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어머니 장례식 부조금 중에서요...

궁금 조회수 : 8,003
작성일 : 2018-08-26 23:01:06
시어머니 돌아가셔서 저희 친정애서도 조문을 왔습니다
친정형제가 많은 편이고
특히 오빠가 50만원이나 조의금을 냈더군요.

장례식 끝나고 각자 들어온 대로 조의금을 이름따라
일단 나눴는데요
저희 친정에서 온 조의금을 공동조의금으로 처리해서
제가 챙기지를 못했어요.
원래 이런 식으로 하는 건지?

그리고 시삼촌 시이모님 등등 시부모님 형제들애게서
들어온 조의금도 공동조의금으로 처리했는데
문제는 그 돈의 행방이 묘연합니다.
제가 외며느리라 형제곗돈을 관리하는데
저한테 주질 않았거든요.
시어머니 장례식 관련하여 들어온 돈을
며느리가 왈가왈부하기가 뭣하여 저는 빠졌는데
대체 그 돈이 누구 손에 있는지 남편도 모르네요.

그리고 시어머니 아프실 때
제가 혼자서 병원에 처음부터 끝까지 모시고 다녔는데
장례식 끝나고 수고비 얼마 정도는 챙겨서 주는게
맞는게 아닐까요? (재산은 똑같이 나눴어요)

장례식 끝나고 나니
별별 잡생각이 다 나고
특히 설거지 할 때마다 화가 나서 혼잣말을 자꾸 하게 되네요.



IP : 1.236.xxx.238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8.26 11:03 PM (221.157.xxx.127)

    공동조의금 맞는게 원글님 친정어머니돌아가심 시가에서 부주 하겠죠

  • 2. ...
    '18.8.26 11:03 PM (125.177.xxx.43)

    물어보시지 공동기금 제가 관리하는데 어찌 된건지 ....
    이래서 부모 사후에 등지고 멀어져요ㅠ

  • 3.
    '18.8.26 11:08 PM (183.100.xxx.79) - 삭제된댓글

    저희 시아버지 돌아가셨을 때 친정부모님이 남편 앞으로 부조 했어요. 그리고 저도 외며느리인데 들어온 금액 우선 각자 가져가고 저희 손님이 제일 많아서 식대는 엑셀로 손님 수 계산해서 저희가 비율대로 80프로 부담했어요. 시누가 조의금 들어온거 자기 엄마 다 주자는걸 제가 거부했어요. 아니 아들앞으로 80프로 이상 조의금 들어온 걸 왜 시모 다 줍니까? 저희 시모 수고했다고 오천원 짜리 커피 한 잔 안사주는 인간이라 제가 칼 정리 해서 엑셀로 비율 계산해서 나눴어요. 원글님 화 나실만 해요.

  • 4. 안그래도
    '18.8.26 11:11 PM (1.236.xxx.238)

    앞으로 거리를 좀 두게 되지 않을까 예상은 해요.
    항암치료차 병원 모시고 다니는 수고비는 둘째 치고라도
    며느리가 ‘제대로’ 못했다는 소리를 한 시누이가 하는 바람에
    제가 홧병이 나서 얼굴들 보기도 싫거든요
    자긴 항암치료 한 번 같이 가본 적 없이 저런 소릴 하네요.
    그냥 아들인 우리끼리 알아서 제사 지내고
    안 보고 살았음 좋겠어요
    멀리 사니 오면 또 하룻밤씩 자고 갈 거고..
    기들은 어찌나 센지...

  • 5. .......
    '18.8.26 11:20 PM (112.144.xxx.107) - 삭제된댓글

    와.... 시누이 진자...
    저 같으면 한판 뜨고 내 집에 얼씬도 못하게 할 듯요.

  • 6.
    '18.8.27 1:07 AM (175.193.xxx.222) - 삭제된댓글

    저번에 네이버 카페에서도 며느리 수고비 관련해서 비슷한 질문 나왔었는데 그때 대답이.. 주면 좋고 안주면 말고... 그런 식이었어요. 며느리 수고비 따로 안챙겨주는 집들도 많았고.
    주는 것도 형제들이 다들 주자 하는 경우에 주는 것이지, 며느리가 먼저 수고비 좀 달라고 하면 좀 웃긴 거고.
    저도 시아버지 마지막 병원 계실때 며느리인 제가 제일 많이 갔지만 며느리 수고비 받아야겠단 생각은 한 적은 없네요.
    원글님 친정집 부조금은.. 친정부모님 돌아가시면 어차피 시집형제들도 다 조문해야되니 남편쪽 조의금으로 분류 안하고 공동조의금으로 분류했나보네요. 남편쪽으로 분류하는게 맞긴 한데 뭐 그리 크게 잘못됐단 생각까진 들지 않구요.
    50만원이면 그리 큰 액수 아니고요, 평균적인 액수입니다. 저희 친정에선 시아버지 장례에 아빠 50, 남동생 50, 여동생들 둘이 30씩 했던데요..
    공동조의금이 어디 쓰였는지 아무도 모르시는건가요? 장례식장 비용, 산소비용, 삼오재, 사십구재 비용 등은 원글님 남편분 카드로 하셨나요? 그게 아니라면 부조금 들어온데서 그 비용들 계산했을텐데요. 그거 낸거 아닐까요?

