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200411030257912
완벽하게 튜더의 이 글에 동의함!
*******************
한국, 변질된 개인주의에 갇힌 서양과 대조
성숙한 사회는 위기 때 민주적 단결력 발휘
동서양 장점 서로 배우는 평등관계로 가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세계 각국의 시스템과 의지를 시험대에 올리고 있다. 애석하게도 서구 국가들은 대체로 이 시험에서 고전 중이다. 영국 출신인 나에게는 딱히 놀랄 일도 아니다. 이런 위기 상황에서 정부와 국민의 초기 대응이 어떨지 짐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 개선되고 있기는 하지만 영국은 초기에 미적거린 대가를 이미 너무 크게 치렀다. 10일 오전 기준 영국의 사망자는 8000명에 이르고 있다. 어머니는 지난 2주 동안 집에 갇혀 지내셨다. 어머니는 내가 전화를 걸 때마다 우신다. 지금 영국에 있는 사람들 모두 비슷한 일을 겪고 있다. 이런 조치가 정신 건강과 경제에 미칠 영향은 엄청날 것이다.
한국 친구들은 서구 사회의 대응을 보며 ‘이것보다는 잘할 줄 알았어’라고 말한다. 영국 언론에도 한국의 대응을 칭찬하는 내용이 가득하다. 이러한 상황이 바로 오늘 이야기할 주제를 떠오르게 했다. 2020년은 서양이 스스로와 동양을 보는 관점을 바꾸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2020년은 또 한국인에게도 서구 국가들에 대한 ‘사대주의’에서 벗어나 스스로를 보는 관점을 바꿔줄 전환점이 될 것이다.
한국에서는 내재화된 ‘서양 우월주의’를 쉽게 볼 수 있다. 최고의 교육은 미국식이고 글로벌 스탠더드도 늘 서양 기준이다. 한국의 유명인이 서양에서 인정이라도 받으면 한국 언론은 유별날 정도로 열광한다.
비유하자면 이런 경향은 한국을 ‘공부 잘하는 학생’ 정도로 여기며 생색내는 많은 서양인들에게서도 나타난다. 특히 한국과 미국이 이견을 보이는 사안의 경우 미국의 소위 ‘한국통’들은 한국인들의 이견을 단순히 견해차가 아닌 ‘반미주의’나 ‘동맹의 은혜를 모르는 배은망덕함’쯤으로 여기곤 한다.
하지만 한국은 학생으로 따지면 이미 여러 방면에서 ‘청출어람’을 이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한국의 사회계약 개념은 영국이 한때 보장했다가 이후 대부분 잃었다가 최근 다시 구축하려고 노력 중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미국이 단 한 번도 가지지 못한 것이다.
이 사회계약의 기본 구조는 국가가 일정 수준의 보호를 제공하면 개개인 역시 그 대가로 국가에 일정 수준의 신뢰를 주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계약은 홉스가 말한 ‘리바이어던’의 형태가 아니다. 국가가 국민의 신뢰를 남용하지 못하게 억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민주적이고 투명한 계약이기 때문이다.
반면 영어권 국가에서는 좌우를 가리지 않고 ‘당신이 나에 대해 이래라저래라 할 수 없다’는 사고방식에 기반한 정부 불신이 오랫동안 쌓여 왔다. 그리고 1980년대 이후에는 한때 영어권 국가의 강점으로 여겨졌던 개인주의가 변질돼 ‘사회라는 것이 존재하기는 하는가’라는 의문마저 나타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자연 재난을 비롯해 전 세계에 감염병이 급속도로 퍼지는 시대가 도래하면 서구 사회는 이러한 사고방식의 변화 없이 재난 상황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종종 ‘전체주의’ 대 ‘혼돈의 민주주의’라는 다소 위험하고 거짓된 이분법적 상황에 놓이기도 한다. 최근 봉쇄령으로 집 밖에 나가지 못하고 있는 미국에 사는 친구는 농반진반으로 ‘(시국을 보면) 트럼프보다는 차라리 시진핑의 통치를 받는 게 나을 것 같다’고 하기도 했다. 하지만 독재 역시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다. 부패나 지도자의 독단, 무엇이 진실인지 알 수 없는 상황 같은 체제 고유의 특성 탓이다.
다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전체주의와 민주주의 사이에서 양자택일의 선택을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이다. 성숙한 사회는 위기 속에서도 민주적이지만 동시에 단결력을 발휘한다. 바로 이게 내가 태어나 처음으로 서양 친구들이 ‘우리도 한국처럼 해야 해’ ‘우리도 대만처럼 해야 해’라고 말하는 것을 듣게 된 이유다.
우리는 모두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을 유지한 채 서로의 모범 사례를 차용해야 한다. 그간 동서양을 막론하고 ‘선진국’이라는 관념 속 깊게 내재된 서양 우월주의는 이러한 협력의 장애물이 됐다. 좋은 사례와 나쁜 사례는 있을 수 있어도 좋은 국가와 나쁜 국가는 있을 수 없는 법이다.
예컨대 코로나19에서 드러난 미국의 후진적 의료보험과 공중 보건 문제는 미국이 한국에서 배울 게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동시에 ‘n번방’ 사건을 통해서는 한국이 미국의 더 엄격한 성범죄자 처벌 제도에서 배울 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20년, 세상은 조금은 더 두려운 곳이 되었다. 하지만 이 어려운 시기는 의도치 않게 우리에게 좀 더 평등한 동서양의 관계를 생각해볼 기회를 주고 있다.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양 우월주의'가 무너지고 있다[동아 시론/다니엘 튜더]
prio 조회수 : 1,710
작성일 : 2020-04-11 10:36:46
IP : 175.211.xxx.106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쓸개코
'20.4.11 11:14 AM (218.148.xxx.86)동아지만 글 좋네요.
2. ㅎㅎ
'20.4.11 11:24 AM (39.119.xxx.66)한국의 유명인이 서양에서 인정이라도 받으면 한국 언론은 유별날 정도로 열광한다. 22222222
한국인의 특징. 솔직히 서양인이 잘난것 맞지. 뭘 또 서양우월주의가 내려가고 있어. 기사 참 돈 뽑을려고 자극적이다! 이게 바로 서양보다 후진적이라는 뜻이다! 서양기자들은 최소한 양심은 있어 진실되게 기사 쓰더라 칫3. 그러게요
'20.4.11 11:25 AM (211.245.xxx.178)서로 타산지석하면 될걸...
니가 낫네 내가 낫네 싸울필요없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