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냉장고에 밥 보관했다 먹기 노하우좀 전수해 주세요

까칠마눌 조회수 : 2,423
작성일 : 2018-09-12 14:26:31
정말 희한할 정도로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더라구요. 딱히 뭘 하는 것도 없는데 늘 다른집 대비20% 초과사용이라고... ㅠㅠ

그래서 얼마전부터 전기밥솥 사용안하고 밥을 지으면 바로 코드 빼고 유리 용기나 스텐 용기에 넣어 냉장보관 했다 먹거든요. 길어도 이틀내 다 먹고요.

근데 냉동 또는 냉장 해 둔 밥 렌지에 돌리면 금방한 밥처럼 된다고들 하는데 전 전혀요. ㅠㅠ

뚜껑 덮고 돌려도, 열고 돌려도, 소분해서 돌려도 약간 찬기만 가실 정도로 약하게 데워도.... 뭔가 퍼석하고 밥알들이 따로놀거나 딱딱하고 질겨지고...

노하우좀 전수해 주세요~~
IP : 218.51.xxx.216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8.9.12 2:29 PM (58.127.xxx.227)

    퍼담자마자 뚜껑 닫아 한김 식혀 냉동실요.

  • 2. ...
    '18.9.12 2:30 PM (210.216.xxx.121)

    저는 냉동까진 아니고 냉장 보관했다가 먹는데요
    렌지에 데우실때 물을 1~2숟가락 끼얹고 데워요.
    그리고 데우는 시간도 짧으면 퍼석거려요.
    시간을 조금 더 늘여보세요

  • 3. ㅁㅁ
    '18.9.12 2:35 PM (175.223.xxx.82) - 삭제된댓글

    시간 조절이 안맞은거죠
    물을 넣고말고 할것도없는데 ㅠㅠ

    렌지용 그릇에 둿다 그대로 덮은상태로
    보통 햇반 일인분이 2분이니까 냉동이면 일일분 3ㅡ4분
    맞춰 보세요
    내 눈으로 보고 조절해야해요

  • 4. dlfjs
    '18.9.12 2:36 PM (125.177.xxx.43)

    취사 되자마자 뜨거울때 바로 냉동해요 해동때 충분히 뜨겁게 하고요
    근데 전기료 얼마 차이 안날텐데 바로 바로 해먹는게 맛있어요

  • 5. ,,
    '18.9.12 2:37 PM (117.111.xxx.238) - 삭제된댓글

    냉장한 밥 한공기에 두껑은 없어도 되구요
    2분 돌립니다
    밥의 양에따라시간도 조절해야 하지요

  • 6. ,,
    '18.9.12 2:39 PM (117.111.xxx.238) - 삭제된댓글

    스텐용기에 그냥 덮어서 냉장하면
    밥이 말라서 나빠요
    반드시 랩으로 밀봉해서
    렌지에 데울때 스텐이 아닌 용기에 밥을
    담아서 두껑열고 돌리세요

  • 7. 밥 보관용기
    '18.9.12 2:49 PM (58.122.xxx.142)

    에 담아서 식힌다음 냉장했다가 렌지 돌려먹어요.
    갓한 밥처럼 된다는건 당연히 말이 안되구요. 먹을만해요.
    요새 나오는 보관용기는 실리콘뚜껑이고 작은 구멍만 열어서 렌지 돌릴수 있으니
    수분이 비교적 덜 빠지는듯해요.

  • 8. 근데
    '18.9.12 3:15 PM (49.161.xxx.226)

    밥솥 사용 안하는 대신 전자렌지 쓰면 전기요금 거기서 거기 아닌가요?

  • 9. 찜기에
    '18.9.12 3:48 PM (121.136.xxx.187)

    물넣고 쪄서 먹습니다

  • 10. 그렇게
    '18.9.12 3:56 PM (39.7.xxx.192) - 삭제된댓글

    먹은지 몇년 되는데 갓 지은 밥처럼 맛있어요.

    제가 하는 방법..

    1. 갓 지은 밥을 뚜껑까지 유리나 스텐인 그릇에 1인분씩 담아 뚜껑을 덮은 상태로 식.힌.뒤 냉장보관한다(밥이 마르는것 방지. 플라스틱 뚜껑인 경우 도자기 접시를 덮어 두었다 다 식으면 뚜껑을 덮으면 됨)

    2. 먹기전 미리 꺼내어 두거나 밥공기에 옮겨담고 위에 유리뚜껑이나 접시를 얹어 전자렌지에 넣는다.
    (랩 사용 안함. 접시면 충분. 미리 꺼내두는 것은 차가운 유리를 바로 돌리면 깨질수도 있어서임)

    일인분: 2분
    이인분: 3분

    전 딱 이렇게 하는데 갓 지은 밥처럼 맛있어요.

    그런데 전자렌지가 다 똑같지 않잖아요? 집집마다 용량이나 세기가 다르니까 밥 한공기를 기준으로 2분 돌려보고 갓 지은 밥같지 않다 싶으면 시간을 20~30초씩 늘려 보세요. 그럼 딱 맞는 시간대를 찾으실수 있을거예요.

