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지어질땐 인근에서 최고의 좋은 아파트
저는 3년 후에 들어갔네요
그 세월동안 무수히 이사가고 오고 집값도 왔다갔다
그러나 남편은 안정만을 원했지요
일찍 이사했던 사람들은 전부 수억대 재산가 되었지만
우리는 집값없는 오래된 초라한 아파트 보유자
정말 한숨나네요
여긴 지방입니다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금 집에서 20년 살았습니다
이사가답 조회수 : 3,102
작성일 : 2018-09-13 16:08:03
IP : 175.223.xxx.16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종부세
'18.9.13 4:08 PM (119.196.xxx.130) - 삭제된댓글대상이세요? 저는 집이 없어서 기준을 자세히는 안봤는데
1주택 보유자시면 시가 10억인가 넘어야 된다던데요?2. ㅇㅇ
'18.9.13 4:20 PM (58.140.xxx.184)지방은 재건축 메리트가 없다보니 서울이랑 달라요.
지인들보면 아파트 오래 보유한집보다 땅 오래보유한집들이 훨씬 더 자산가가 되어져있더군요.3. ㅠ
'18.9.13 4:36 PM (49.167.xxx.131)사실 집한채면 오르는게 의미없지않나요 다른집도 어차피오르니 그냥 살집이라는 개념이더라구요
4. ,,,,,,,,,
'18.9.13 5:13 PM (39.116.xxx.27)지방은 20년 넘으면 가격이 내려가요.
인구유입이 없으니 사람들이 새아파트로 이동하고
오래된 동네, 낡은 아파트는 슬럼화.
제가 지금 사는 집이 그렇네요.
수도권에 집 있고 사정상 소도시에 전세 사는데
23평에 전세 6,500만원/ 매매 7천만원이에요.
5년전만 해도 전세 1억이었구요.ㅠㅠ
10분이면 시내 기차역, 터미널, 극장 갈 수 있고
걸어서 5분 우체국, 은행, 동사무소, 하나로마트등 있을 거 다 있고,
사는데 크게 불편한거 없어서
이곳이 고향이고, 직장 있으면 참 살기는 좋겠다 생각했어요.
2천정도 들여 리모델링 하면 새집 같더라구요. 다 합쳐 1억이 안됨..
서울 집값 안쳐다보고 여기서 자리 잡고 대충 살면 맘은 편할것 같아요.5. 윗님
'18.9.13 7:34 PM (118.131.xxx.115) - 삭제된댓글어떤 도시에서 사시나요?
다른 도시로 이주 생각하는데 전세가 그정도라니 궁금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