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유경근 수의사 페이스북.jpg

강추합니다 조회수 : 3,242
작성일 : 2018-08-29 21:55:14
꼭 일독해 보시길.....



IP : 116.44.xxx.84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8.29 9:57 PM (1.231.xxx.12)

    좋은 글이네요

  • 2. 희망한국
    '18.8.29 9:58 PM (117.111.xxx.203)

    더 어려운 것이 아니라 아직 어려운 것이다.
    We cannot turn back.

  • 3. ......
    '18.8.29 9:59 PM (39.121.xxx.103)

    완전 강추입니다..꼭 읽어보세요.

  • 4. 쓸개코
    '18.8.29 10:00 PM (211.184.xxx.15)

    더 어려운 것이 아니라 아직 어려운 것이다. 222

  • 5. 좋네요
    '18.8.29 10:02 PM (124.80.xxx.231)

    퍼왔어요.

    서민을 위한 경제 정책이라는데 서민은 왜 더 힘든지 후배 원장이 물었다. 고마운 질문이다. 많은 이들이 이런 물음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우선 그 질문을 좀 더 정확하게 바꿔야 한다. 서민이 더 힘든 것이 아니라 아직 힘든 것이다. 기득권 언론이나 보수정치권이 그런 식으로 프레임을 몰고 가고 있지만 서민이 잘 살다가 지금 어려운 것이 아니지 않는가. 그래서 ‘왜 아직 힘드냐.’가 더 정확한 표현이다.

    지금도 힘들고 1년 전에도 힘들었고 5년 전, 10년 전에도 힘들었다. 그렇다면 다시 질문을 수정해서 서민을 위한 경제 정책을 펼치는데 왜 서민은 아직 힘들까.

    솔직히 나는 경제학을 전공한 사람이 아니라 이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다. 하지만 역사는 좀 안다. 그래서 그걸 빗대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모두 기억하는가.

    보수정권은 8,90년대 호황시절 성장 위주로 경제를 운영하다 끝내 이 나라를 외환위기에 빠뜨렸다. 국고가 바낙나 IMF에 경제 주권을 위탁한 상태로 김대중 정부는 나라를 위임받았다. 온 국민의 고통분담과 구조조정으로 2년 만에 IMF위기를 벗어났고 4년도 안 돼 IMF 관리체제를 종식시켰다. 전 세계에 유래가 없는 일이었다.

    노무현대통령이 취임하고 1년도 안 돼 경제가 죽었다며 야당과 언론의 선동으로 온 나라가 난리가 났다. 야당은 ‘환생경제’라는 웃기지도 않는 연극을 하며 경제를 살리라고 쇼를 했다. 심지어 ‘경포대’ 즉 경제를 포기한 대통령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 참여정부가 경제에 실패했다고 연일 떠들었다. 사람들도 다들 그런 줄 알았다. 정말 경제가 나빠졌다고 생각했다. 이는 이명박이라는 천하의 사기꾼에게 정권을 넘겨주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몇 년이 지난 후 우리는 진실을 알게 되었다.

    참여정부의 경제 실적이 어떤 지에 대한 진실을 알게 되었다.(당시까지를 기준으로)

    역대 대외수출 최대 증가(압도적이다), 역대 최고 수준의 고용율, 역대 최대 1인당 면목 국민소득 증가, 국가 정보화 순위 3위,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 달성, 역대 최소수준의 소비자물가상승률, 3%대의 실업률, 문민정부보다 훨씬 적은 부도업체 수, 문민정부보다 훨씬 높은 소득5분위 분배율, 문민정부 절반도 안 되는 제조업 부채비율, 종합주가지수 2000 달성, 사회복지비 예산 대폭 증가 등 대부분의 경제 지표가 당시까지 최고 수준이었다.

    그런데도 경제가 죽었다고 그렇게 온 언론과 정치권이 설레발을 쳤던 것이다. 더 이상 언론과 보수정치권의 거짓말에 속아 넘어가서는 안 된다. ‘서민이 더 어렵다’, ‘경제가 죽었다’라는 거짓말에 속아 넘어가서는 안 된다.

    물론 그럼에도 서민은 어렵다. 하지만 더 어려운 것이 아니라 아직 어려운 것이다. 그 원인은 단순 경제 성장 부진에 있는 것이 아니다. 서민의 소득이 아직 충분히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서민의 지출이 아직 충분히 감소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연유로 소비가 죽고 소비가 죽으니 경제가 충분히 살아나지 않는 것이다. 소득주도 성장으로 패러다임이 바뀐 이유가 바로 그 때문이다. 서민과 국민이 실제로 경제성장의 혜택을 받고 주체가 되게 하기 위해 경제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이다.

    좀 다른 이야기를 해 보겠다.