    . 데우실때 물 뿌리지 마세요. 뭘 데우던지 조금 큰 도자기 접시를 덮어 돌리면 수분 증발 막아주고 열이 고르게 퍼져 잘 데워져요.
    얼마나 잘 데워지냐면 그릇 전체가 뜨거워서 맨손으로는 못 꺼내요. 실리콘 장갑 끼고 꺼내야 해요.

    . 콤비오븐이라고 부르는 오븐과 전자렌지 겸용인거 있죠? 혹시 이거 쓰시는분은 둥근 발열쟁반이 있을거예요. 피자나 고구마같은거 올려서 굽는 쟁반이요. 그 쟁반 위에 밥그릇을 얹어 데워보세요. 그냥 돌리면 내부가 너무 커서 잘 안데워질수 있는데 이 발열쟁반 위에 밥공기를 얹고 2분만 돌려도 뜨거워요.

    . 밥은 한공기씩 돌리세요.
    두 공기 넣고 4분 돌리면 될 것 같지만 이렇게 하면 뜨거운 곳은 너무 뜨겁고 찬 곳은 차요. 고루 데워지지 않습니다. 돋보기로 까만 종이를 태울때 촛점이 여러개인 경우 불이 잘 붙지않는 것과 비슷한 원리.

    뭘 돌리던지 한번에 하나씩 접시를 덮어 돌리면 빠르게 고루 따뜻합니다.

    . 위에 덮는 것은 평평한 유리뚜껑이나 도자기 접시 쓰세요. 깨지만 않으면 평생 쓸수 있어 경제적이고
    식품에 직접 닿더라도 안심이 되는데 랩은 아무래도뜨거운 열이 가해지면 걱정이 되어 전 사용 안하거든요.

    접시도 너무 두꺼운 도자기 보다는 얇은 코렐같은 접시가 열에도 강하고 좋아요. 다른 것들보다 열 전달이 더 고루 잘되는 것 같아요.

  • 11. 제 방법
    '18.9.12 7:26 PM (39.7.xxx.141)

    밥 해서 종이 호일에 1인분씩
    연잎밥 처럼 싸요

    몇개씩 지퍼팩에 넣어 냉동해요

    먹기 10분전 냉동실에서 꺼내서
    종이호일을 살짝 펼치고
    냄비에 물넣고 찜기에 올려
    연잎밥 찌듯이 쪄요

    촉촉하고 따뜻하고
    부드러운 금방한 밥이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4065 성감대? 4 oo 2018/09/13 2,311
854064 전세 거주자도 세금 내게 해주세요 32 ... 2018/09/13 3,474
854063 미국 계시는 분들 아이들 라이드용 차 추천 부탁요 9 추천 2018/09/13 960
854062 친구문제 때문에 학교가기 싫어해요 13 초1 아들.. 2018/09/13 3,025
854061 한국에서만 사라진 13개월 3 ㅇㅇㅇ 2018/09/13 3,833
854060 휴직하고 아침 빵집가는 오늘 여유럽고 좋네요 5 잠실새댁 2018/09/13 2,944
854059 집 있는 사람이 또 집을 살때 세금 왕창 내게 하면? 4 아줌마 2018/09/13 1,232
854058 세계 집값 거품이 꺼지고있다 - 조선일보 6 ㅇㅇ 2018/09/13 2,320
854057 “이건희 삼성 회장이 횡령한 18조7802억 몰수하라 9 ㅅㄷ 2018/09/13 1,334
854056 종부세, 보유세 올리지 말아달라는 청원을 해야 하나요... 29 걱정 2018/09/13 2,246
854055 세금 많이 내도 노후보장 못받죠? 12 .... 2018/09/13 1,201
854054 김어준의 뉴스공장 주요내용 (페북 펌) 22 ... 2018/09/13 838
854053 혹시 이 운동 아시나요? 3 모모 2018/09/13 1,110
854052 컴버베치의 패트릭멜로즈 재밌네요 7 .. 2018/09/13 1,053
854051 고1아들..뭘 챙겨줘야할지... 15 sewing.. 2018/09/13 2,067
854050 김어준 진짜 애쓰는게 느껴지네요 52 ㅇㅇ 2018/09/13 2,734
854049 '혜경궁 김씨' 수사 촉구 광화문집회 신문광고 등장 “15일 오.. 9 08혜경궁 2018/09/13 573
854048 보유세, 양도세 올리라고 난리쳤죠 25 ... 2018/09/13 2,447
854047 잠실이나 삼성역 근처 정신과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1 우울증 치료.. 2018/09/13 1,074
854046 중고나x 첫거래 10 첨거래 2018/09/13 1,352
854045 돌김과 재래김은 뭐가 다른건가요? 2 ... 2018/09/13 1,050
854044 우와 가짜뉴스 뿌리뽑나보네요 15 ㅋㅋ 2018/09/13 3,159
854043 시골에 묻혀 살면 잊혀질 줄 알겠지? 24 소유10 2018/09/13 7,302
854042 할머니 작은 선물 뭘 좋아하실까요 7 추석 2018/09/13 1,207
854041 취준생·직장인 맞춤형 청년 지원정책 소개 ㅇㅇ 2018/09/13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