  • 7.
    '18.8.27 1:12 AM (175.193.xxx.222) - 삭제된댓글

    저번에 네이버 카페에서도 며느리 수고비 관련해서 비슷한 질문 나왔었는데 그때 대답이.. 주면 좋고 안주면 말고... 그런 식이었어요. 며느리 수고비 따로 안챙겨주는 집들도 많았고.
    주는 것도 형제들이 다들 주자 하는 경우에 주는 것이지, 며느리가 먼저 수고비 좀 달라고 하면 좀 웃긴 거고.
    저도 시아버지 마지막 병원 계실때 며느리인 제가 제일 많이 갔고 간병비는 9개월간 제 부담이었지만 며느리 수고비 받아야겠단 생각은 한 적은 없네요. 돌아가신 마당에 그런 생각 안들던데요. 게다가 유산까지 남기고 가셔서 다 나눠가졌는데..
    원글님 친정집 부조금은.. 친정부모님 돌아가시면 어차피 시집형제들도 다 조문해야되니 남편쪽 조의금으로 분류 안하고 공동조의금으로 분류했나보네요. 남편쪽으로 분류하는게 맞긴 한데 뭐 그리 크게 잘못됐단 생각까진 들지 않구요.
    50만원이면 그리 큰 액수 아니고요, 평균적인 액수입니다. 저희 친정에선 시아버지 장례에 아빠 50, 남동생 50, 여동생들 둘이 30씩 했던데요..
    공동조의금이 어디 쓰였는지 아무도 모르시는건가요? 장례식장 비용, 산소비용, 삼오재, 사십구재 비용 등은 원글님 남편분 카드로 하셨나요? 그게 아니라면 부조금 들어온데서 그 비용들 계산했을텐데요. 그거 낸거 아닐까요? 그게 아니라면 남편분이 돈문제는 확실히 한번 짚고 넘어가시는게 좋겠네요.

  • 8.
    '18.8.27 1:13 AM (175.193.xxx.222) - 삭제된댓글

    저번에 네이버 카페에서도 며느리 수고비 관련해서 비슷한 질문 나왔었는데 그때 대답이.. 주면 좋고 안주면 말고... 그런 식이었어요. 며느리 수고비 따로 안챙겨주는 집들도 많았고.
    주는 것도 형제들이 다들 주자 하는 경우에 주는 것이지, 며느리가 먼저 수고비 좀 달라고 하면 좀 웃긴 거고.
    저도 시아버지 마지막 병원 계실때 며느리인 제가 제일 많이 갔고 간병비는 9개월간 제 부담이었지만 며느리 수고비 받아야겠단 생각은 한 적은 없네요. 돌아가신 마당에 그런 생각 안들던데요. 게다가 유산까지 남기고 가셔서 다 나눠가졌는데, 수고비 받는다 해도 그게 유산에다 대면 몇푼이나 된다고...
    원글님 친정집 부조금은.. 친정부모님 돌아가시면 어차피 시집형제들도 다 조문해야되니 남편쪽 조의금으로 분류 안하고 공동조의금으로 분류했나보네요. 남편쪽으로 분류하는게 맞긴 한데 뭐 그리 크게 잘못됐단 생각까진 들지 않구요.
    50만원이면 그리 큰 액수 아니고요, 평균적인 액수입니다. 저희 친정에선 시아버지 장례에 아빠 50, 남동생 50, 여동생들 둘이 30씩 했던데요..
    공동조의금이 어디 쓰였는지 아무도 모르시는건가요? 장례식장 비용, 산소비용, 삼오재, 사십구재 비용 등은 원글님 남편분 카드로 하셨나요? 그게 아니라면 부조금 들어온데서 그 비용들 계산했을텐데요. 그거 낸거 아닐까요? 그게 아니라면 남편분이 돈문제는 확실히 한번 짚고 넘어가시는게 좋겠네요.