    1858년 에이브러햄 링컨은 노예제의 완전 폐지를 주창하며 상원의원에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당시 미국 북부지역은 이미 노예제가 상당수 폐지되었지만 목화와 농업을 중심으로 하는 남부는 노예제를 오히려 더 강화하고 있었다. 링컨은 낙선에 좌절하지 않고 1860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끝내 당선되었다.

    노예제 폐지를 반대하는 남부주들이 노예제 폐지론자인 링컨이 당선되자 이에 반발해 분리 독립 전쟁을 일으켰다. 링컨은 이에 굴하지 않고 남북세력에 맞서 당당히 싸웠다. 그리고 전쟁이 한창이던 1862년 노예를 영구히 해방시킨다는 ‘노예해방 선언’을 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1863년 게티즈버그에서 ‘국민을 위한 국민의 의한 국민의 정부는 지상에서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라는 그 유명한 연설을 한다. 그 후로도 2년이 지나서야 남북전쟁이 북군의 승리로 종료가 된다.

    이렇게 노예는 해방되었을까? 흑인들은 자유인이 되고 불행 끝 행복 시작이 되었을까? 모두가 알다시피 아니다. 목장의 노예에서 공장의 노동자로 삶의 위치가 바뀌었을 뿐 그들의 삶은 여전히 힘들었다. 수많은 차별받는 삶을 이어갔다. 그리고 또 백년이 지나 1963년 그 링컨 기념관 앞에서 한 흑인이 유명한 연설은 한다. 나와 비슷한 연식이 있는 사람들은 모두가 기억하는 성문종합영어에도 나오는 마틴 루터 킹의 명 연설문 “I have a dream“이다. 그는 ”all men are created equal“이라는 꿈을 외쳤다. 그렇게 흑인들과 함께 싸워 마침내 온전한 투표권을 쟁취했다.

    하지만 그것이 끝이 아니다. 그 이후로도 단지 피부가 검다는 이유만으로 많은 흑인들은 여러 가지 박해를 받았다. 그런 세월을 딛고 마침내 2009년 흑인출신 대통령 오바마가 당선되기에 이른다. 링컨이 노예해방을 들고 나온 후 150년 동안 긴 세월 흑인의 인권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그렇게 긴 세월이 걸렸지만 그 누구도 링컨이 노예해방을 선언하고 헌법을 바꿨을 때 흑인의 삶은 왜 아직 이 모양이냐며 의미 없는 짓을 그만두자고 하지 않았다. 갈 길은 멀지만 이 길은 옳은 길이기에 계속 가자고 했다. 그렇게 뚜벅뚜벅 걸어온 길이 바로 지금의 미국을 만든 것이다.

    모든 개혁은 그렇게 긴 호흡이 필요하다. 그 개혁의 방향이 옳으냐가 중요하다. 경제 개혁은 더욱 그렇다. 우리는 국민과 서민의 삶이 바뀌는 소득주도 경제 성장 개혁을 이제야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아직 기득권과의 전쟁은 채 시작도 안했다. 그런데 왜 아직 서민의 삶이 좋아지지 않느냐고 묻는다면 우린 무엇이라 답해야 하는가. 힘드니 여기서 이 개혁을 멈춰야 한다고 해야 할까?

    나의 답은 이것이다.

    국민을 위한 국민에 의한 국민의 정부는 지상에서 절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나에게는 꿈이 있다. 모든 사람이 행복하게 사는 세상이 올 것이라는 꿈이 있다.

    그래서
    We cannot turn back.

  • 6. ㅎㅎㅎㅎ
    '18.8.29 10:04 PM (125.186.xxx.102) - 삭제된댓글

    읍읍이들 내부총질 지겹다

  • 7. ...
    '18.8.29 10:09 PM (125.176.xxx.90)

    와. 짧은 글이지만 정독하니 눈물 나요
    문프께서 그렇게 방향을 잡아갈거라 믿어요
    전 문프 믿어요
    제대로 방향 잡아 가신다고 믿어요
    기레기들한테 절대 안휘둘립니다.
    극좌파들한테도 안휘둘립니다.
    극좌파들은 참여정부가 신제국주의 체제 만들었다고 노통을 미워합니다.
    내부의 정통이나 민평련이나 극좌파들 손잡고 노통 문통 미워해요
    그 사람들한테 안휘둘립니다

  • 8. 맞다..공감이다.
    '18.8.29 10:10 PM (118.218.xxx.190)

    누가 속이고 있는지 알 수 있는 글이다..
    좋은 글이라 추천하고 싶다...
    국민들이 잘 살면 먹을 파이가 적어져서 싫어하는 자들이 날뛰는 것임을...

  • 9. ///
    '18.8.29 10:11 PM (223.62.xxx.34)

    지금도 힘들고 1년 전에도 힘들었고 5년 전, 10년 전에도 힘들었다.
    더 어려운 것이 아니라 아직 어려운 것이다.333

  • 10. 감사
    '18.8.29 10:13 PM (115.140.xxx.190)

    동감합니다. 저도 문정부의 개혁의 방향성이 옳기에 지켜보며 기다릴려구요!

