좀 더 줄이는 방안으로 국가정책을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아서 국가경제가 돌아가면 그 혜택이 더 큰 거라고 보고요...어찌 되었던 국민을 위해 최선을 다하려는 정부와 대통령님께 감사합니다.

  • 19. ...
    '20.4.24 9:19 AM (218.236.xxx.162)

    100% 신속한 지급
    현명한 결정 고맙습니다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71839 간지러움증 면역력 키워 나은 분 계신가요. 14 .. 2020/05/05 4,459
1071838 홈트 두달째의 변화입니다. 4 푸르른물결 2020/05/05 6,749
1071837 고2 아이가 걸을때 발목이 안쪽으로 쏠려요 26 난둘 2020/05/05 4,307
1071836 와인따를때 say when. 글 썼던 사람이에요~ 10 그랭 2020/05/05 2,673
1071835 남편여동생네가 저희집에 놀러왔는데요 7 ㅇㅇ 2020/05/05 7,307
1071834 직업이 임대업인 남편감 어떤가요? 30 Hum 2020/05/05 9,376
1071833 저희엄마얘기좀요.. 10 ㄹㄹ 2020/05/05 2,664
1071832 보수는 왜 민주당 지지로 ‘전향’했나? 10 ㅇㅇ 2020/05/04 2,669
1071831 선시장에서 이정도 조건이 과할까요 40 .... 2020/05/04 6,449
1071830 부부의 세계 1화 보는데 5 ... 2020/05/04 2,377
1071829 쭈꾸미.. 가락시장 가면 저렴할까요? 4 ** 2020/05/04 2,082
1071828 걸그룹 과도한 노출도 이젠 거의 없어지는 듯해요 5 ..... 2020/05/04 5,277
1071827 ABC마트, 日 본사에 로열티 81억 보냈다 2 이뻐 2020/05/04 2,435
1071826 김치 사먹는 사람인데요. 맛있는 김치좀 꼭 부탁드려요. 43 김치 2020/05/04 7,832
1071825 국회의원은 탄핵안되는지 궁금 3 더라이브 2020/05/04 882
1071824 첫만남에 잠자리 (내용펑) 144 오월의봄 2020/05/04 36,945
1071823 형제들 다 외국에 있을때 부모님 부양 어떻게 하시나요? 11 부모 2020/05/04 4,652
1071822 마늘쫑 뭐 해 먹나요? 16 친정엄마 2020/05/04 3,051
1071821 물질적으로 못해준것만 기억에 남나봐요 2 ㄷㄷㅎ 2020/05/04 2,043
1071820 의원 내각제를 하면 국회의원 권력이 커지나요? 3 ㅇㅇ 2020/05/04 824
1071819 역이민이 그렇게 비난받을 일인가요? 116 역이민 가능.. 2020/05/04 16,985
1071818 김유진pd 수면제 몇알 먹고 의식희미로 일반병실간게 대체 26 참나뻔뻔 2020/05/04 19,806
1071817 오늘 시끄러웠던 예비신랑분 에휴 4 Sskosl.. 2020/05/04 7,363
1071816 당황하면 목소리가 떨려요. 방법이 없을까요 5 소심한 여자.. 2020/05/04 2,968
1071815 부부의세계 노을이요 8 ㅇㅇ 2020/05/04 4,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