  • 9.
    '18.8.27 1:19 AM (175.193.xxx.222)

    저번에 네이버 카페에서도 며느리 수고비 관련해서 비슷한 질문 나왔었는데 그때 대답이.. 주면 좋고 안주면 말고... 그런 식이었어요. 며느리 수고비 따로 안챙겨주는 집들도 많았고.
    형제들이 알아서 챙겨주면 기분 좋은 것이고, 며느리가 먼저 수고비 좀 달라고 하면 좀 웃긴 거고.
    저도 시아버지 마지막 병원 계실때 며느리인 제가 제일 많이 갔고 간병비는 9개월간 제 부담이었지만 며느리 수고비 받아야겠단 생각은 한 적은 없네요. 돌아가신 마당에 그런 생각 안들던데요. 게다가 유산까지 남기고 가셔서 다 나눠가졌는데, 수고비 받는다 해도 그게 유산에다 대면 몇푼이나 된다고...
    원글님 친정집 부조금은.. 친정부모님 돌아가시면 어차피 시집형제들도 다 조문해야되니 남편쪽 조의금으로 분류 안하고 공동조의금으로 분류했나보네요. 남편쪽으로 분류하는게 맞긴 한데 뭐 그리 크게 잘못됐단 생각까진 들지 않구요.
    50만원이면 그리 큰 액수 아니고요, 평균적인 액수입니다. 저희 친정에선 시아버지 장례에 아빠 50, 남동생 50, 여동생들 둘이 30씩 했던데요..
    공동조의금이 어디 쓰였는지 아무도 모르시는건가요? 장례식장 비용, 산소비용, 삼오재, 사십구재 비용 등은 원글님 남편분 카드로 하셨나요? 그게 아니라면 부조금 들어온데서 그 비용들 계산했을텐데요. 그거 낸거 아닐까요? 그게 아니라면 남편분이 돈문제는 확실히 한번 짚고 넘어가시는게 좋겠네요. 이거 잘못되면 앞으로 계속 얼굴보기 껄끄러우니요.
    제사는 뭐 온다는 사람 막을수는 없지만, 원글님대에서 줄이면 되죠. 간단히 상에 술과 과일 정도 올리고 지내고.... 시누이들 투덜대겠지만, 그럼 투덜대는 니네가 격식맞춰 제대로 지내라고 하세요. 나는 이게 내 제사 방법이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48802 '유자녀' 여성의 삶과 '무자녀' 여성의 삶에 차이가 없어야죠... 9 oo 2018/08/28 3,638
848801 초딩ᆢ열나도 학교보내시나요 19 감기 2018/08/28 2,073
848800 피아노 고수님들께 질문드립니다 2 P 2018/08/28 838
848799 文시절 취업자, 朴때의 1/5토막 보도의 비밀 11 ㅇㅇㅇ 2018/08/28 1,319
848798 김어준 까고 싶어 죽는 사람들 64 이제는웃김 2018/08/28 1,305
848797 일본어 해석 좀부탁드려요 4 어려움 2018/08/28 883
848796 베트남 4강 진출 후 느낌을 조금이라도 느낄 수 있는 영상 8 베트남 2018/08/28 4,110
848795 천둥번개에 강아지가 불안해해요 4 .. 2018/08/28 1,792
848794 사이좋은 부부가 각방쓰는 이유는 뭔가요? 18 2018/08/28 8,450
848793 안과에서 산동검사 해보신 분 계신가요? 5 푸른잎새 2018/08/28 1,671
848792 소설, 영화 각복을 쓰고 싶은데요. 어데서 배울 수 있을까요? .. 2 peter3.. 2018/08/28 520
848791 요즘 집값 이야기가 많네요. 소소한 팁 39 .. 2018/08/28 13,592
848790 댓글알바가 신기하세요? 이미 오래전부터 존재했습니다. 17 ..... 2018/08/28 1,006
848789 이번 추석 덥겠죠? 걱정이네요 9 ... 2018/08/28 3,015
848788 조영제 부작용 4 2018/08/28 3,238
848787 빗물받아서 새차나 화장실 청소 이런거 하는 사람들도 있을까요... 8 ... 2018/08/28 2,476
848786 아직 2년도 안됐는데 18 답답 2018/08/28 3,276
848785 개포우성7차 vs 개포주공 567단지 2 .. 2018/08/28 1,919
848784 스페인 포르투갈 여행 질문드려요. 6 여행 2018/08/28 1,799
848783 집값이 오른 것은 그렇다치는데 9 zzz 2018/08/28 2,571
848782 인도 영화 재미있나요? 26 슬럼독 2018/08/28 2,098
848781 어머, 김진표의원만 꽃다발을 못 받았네요. 42 000 2018/08/28 2,625
848780 강북에 30평대 2억7천 짜리 아파트도 있어요 66 강남 2018/08/28 15,013
848779 탐욕스러워보이는 집주인과의 계약 vs 착해보이는 집주인 18 gg 2018/08/28 4,028
848778 삽자루 vs 이투스 소송전 2R, 주목해야 할 결심공판 27 강용석화이팅.. 2018/08/28 2,516