  • 11. ,,
    '18.8.29 10:14 PM (183.100.xxx.229)

    Good 베스트에 올라야할 글이네요

  • 12. 터널의 막바지
    '18.8.29 10:23 PM (39.125.xxx.230)

    되돌아가지 않는다

  • 13.
    '18.8.29 10:24 PM (125.177.xxx.105)

    좋은글 감사합니다
    오늘 문대통령 얼굴보니 많이 상하셨더라구요

  • 14. ..
    '18.8.29 10:28 PM (59.6.xxx.219) - 삭제된댓글

    보수진보 막론하고 엄청나게 물어뜯지만 난 꿋꿋이 지지한다는..

  • 15. 그쵸
    '18.8.29 10:34 PM (59.6.xxx.30)

    We cannot turn back.
    멋진 글이네요

  • 16. Ghjkk
    '18.8.29 11:12 PM (110.14.xxx.83)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17. ..
    '18.8.29 11:18 PM (125.132.xxx.157)

    공감합니다. 글 감사합니다.

    참여정부때
    지표를 가지고 설명해도 아무 소용 없어 지쳐버리고 말았던 거에 비하면
    지금은 문파들이 정신차리고 있으니 그만큼 나아진 거라고 위로해봅니다.

    문재인정부 끝까지 지지합니다.

  • 18. ..
    '18.8.30 9:03 AM (118.223.xxx.105) - 삭제된댓글

    다 공감가는 내용 입니다

  • 19. 너무너무
    '18.8.30 9:34 AM (211.220.xxx.118) - 삭제된댓글

    공감 지수 백 입니다
    많이들 읽으셨음 좋겠어요..
    문프 끝까지 견고하게 지지 해야지요.

  • 20. phua
    '18.8.30 12:39 PM (58.123.xxx.184)

    훌쩍........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49683 중립성 무너뜨려" 노조 반발…통계청 독립성 논란 확산 19 ........ 2018/08/29 1,137
849682 아까 초1 도형 재능 키워주고 싶다는 글 삭제했나요? 아까 2018/08/29 769
849681 털보가 2012 대선때 56 털보♡혜경궁.. 2018/08/29 1,576
849680 와 이성민씨인가 이분 연기 진짜 잘하네요 16 .... 2018/08/29 5,709
849679 나이 많은 남자들과 눈이 자꾸 마주쳐요 18 라라라 2018/08/29 6,133
849678 삼성을 제대로 까는 최진기 강의입니다 33 ..... 2018/08/29 1,879
849677 차이슨과 LG 코드제로의 장단점 비교부탁드려요? 3 기맘 2018/08/29 1,976
849676 알바 주휴수당 받을수있는지 봐주세요ㅠ 5 근로계약서 2018/08/29 834
849675 단국대 공대&,한양대 에리카 공대 5 ..... 2018/08/29 4,908
849674 창문 닫아야돼요?? 1 ㅇㅇ 2018/08/29 1,078
849673 삼성을 제대로텁시다...청원 참여해주세요 23 ㅇㅇ 2018/08/29 548
849672 닥표레드요^^ (0829)'빈댓글'하다 커뮤니티 다 태운다/변함.. 3 .. 2018/08/29 481
849671 이혼 일주일전 21 .. 2018/08/29 13,493
849670 60세 전업 진정 돈벌수 있을까요 16 고민 2018/08/29 6,126
849669 교사 가구 재산 보니....‘알부자’의 전형 11 방학없애라 .. 2018/08/29 5,900
849668 말이 너무 많고 잘난척도 심하고 이런 심리 뭔가요? 5 ㅇㅇ 2018/08/29 2,176
849667 너의 결혼식 이랑 서치 중에서 1 골라라 2018/08/29 804
849666 급 남북회담 기념우표 질문이요. 2 서울의달 2018/08/29 345
849665 환승요금 문의해요 7 교통비 2018/08/29 684
849664 남편이 와이프가 직접 아이 공부가르쳤음 하시는분 계신가요? 8 .. 2018/08/29 2,224
849663 커피랑 생리통이랑 상관이 있나요 3 ㅇㅇ 2018/08/29 1,850
849662 음주운전자 차를 같이 타고싶을까요? 간도 커요... 5 ..... 2018/08/29 1,480
849661 고속터미널주변 vs 코액스 - 서울 놀러 오는 후배 어디 데려갈.. 2 서울 2018/08/29 677
849660 배정훈 블랙하우스 pd 46 속았어요 2018/08/29 3,678
849659 3미터 안되는 거실은 무슨 용도로 쓸까요? 4 .. 2018/08/29 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